[[분류:Beasts And Natives Alike 발매 음반]][[분류:2022년 데뷔 음반]][[분류:한국 댄스 음반]][[분류:일렉트로니카 음반]][[분류:한국대중음악상 후보]][[분류:한국대중음악상 수상]] ||<-5> [[한국대중음악상|[[파일:KMAlogoblack1.jpg|width=80]]]] || ||<-5> '''{{{#E5D85C 올해의 음반}}}''' || || [[이랑(인물)|이랑]][br]<늑대가 나타났다>[br](2022년) || {{{+1 →}}} || '''[[250(프로듀서)|250]][br]<뽕>[br](2023년)''' || {{{+1 →}}} || [[미정]][br]<[[미정]]>[br](2024년) || ||<-2> '''{{{+1 뽕}}}[br]PPONG''' ||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이오공 뽕.jpg|width=100%]]}}} || |||| {{{#!wiki style="margin:-3px -10px" {{{#!folding ▼ 한정판 앨범 커버 [[파일:250-PPONG.jpg|width=100%]] }}}}}} || || '''아티스트''' || [[250(프로듀서)|250]] || || '''발매일''' ||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height=18px]]]] [[2022년]] [[3월 18일]] || || '''장르''' || [[댄스 뮤직]], [[일렉트로니카]] || || '''길이''' || 45:47 || || '''기획사''' || [[Beasts And Natives Alike]] || || '''유통사''' || 카카오엔터테인먼트 || [목차] [clearfix] == 개요 == >"모두가 외면하고 있던 과거를 가장 앞선 방식으로 재탄생시켰다" >---- >한국대중음악상 '올해의음악인' 선정평 선정위원 김작가 평론가 [[2022년]] [[3월 18일]]에 발매된 [[250(프로듀서)|250]]의 첫번째 정규앨범.[* 사실 [[2014년]]에 발매된 ''One Night Stand''가 첫 정규앨범이지만 이를 모든 음원사이트에서 내리고 [[https://youtu.be/qyai3mIx5uw?t=1287|인터뷰]]에서 말한 것으로 보아 '''뽕'''을 첫 정규앨범으로 여기는 듯 하다. 인디포스트와의 인터뷰에서는 스스로 '인디 뮤지션이라고 할 수도 없는 그냥 방구석 뮤지션의 믹스 테이프, 데모 테이프, 아니면 포트폴리오'라 평했다.[[https://www.indiepost.co.kr/post/15613|#]]] == 상세 == [[신중현]], [[양인자]], 이정식, 나운도, [[이박사]][* 3번 트랙 <사랑이야기> 에 피쳐링.], [[오승원(가수)|오승원]], 김수일[* 이박사와 함께 작업하는 키보디스트로 이박사의 일본 활동 당시 모든 곡을 연주했다. 이박사 뮤직비디오에서도 옆에서 전자피아노를 다루는 모습으로 나온다.]이 참여하였다. 스트리밍 음원은 [[다프트 펑크]]의 음악을 마스터링한 프랑스의 'CHAB'이 마스터링하였고, 한정판 앨범은 [[사카모토 류이치]] 등의 음악을 마스터링한 일본의 '코테츠 토루'가 마스터링하였다. 미수록 트랙인 '춤을 추어요'가 있다. [[장은숙(가수)|장은숙]]의 곡을 리메이크한 곡으로 가창에 나운도, 기타에 이중산이 참여했다. 앨범이 공개된 날 유튜브와 사운드클라우드로 무료 공개가 되었는데 원래는 앨범에 수록될 예정이였는지 12번 트랙처럼 표기가 되어있다. 250이 인터뷰에서 밝히길 이 곡의 드럼은 [[인형의 기사]]에서 샘플링해 온 거라고 한다. == 발매 전 == * [[2017년]] 11월 2일, [[Beasts And Natives Alike|BANA]] 공식 홈페이지와 유튜브를 통해 ''' '뽕을 찾아서' '''라는 다큐멘터리의 Teaser가 공개되었다. * 2017년 12월 23일, ''' '뽕을 찾아서' '''의 첫 편이 공개되었다. [[https://www.youtube.com/watch?v=BYFiiJy5ioE|[[파일:유튜브 아이콘.svg|height=18]]]] * 선공개 음원 이 [[SoundCloud]]를 통해 공개되었다. [[https://soundcloud.com/250braingrain/250spring|[[파일:사운드클라우드 아이콘.svg|height=18]]]] [* 정식 발매된 앨범에는 수록되지 않았다.] * [[2018년]] 10월 9일, 선공개 싱글 <이창>이 M/V와 함께 공개되었다. * 2018년 12월 29일, 자신의 파티 브랜드 '''아직도 모르시나요'''를 런칭하고, 연남동 채널 1969에서 첫 런칭 파티를 진행했다. * [[2021년]] 11월 5일, 버드와이저 코리아의 유튜브 채널에서 선공개 싱글 의 최초 라이브를 공개했고 [[https://www.youtube.com/watch?v=O85JIsgeSDg|[[파일:유튜브 아이콘.svg|height=18]]]], 동월 12일 DJ Soulscape와 함께한 인터뷰 또한 공개되었다. [[https://www.youtube.com/watch?v=qyai3mIx5uw|[[파일:유튜브 아이콘.svg|height=18]]]] * 2021년 12월 2일, 선공개 싱글 가 공개되었다. * 2021년 12월 6일, 의 검열판 M/V가 공개되었다. * 2021년 12월 10일, 의 무삭제판 M/V가 공개되었다. == 음반 정보 == === 트랙리스트 === |||| '''트랙리스트''' || || '''#''' || '''제목''' || || 1 || 모든 것이 꿈이었네 || || 2 || ^^{{{-2 {{{#darkviolet '''TITLE'''}}}}}}^^ '''뱅버스''' || || 3 || 사랑이야기 || || 4 || 이창 || || 5 || ...그리고 아무도 없었다. || || 6 || 바라보고 || || 7 || 나는 너를 사랑해 || || 8 || 주세요 || || 9 || ^^{{{-2 {{{#darkviolet '''TITLE'''}}}}}}^^ '''로얄 블루''' || || 10 || 레드 글라스 || || 11 || 휘날레 || ==== 크레딧 ==== ||<-6> '''트랙리스트''' || || '''#''' || '''제목''' || '''참여''' || '''프로듀서''' || '''샘플링''' || '''길이''' || || 1 || 모든 것이[br]꿈이었네 || 김수일[* 김수일의 미공개곡을 250이 편곡해 앨범에 수록했고, 직접 노래를 불렀다.][br]오승원[* 도입부를 포함한 곡 전체의 코러스에 참여했다.] || 250 || || || || 2 || ^^{{{-2 {{{#darkviolet '''TITLE'''}}}}}}^^ '''뱅버스''' || || 250 || || || || 3 || 사랑이야기 || [[이박사]] || 250 || 이박사[* 이박사의 나레이션과 추임새를 샘플링했다] || || || 4 || 이창 || || 250 || 이박사[* '좋아 좋아'하는 추임새를 샘플링했다] || || || 5 || ...그리고 아무도[br]없었다. || || 250 || || || || 6 || 바라보고 || || 250 || || || || 7 || 나는 너를 사랑해 || 신중현 || 250 || 신중현 - 나는 너를 사랑해 || || || 8 || 주세요 || || 250 || || || || 9 || ^^{{{-2 {{{#darkviolet '''TITLE'''}}}}}}^^ '''로얄 블루''' || 이정식[* 색소폰 연주로 참여] || 250 || || || || 10 || 레드 글라스 || || 250 || 현인 - 카네이숀 추억의 꽃다발 || || 11 || 휘날레 || 양인자[* 작사로 참여][br] [[오승원(가수)|오승원]][* 보컬로 참여] || 250 || || || === 뮤직비디오 === ||[youtube(l3cWP3AmUSc)]|| || 이창 || * '이창'의 제목은 [[알프레드 히치콕]] 감독의 영화 <[[이창(영화)|이창]]>의 레퍼런스다. 뮤직비디오도 영화와 비슷하게 카메라가 주인공을 창문 너머로 관찰하는 구도가 등장한다. 이런 제목과 뮤직비디오가 나온 비화는 <뽕을 찾아서> 2화에 등장한다.[[https://youtu.be/N4_m5mv0xO0?t=250|#]] 인터뷰 중이던 전국노래자랑 예선 참가자에게 제목 없는 데모일 당시의 이 곡을 들려주고 감상을 들었는데, 거기서 나온 말과 뮤직비디오의 내용은 거의 똑같다. 인터뷰를 바탕으로 중년 여성을 주인공으로 하여 중년 여성이 저녁 즈음 와인을 마시며 누군가를 기다리고 있는 것을 관찰하고 있는 듯한 분위기를 내고 있다. ||[youtube(aunbwaZ7Q1o)]|| || 뱅버스 (검열판) || ||[vimeo(652378729)]|| || 뱅버스 (무삭제판) || * '뱅버스'의 제목은 버스에 치이다는 뜻이다. 가수 겸 화가, 감독인 [[백현진]]이 배우로 등장하며 한심한 느낌의 중년 남성이 주인공으로 등장한다. 뮤직비디오에서 남성은 [[불륜]]을 하다 걸려, 이후 동네 사람들에게 걸리자 팬티 바람으로 추격을 피해 부리나케 도망간다. 주변 사람들은 그런 주인공을 한심하게 바라보며 안경도 망가진 채로 하염 없이 달리던 주인공은 이내 곡 제목 처럼 버스에 치일 뻔 하며 피투성이가 되지만 그럼에도 도망치려 한다. 노래가 추격을 하는 듯한 비트라 경찰을 피해 도망치는 주인공의 한심하고 처절한 도주가 노래와 상당히 잘 어울러지고 있다. 불륜을 저지른 남자를 주인공으로 하면서 주인공에게 연민을 느끼지 않게끔 그저 한심한 도주자 정도로 비춰지게끔 주변 사람들의 표정으로 계속 보여주는 것은 물론 백현진의 연기가 드러난다는 평이 있다. ||[youtube(YJEwhAWdwCk)]|| || 로얄블루 || * '로얄 블루'는 뽕 앨범 중에서도 [[색소폰]]을 활용한 [[블루스]] 같은 느낌의 곡이다. 중절모를 쓴 색소폰 연주자와, 하얀 수트를 입고 키보드를 연주하는 250의 모습은 바에서 담배와 함께 위스키를 마시며 함께 음악으로 대화를 하는듯한 느낌을 준다. 색소포니스트는 한국의 전설적인 재즈 뮤지션인 이정식. == 평가 == [include(틀:한국대중음악상 2023 최우수 팝 노래)] [include(틀:이즘 선정 2022 올해의 가요 앨범)] [include(틀:온음 2022 총결산 선정 결과)] >'''250이 내놓은 [뽕]은 2022년 단연 화제의 작품이었다. 힙합과 일렉트로닉 씬에서 활동하는 아티스트가 어울리지 못할 것만 같은 트로트를 적극 포용해 흥미로운 결과를 도출했다. 직관적인 멜로디를 쏟아내는 신스, 특유의 리듬 패턴, 장르에서 쉽게 찾을 수 있는 소스와 사운드 질감을 트랙마다 끌어온다. 김수일, 이박사, 나운도, 양인자 등등 트로트계 인물과 대거 협업하여 결과물에 설득력을 부여한 점도 영리하다.''' >---- >[[리드머]] 토픽 필진 >'''첫 곡(‘모든 것이 꿈이었네’)으로부터 탈주하는 유일한 참의 명제는 ‘뽕의 도원경(桃源境)’ 만은 꿈이 아니라는 역설이다. 브라질 전자음악 장르 ‘파벨라 펑크’ 같은 음악에서 다듬어지지 않은 사운드는 그의 ‘노점 뽕짝’의 기원점이다. 현대적인 힙합풍 비트와 정반대의 고속도로 메들리풍 미디 반주, 잘잘히 쪼개지는 비트들의 향연은 그야말로 뉴한 한국적 사운드를 창조해 내고야 말았다.''' (중략) '''한국 대중음악의 통시적 고찰을 뽕이라는 페이스트리에 반죽해 낸 올해의 역작.''' >---- >[[한국대중음악상]] 선정위원 권익도 음악취향Y '올해의 앨범' 1위 [[http://musicy.kr/?c=choice&s=1&cidx=4&gp=1&ob=idx&gbn=viewok&ix=8172|기사]] 음악취향Y '올해의 신인' 1위 [[http://musicy.kr/?c=choice&s=1&cidx=5&gp=1&ob=idx&gbn=viewok&ix=8151|기사]] [[리드머]] '2022 국내 얼터너티브 앨범 베스트 5' [[http://board.rhythmer.net/src/go.php?n=20158&m=view&s=feature|기사]] 온음 'The Best Artist of 2022', 'The Best Electronic Track of 2022' [[http://www.tonplein.com/?p=2408260|기사]] 한국일보 '대중음악평론가 11명이 뽑은 올해의 앨범' [[https://www.hankookilbo.com/News/Read/A2022122817170003982|기사]] 한겨레 '뉴진스 프로듀서 250의 앨범 <뽕>...2022년 '숨은 보석들' [[https://www.hani.co.kr/arti/culture/culture_general/1073612.html|기사]] 뉴시스 '이오공(250) '뽕', 日서 새 한류 만드나' [[https://newsis.com/view/?id=NISX20230112_0002157331&cID=10601&pID=10600|기사]] 엑스포츠 '뉴진스 프로듀서 250, 본인 앨범 '뽕'으로 韓日서 호평…올해의 음반 후보 거론' [[https://www.xportsnews.com/article/1668245|기사]] 발매 후 DJ MAG와 더 와이어에서 좋은 평가를 내렸다. [[https://www.chosun.com/culture-life/2022/05/23/OCERGDZ3B5BZPGOL2NXX4A5XP4/|#]] 특히 더 와이어는 해당 앨범은 음악적 성취 뿐만 아니라 해당 앨범을 찾아가는 여정도 중요했다고 덧붙였다. 2022년 6월 세계적인 정론지 [[더 가디언]]에서 트로트를 조명한 기사에 250의 단독 인터뷰가 실렸다. [[https://www.theguardian.com/music/2022/jun/08/its-like-oxygen-its-everywhere-why-korea-is-hot-for-trot-the-cheesiest-pop-imaginable|#]] 더 가디언은 250을 '국제적 보물'이라고 평했다. 2023년 [[한국대중음악상]] [[https://koreanmusicawards.com/project/250-2/|올해의 음반]]과 [[https://koreanmusicawards.com/project/250|올해의 음악인]], [[https://koreanmusicawards.com/project/250-%eb%bd%95/|최우수 일렉트로닉 - 음반]], [[https://koreanmusicawards.com/project/250-%eb%b1%85%eb%b2%84%ec%8a%a4/|최우수 일렉트로닉 - 노래(뱅버스)]], [[https://koreanmusicawards.com/project/250-%eb%aa%a8%eb%93%a0-%ea%b2%83%ec%9d%b4-%ea%bf%88%ec%9d%b4%ec%97%88%eb%84%a4/|최우수 팝 - 노래(모든것이 꿈이었네)]] 후보에 올랐으며, 이 중 '최우수 팝 - 노래' 부문을 제외하고[* [[윤하]]의 [[사건의 지평선(윤하)|사건의 지평선]]이 수상] 모두 수상에 성공해 총 4관왕을 달성하였다.[* 250 개인으로는 프로듀싱을 담당한 [[NewJeans]]의 [[New Jeans]]가 최우수 케이팝 음반, 'Attention'이 최우수 케이팝 노래 부문에서 수상해 도합 무려 '''6관왕'''을 달성하게 되었다.] 이 수상으로 제5회 [[이적]], 제9회 [[장기하와 얼굴들]]과 더불어 한 해 개인 최다 수상 타이 기록을 수립했다. 나아가 이는 한국대중음악상 역사상 일렉트로닉 장르 최초의 '올해의 음반' 수상 음반이다. === 리뷰 === * 2022년 03월 뉴시스 [[https://newsis.com/view/?id=NISX20220315_0001793214&cID=10601&pID=10600|#]] * 2022년 03월 FIGK [[http://figk.net/text/?uid=-MydJICzY_d4LqIitHWT&utm_source=figk&utm_medium=modal&utm_campaign=share|#]] * 2022년 03월 음악취향y [[http://musicy.kr/?c=review&s=1&gp=1&ob=idx&gbn=viewok&ix=7874|#]] * 2022년 03월 인디포스트 [[https://www.indiepost.co.kr/post/15613|#]] * 2022년 04월 오마이뉴스 [[http://omn.kr/1y9a4|#]] * 2022년 04월 서정민갑 평론가 [[https://vop.co.kr/A00001611123.html|#]] * 2022년 04월 동아일보 [[https://www.donga.com/news/article/all/20220401/112640627/1|#]] * 2022년 04월 오마이뉴스 [[http://omn.kr/1y9a4|#]] * 2022년 04월 동아일보 '김학선 평론가' [[https://www.donga.com/news/article/all/20220420/112975077/1|#]] * 2022년 05월 조선일보 [[https://www.chosun.com/culture-life/2022/05/23/OCERGDZ3B5BZPGOL2NXX4A5XP4/?utm_source=naver&utm_medium=referral&utm_campaign=naver-news|#]] == 라이브 영상 == ||[youtube(ugeUXr9RzjQ)]|| || 250 - 로얄 블루(feat.이정식) || ||[youtube(txvudNJwmUc)]|| || 250 - 춤을 추어요(feat.나운도) || ||[youtube(2ySh4h9QEAc)]|| || 250 - 바라보고 || ||[youtube(O85JIsgeSDg)]|| || 250 - 뱅버스 || ==# 뽕을 찾아서 #== [[Beasts And Natives Alike|BANA]]의 유튜브 채널인 'BANATV'를 통해 공개된 다큐멘터리 시리즈. 전국을 돌아디며 뽕의 흔적들을 찾는 과정을 250 본인이 직접 호스트로 참여해 보여준다. ||[youtube(BYFiiJy5ioE)]|| || 뽕을 찾아서 TEASER || 영상에는 [[이박사]]의 인터뷰가 담겨있고 이를 샘플링한 음악이 나오면서 앨범 타이틀 그대로 본인 스타일의 '뽕'을 보여줄 것을 예고했다. ||[youtube(_8Z8_d5pj4A)]|| || 뽕을 찾아서 1화 (2017. 12. 23.) || 1화에서는 직접 동묘를 가서 옛날 악기들을 둘러보고 구매하여 작업하는 모습을 담았다. 그의 어색한 표정과 멘트는 영상과 꽤나 잘(?) 어울린다. ||[youtube(N4_m5mv0xO0)]|| || 뽕을 찾아서 2화 (2018. 4. 22.) || 2화에서는 전국노래자랑 예선을 관찰하고, ‘2,4,6 리듬짝’ 춤 교습소에서 직접 춤을 배우는 장면이 나온다. ||[youtube(/G1nUhIx-Jo8)]|| || 뽕을 찾아서 3화 (2018. 11. 1.) || 3화에서는 앨범을 작업하는 장면과 전국의 축제들을 관찰하는 내용이 담겨있다. 어느덧 편안하고 자연스러운 모습으로 진행하고 인터뷰를 하고 있다. ||[youtube(Hz1sD0tnmOE)]|| || 뽕을 찾아서 4화 (2021. 4. 14.) || ||[youtube(itYj75SBgpw)]|| || 뽕을 찾아서 5화 (2022. 2. 22.) || ||[youtube(X9G21MWhyrA)]|| || 뽕을 찾아서 마지막화 (2023. 4. 11.) || 음반 마무리 작업과 발매 이후의 이야기들을 모아놓은 에필로그. 마지막에는 차기 프로젝트 'MADE IN 아메리카'의 티저가 나온다. == 여담 == * '뱅버스'의 뮤직비디오에 주연으로 등장하는 인물은 가수, 배우 겸 화가인 [[백현진]]이다. * 250 본인이 상당히 그윽한 비주얼을 가지고 있어 본인의 사진이 들어간 앨범 커버와 음악이 상당히 어울린다는 평이 있다. 특히 하얀 수트를 입고 바에서 담배와 함께 위스키를 마시며 색소폰 연주자인 이정식 교수님과 함께 음악으로 대화를 하는듯한 느낌의 '로얄 블루' 뮤직비디오가 압권. * '나는 너를 사랑해'는 [[신중현과 엽전들 1집]] 수록곡 '나는 너를 사랑해'를 [[샘플링]]한 곡이자 오마주이다. 원곡은 말을 거꾸로 뒤집은 '해랑사 를너 는나', '해아좋 를너 는나'라는 가사가 반복되는데, 250은 이를 잘라서 또다시 거꾸로 뒤집었다. * 앨범 홍보 당시 컨셉에 충실하기 위해서 [[이태원]]에서 나이트클럽 느낌나는 앨범 홍보 전단지를 나눠줬다.[[https://hiphople.com/kboard/22703476|#]][* BANA에서 기획한 캠페인이라 정작 250은 커뮤니티에 올라온 사진을 보고 알았다고 한다.] * 2023년 7월 [[LP]] 발매가 예정되어있다. 한대음 올해의 음반 수상 기념이다. * 애플 뮤직 배경이나 Spotify 캔버스에서는 앨범 커버 속 250이 손에 쥔 담배에서 연기가 나온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250(프로듀서\), version=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