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빵]][[분류:통조림]][[분류:네모바지 스폰지밥/밈]][[분류:인터넷 밈/만화 및 애니메이션/대한민국]] [[파일:attachment/빵 통조림/pao_1.jpg|width=100%]] [목차] == 개요 == [[빵]]을 [[통조림]] 방식으로 보존한 [[가공식품]]. 빵 통조림의 역사는 1920년대로 소급하며, 뉴 잉글랜드 주의 기업인 B&M 사에서 개발한 빵 통조림이 최초의 빵 통조림으로 여겨지고 있다. B&M 사의 빵 통조림은 호밀로 만들었고 맛과 보존성을 강화하기 위해 당밀을 첨가해서 단맛이 강했다. 2차 대전 시기에는 군인들에게 지급하기 위한 목적으로 빵 통조림이 개발되었다. [[미군]]의 [[전투식량]]이던 [[전투식량/미군#s-1.2|C-ration]]은 고기 캔인 M유닛과 빵 캔인 B유닛으로 나뉘는데, 빵이라는 이름이 무색하게도 딱딱한 질감의 크래커가 들어 있었다.[* 전투식량으로서는 하드택, 크래커 쪽이 유래가 깊으니까 이상한 일은 아니지만.] 이후 1950년대부터 미국과 [[유럽]] 등지에서 장차전을 대비하여 빵의 장기보존이 연구되었고 주로 고압으로 압축한 빵이나 수분이 적게 가공한 드라이 케이크를 비활성 기체를 채운 깡통에 채워넣고 밀봉한 것이 시판된다. C-ration의 개량형으로 [[베트남전]]에서 사용된 [[전투식량/미군#MCI|MCI]]의 B유닛에는 드디어 진짜 흰빵, [[파운드 케이크]], 후르츠 케이크, [[시나몬롤]] 같은 부드러운 식감의 빵이 들어가게 되었다. == [[우주식]] == 빵 통조림을 완성했을 당시부터 [[우주 식량]]으로서의 가능성을 염두에 두었던 빵 아키모토의 아키모토 사장은 [[2001년]] [[미국]] [[NASA]]를 찾아 상담을 받았다. 이때 캔을 열 때 다치지 않도록 뚜껑을 처리해야 한다는 주문을 받았으며, 재난시에 아이들이 만지다가 손을 다칠 가능성까지 고려해 결국 "더블 세이프티 프로톱"을 도입하여 안전하게 열 수 있게 만들었다. [[2007년]] NASA로부터 우주식으로 인정을 받았고, [[2009년]] [[3월 16일]]에 빵 통조림은 [[일본인]]으로서는 최초로 장기 우주체류를 한 [[우주 비행사]] 와카타 고이치와 함께 [[ISS]]로 보내졌다. == 구호활동 == 2009년에는 [[구관조]] 프로젝트라는 구호활동을 시작했다. 구관조(큐칸초, [ruby(救,ruby=きゅう)][ruby(缶,ruby=かん)][ruby(鳥,ruby=ちょう)])란 구할 구(救)자에 캔을 뜻하는 칸(缶), 새 조(鳥)자를 써 만든 신조어로 "캔 빵을 통해서 사람을 구하는 새가 되자."는 프로젝트를 뜻한다. 한 캔에 보통 400엔 정도 하는 빵 통조림은 일상식이라기보다는 [[비상식량]]으로써 가치가 있는데, 아무런 재해 없이 유통기한인 3년이 지나면 캔 빵은 그대로 버려진다. 구관조는 이렇게 버려지는 빵을 굶주림에 시달리는 세계의 어린 아이들에게 나누어 줄 수 있는 체계적인 시스템을 구축하려는 프로젝트이다. 빵 통조림을 구입한 사람들이 2년 동안은 집에서 비상식량으로 보관을 하고, 유통기한이 1년 남은 빵 통조림은 회수하여 굶주리는 아이들에게 보내게 하자는 것이다. 말은 그럴싸하지만, 통조림처럼 취식량 대비 무게가 무거운 물건을 구호하겠답시고 보내는 비용이 압도적으로 많아서 차라리 식량수출국에게 그 돈 주고 구호지역에 보내는 게 나을 지경이라 흐지부지되었고, 빵 통조림은 그냥 폐기되고 있다. == [[오타쿠]] 아이템으로서 == [[파일:attachment/빵 통조림/pao_moe.jpg|width=100%]] [[일본]]에서는 [[오타쿠]]의 나라답게 빵 통조림 또한 캐릭터 회사와 연계하여 오덕 상품으로 발매되며 관련 자판기가 [[아키하바라]] 등지에 설치되기도 하였다. [[파일:attachment/빵 통조림/pao_clannad.jpg|width=100%]] 그 중 [[클라나드]] 빵은 아키하바라에서 한때 품절 사태까지 벌어질 정도로 높은 인기를 얻었다. == 이야깃거리 == 위에서 말한 월남전 당시의 전투식량 MCI는 장기보존식량은 아니라서 장기보존 시의 상태는 장담할 수 없지만, [[http://www.mreinfo.com/us/older/mci-fruit-cake.html|26년 지난 MCI의 후르츠케익 캔을 따서 확인해 보아도 괜찮다]]. 의외로 진공포장 상태도 양호하고, 냄새도 이상하지 않으며, 촉촉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었다. 물론 26년 지난 것을 먹고 싶지는 않으니까 맛만 보고 삼키지는 않았지만, 기아 상태라면 먹을만할 것 같은 상태라고. 실제로 장교 임관 얼마 후 베트남 전쟁 때 파운드 케익 통조림을 챙겨놨다가 2009년에 퇴역식을 하면서 그 통조림을 맛있게 먹은 미 육군 대령도 있다. [[http://www.youtube.com/watch?v=8SHohZ2ljC4|영상]] 국내에서도 주로 아웃도어 매니아들을 상대로 상당히 보급되어 있다. 아마도 깡통시장이나 수입식료품점에서 쉽게 구할수 있는 미국 B & M사의 Brown Bread가 국내에서는 가장 유명할 것이다. 보존기간도 보통 7~10년 가량으로 상당히 긴 편. [[파일:빵 통조림.jpg]] [[네모바지 스폰지밥]]에서 꽤나 인상적으로 나와 컬트적인 인기가 있다. "이사 간 징징이(영문명 Squidville)"라는 에피소드로, 여기서 [[징징이(네모바지 스폰지밥)|징징이]]가 두 이웃 스펀지밥과 뚱이에게 질릴대로 질린 나머지 징징이같은 문어들만 사는 동네로 이사를 간다. 이 곳에 사는 이들은 모두 징징이랑 비슷한 성향들 뿐이라 평온한 하루에 댄스 강습이며 음악 연주회 등 여러가지를 만끽하며 굉장히 만족스러워한다. 그러던 와중 둘째 날, 아침에 건강식품 매장에 가서 장을 보면서 "설마 그건 없겠지?(I bet they won't have...)"라며 찾아다니다가 발견하고는 '''"여기 있네! 빵 통조림!(Wow, they have it! Canned bread!)"'''이라고 굉장히 흡족하게 말한다. '''"빠앙↗"''' 부분을 묘하게 늘여서 말하는 게 중독성이 있는데다가, '빵 통조림' 자체가 익숙하지 않은 인상적인 소재고, 이후 반복되는 일상을 보여주는 시퀀스에서도 거의 매일 한 번씩은 꼭 나와줘서 기억에 많이 남는 장면이 되었다. 또한 이 밈과 [[동전 줍는 징징이]]의 요소 등이 합쳐저서 파생된 워크래프트 3 유즈맵이 바로 [[여기있네 빵 통 조 림 !]]이다. [[팀 포트리스 2]]에서는 Gun Mettle 업데이트 이후 솔저가 텔레포트를 타면 일정 확률로 식빵 통조림 형태의 [[전투식량]][[https://wiki.teamfortress.com/w/images/6/61/Bread_Ration.png?t=20140612024654|#]]이 나오는데, 라벨에 "어떠한 식량 물자를 조달할 수 없는 경우에만 소모할 것, (경고: 절대 텔레포트하지 마시오)"라는 경고문이 써져 있다.[* 텔레포트 관련 경고문이 써져 있는 이유는 팀포2 단편 애니메이션 [[https://youtu.be/GLlLQ3LmZWU|시한부 인생]]에서 텔레포트 시킨 빵에 종양이 생기는것을 보여주면서 모두가 텔레포터로 인한 종양으로 인해 앞으로 3일 밖에 살 수 없다는 메딕의 진단을 받자 [[솔저(팀 포트리스 2)|솔저]]는 평생 빵을 못먹는거냐고 따지자 엔지니어는 빵은 얼마든지 텔레포트 해도 좋다고 진정시켰더니 솔저가 그 말을 곧이 곧대로 받아들여''' 3일 내내 방에 틀어박혀 빵만 텔레포트해 거대 빵괴물을 만들었기 때문.''' 후엔 텔레포트시 생기는 종양도 빵에만 생기는것으로 밝혀졌다.] 민간 레시피로 [[병조림]] 병에 빵 반죽을 넣어 그대로 구워 밀봉하는 보존식이 있다. [[https://www.google.com/search?q=Bread+in+a+jar&ei=O8ETZNLCA4aA-AaAsYXQBg&ved=0ahUKEwiSzN355uH9AhUGAN4KHYBYAWoQ4dUDCA8&uact=5&oq=Bread+in+a+jar&gs_lcp=Cgxnd3Mtd2l6LXNlcnAQAzIHCAAQgAQQEzIHCAAQgAQQEzIHCAAQgAQQEzIHCAAQgAQQEzIHCAAQgAQQEzIHCAAQgAQQEzIICAAQBRAeEBMyCAgAEAUQHhATMggIABAFEB4QEzIICAAQBRAeEBNKBAhBGABQAFgAYPsKaABwAHgAgAFyiAFykgEDMC4xmAEAoAECoAEBwAEB&sclient=gws-wiz-serp|#]] 유통기한은 6개월에서 1년 정도이며, 빵을 시럽에 절이거나 [[에탄올]]로 소독처리하거나 직사광선이 닿지 않는 차가운 곳에 보관하는 등의 추가적인 보존 처리를 가한다면 더 늘어난다. 2007년 [[니가타현]] [[지진]]에서 비상식량으로 큰 활약을 했으며, 이것이 [[신문]], [[잡지]], [[텔레비전]] 등을 통해 널리 보도되어 지자체를 중심으로 재해용 비상 식량으로 많은 주문을 받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