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파일:뮤지컬 빨래 26차 로고.png|width=100]]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빨래 뮤지컬 27차 고화질 포스터.jpg|width=100%]]}}} || || '''제작''' ||[[파일:씨에이치수박 로고.png|width=60]] || || '''연출''' ||<|2>[[추민주]] || || '''작•작사''' || || '''작곡''' ||민찬홍 || || '''공연장''' ||{{{#!folding [ 펼치기 · 접기 ] 1차: [[국립극장]] 별오름극장[br]2차: 상명아트홀 1관[br]3차: 원더스페이스 네모극장[br]4차: 알과핵 소극장[br]5차: [[두산아트센터]] 연강홀[br]6차 ~12차: 학전그린 소극장[br]13차 ~14차: 아트원씨어터 2관[br]15차 ~16차: 아트센터K 네모극장[br]17차 ~ 24차: 동양예술극장 1관[br]25차 ~ 27차: [[유니플렉스]] 2관}}}|| || '''공연 기간''' ||{{{#!folding [ 펼치기 · 접기 ] 1차: 2005.04.14 ~ 2005.05.01[br]2차: 2006.02.17 ~ 2006.05.14[br]3차: 2008.03.15 ~ 2008.08.17[br]4차: 2008.08.29 ~ 2008.12.31[br]5차: 2009.04.28 ~ 2009.06.14[br]6차: 2009.07.24 ~ 2010.06.27[br]7차: 2010.07.07 ~ 2011.01.09[br]8차: 2011.03.03 ~ 2011.09.04[br]9차: 2011.09.07 ~ 2012.03.30[br]10차: 2012.04.04 ~ 2012.10.07[br]11차: 2012.10.12 ~ 2012.11.11[br]12차: 2012.11.14 ~ 2013.03.03[br]13차: 2013.03.14 ~ 2013.10.05[br]14차: 2013.10.11 ~ 2014.03.02[br]15차: 2014.03.11 ~ 2014.10.12[br]16차: 2014.10.16 ~ 2015.05.31[br]17차: 2015.06.16 ~ 2016.02.28[br]18차: 2016.03.10 ~ 2017.02.26[br]19차: 2017.03.09 ~ 2017.11.26[br]20차: 2017.11.29 ~ 2018.04.29[br]21차: 2018.05.05 ~ 2019.01.06[br]22차: 2019.01.15 ~ 2019.09.01[br]23차: 2019.09.10 ~ 2020.03.08[br]24차: 2020.06.03 ~ 2021.01.24[br]25차: 2021.11.05 ~ 2022.05.29[br]26차: 2022.06.10 ~ 2023.01.29[br]27차: 2023.02.09 ~ 2023.10.01[br]28차: 2023.10.12 ~ 2024.05.26}}}|| || '''관람 시간''' ||160분 (인터미션: 15분)|| [목차] [clearfix] == 개요 == [[파일:뮤지컬 빨래 1500x500.jpg]] >'''서울살이 몇 핸가요''' > - 뮤지컬의 중심이라 할 수 있는 가사 >빨래는 늘 동시대 관객들과 호흡했다. 강자에게 억눌린 억울함, 어려움을 함께 나누는 연대는 시대나 장소에 상관없이 모든 이들의 마음을 움직이게 했다. > - [[더 뮤지컬]] [[http://navercast.naver.com/magazine_contents.nhn?rid=1487&contents_id=91684|2015년 6월호 기사 중에서]] 명랑씨어터 수박 제작의 [[한국]] [[창작 뮤지컬]]. 2000년대 소시민들의 일상을 표현하고 있다는 점에서 '''제2의 [[지하철 1호선]]'''이라 할 수 있다. 공교롭게도 '지하철 1호선'이 2008년 막을 내릴 때까지 공연한 곳이 빨래가 공연되었던 학전그린 소극장이다. [[서울]] 변두리 소시민들의 삶을 따뜻한 시선으로 그려낸 점을 인정받아 제11회 한국뮤지컬대상 작사상 및 극본상, 제4회 [[더 뮤지컬 어워즈]] 작사·작곡상 및 극본상을 수상했다. 본래 [[한국예술종합학교]] 연극원 졸업작품이었으며[* 연출/각본을 맡은 [[추민주]] 씨는 연극원 연출과 졸업생, 작곡을 담당한 민찬홍 씨는 음악원 작곡과 졸업생이다.][* 공연이 직접 제작되기 전인 2003년 제2회 대산대학문학상 희곡 부문에 대본이 공모된 적이 있었다. 심사평에 직접 언급되었던 사실로 미루어볼 때 최종 심사 단계까지 올랐다가 탈락한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현재 올라오고 있는 공연과 완전히 같은 내용인지는 확인 불가.] 가능성을 인정 받아 2005년 국립극장 별오름 극장에서 상업 작품으로 정식 초연했다. 이후 대학로 상명아트홀 1관, 원더스페이스 네모극장, 알과핵 소극장, 두산아트센터 연강홀을 거쳐 공연을 보완했으며, 2009년부터는 학전그린 소극장에서 오픈런[* 계속 공연하고 있다는 점에서 오픈런 형태이기는 하지만 캐스팅에 따라서 기수가 나뉜다.]에 가깝게 공연했다. 그러나 학전그린이 철거되면서 2013년 아트원씨어터 등을 거쳐 2015년부터는 동양예술극장에서 공연되었다. 2015년 10주년을 맞이했고 3,000회 공연, 관객 50만 명을 기록했다. 10주년 특별공연을 한 2015년 6월 기준으로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3&oid=003&aid=0006579010|22명의 솔롱고, 20명의 나영을 비롯해 123명의 배우가 거쳐 갔다.]] 그리고 2005년 초연 당시 1시간 30분이었던 공연 길이는 2015년 기준 2시간 40분으로 늘어났고, 삽입곡도 7곡에서 18곡으로 증가했다. 코로나19로 인해 24차 프로덕션이 조기 종연되었으며, 이후 2021년 11월 5일부터 재개된 25차 프로덕션은 대학로 유니플렉스 2관에서 관객을 맞는다. 2012년 2월 4일부터 16일까지 [[일본]] [[도쿄]] 미츠코시극장에서 일본 배우들이 공연하는 라이센스 버전이 개막했다. 제목을 일본어 명사인 '洗濯(せんたく)'로 번역하는 대신 [[가타카나]]인 '''파루레(パルレ)'''로 음차해 서울을 배경으로 하고 있는 공연의 특수한 성격을 드러냈다. 무대미술과 의상 역시 학전그린에서 열리고 있는 서울 공연과 동일하게 제작되었다. 2012년 10월 12일부터 11월 11일 한 달간 '2000회 기념 페스티벌'이 열렸다. 이름만 페스티벌이지 별 거 없이 그냥 공연만 한다. 하지만 이때까지 공연에 출연했던 배우들 가운데 절반 가량인 40명의 한국 배우와 일본 라이센스 공연에서 참여했던 두 명의 일본 배우들이 참여한다. 다만 현재 다른 작품에 출연하고 있거나 하는 등의 이유로 참여하지 못하는 배우들 역시 많은지라 팬들에게 다소 아쉬움을 자아내는 듯하다. == 줄거리 == '''강원도 아가씨 나영과 몽골청년 솔롱고의 빨래 이야기''' 서울, 하늘과 맞닿은 작은 동네로 이사 온 27살의 나영은 고향 강원도를 떠나 서울의 한 서점에서 근무하며 살고 있다. `나영`은 빨래를 널러 올라간 옥상에서 이웃집 청년 ‘솔롱고’를 만난다. 어색한 첫 인사로 시작된 둘의 만남은 바람에 날려 넘어간 빨래로 인해 조금씩 가까워지고, 서로의 순수한 모습을 발견하며 한걸음씩 다가가는데... '''서울살이 45년 주인할매의 빨래 이야기''' 나영과 희정엄마가 살고 있는 집의 주인 욕쟁이 할매. 세탁기 살 돈이 아까워 찬물에 빨래하고 박스를 주워 나르며 억척스럽게 살지만 오늘도 빨래줄에 나부끼는 아픈 딸[*스포일러 사별한 남편이 과거 바람을 피웠을 때 주인할머니가 홧김에 맞바람을 피워 낳은 딸로 이름은 "정둘이"다. 허벅지 아래로 다리가 없고 뇌성마비를 앓고 있다. 주인할머니가 아들과 소원하게 지내는 이유이기도 하다. 주인할머니의 감추고 싶은 비밀이지만, 장애인 재등록 확인을 위해 방문한 공익요원 때문에 나영이 "정둘이"의 존재를 알게 되고, 어느 늦은밤 정둘이가 갑작스럽게 아플 때 도움을 받은 일로 주인할머니가 희정엄마에게 속마음을 터 놓는 계기가 된다. 딸 둘이에 대한 주인할머니의 마음은 "내 딸 둘아" 노래에 잘 담겨 있다.]의 기저귀를 보며 한숨을 쉬며 눈물을 참는다. '''애교많고 사랑스러운 희정엄마와 구씨 이야기''' 한 눈에 나영의 속옷사이즈를 정확히 알아 맞히는 이웃집 여자. 동대문에서 속옷장사를 하는 `돌아온 싱글` 희정엄마. 애인 구씨와의 매일 같은 싸움에 몸서리를 치지만, 오늘도 `구씨`의 속옷을 빨래하며 고민을 털어버린다. '''우리 이웃들의 빨래 이야기''' 오늘도 사장 눈치보는 직장인, 외상값 손님에 속 썩는 슈퍼아저씨. 순대 속 처럼 메어터지는 마을버스를 운전하는 기사아줌마. 오늘을 살아가는 소시민의 정겨운 인생살이가 빨래와 함께 그려진다. === 넘버 === * '''1막''' * 서울살이 몇 핸가요? * 나 한국말 다 알아 * 안녕 * 어서 오세요 제일서점입니다 * 자 건배 * 참 예뻐요 * 내 이름은 솔롱고 * 빨래 * 내 딸 둘아 * 비 오는 날이면 * '''2막''' * 책 속에 길이 있네(빵 ver.) * 책 속에 길이 있네(작가 ver.)[* 솔롱고 역의 배우가 부른다.] * 자 마시고 죽자 * 한 걸음 두 걸음 * 아프고 눈물 나는 사람 * 슬플 땐 빨래를 해 * 참 예뻐요(reprise) * 서울살이 몇 핸가요?(reprise)[* 후주 부분에 참 예뻐요 멜로디가 흐른다.] == 등장인물 == * 서나영: 서울살이 5년 차인 당찬 강원도 아가씨. 강릉시 연곡면 영진리에서 살다 왔다. 가족으로는 홀로 강릉에 남아있는 어머니가 있다. 작가가 되는 것이 꿈이지만 여러 사정에 밀려서 앞길이 막막한 듯. * 솔롱고: 본명은 솔롱고스.[* 몽골어로 솔롱고는 무지개, 솔롱고스는 한국이라는 뜻이다. 그러나 본래 솔롱고, 솔롱고스는 잘못된 발음이며, 실제 몽골어 발음은 설렁거, 설렁거스에 가깝다. 솔롱고스는 발음상 "약한 방귀(сул + унгас)"로 들릴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런 오류는 설렁거스의 영문표기인 Solongos를 실제 몽골어 발음이 아닌 영문 발음 그대로 사용하는 데서 생겨난 것이다.] 꿈을 위해 무지개 나라 한국에 일하러 온 지 5년 차인 순수한 몽골 청년. 대학에서 러시아 문학을 전공했다. * 주인 할매: 본명은 이기조. 나영과 희정엄마가 세들어 사는 반지하방[* 무대 세트 형상으로는 반지하처럼 안 보이지만, 대사에 나온다.] 주인집 할머니. 장애인인 자식이 있다.[* 주인할매 집에 장애인 재등록 고지서가 온다.] * 희정 엄마: 본명은 임미숙. 애인과 밤낮으로 싸우며 온 동네를 시끄럽게 하는 애교쟁이.[* 예매처에 나온 캐릭터 소개.] 동대문 청평화시장 408호에 옷가게를 차리고 있다. * 구씨: 희정엄마와 매일같이 싸우지만 마음만은 다정한 로맨티스트. 하지만 희정엄마를 두고 맞선도 보러 갔다. * 빵: 나영이 일하는 서점인 제일서점의 사장. 본명은 엄훈성으로, 아주 힘든 시절 한강에서 죽어 버리겠다는 심정으로 빵을 씹고 있을 때 햇빛이 비추며 새 한마리가 와서 힘을 내요 라는 소리를 들었다는 이야기를 직원들에게 하도 많이 해서 별명이 빵이다. 경영 중인 서점은 [[상장(주식)|주식시장 상장]], 본인은 [[국회의원]] 출마를 앞두고 있는 등 겉으로는 잘 나가는 사장처럼 보이지만 실상은 직원들을 막 대하거나 [[낙하산 인사|자기 아들을 중간관리직에 앉히는]] 등 악덕 사장인데다 회사 사정도 좋지 않아 계약 중인 출판사에 5개월짜리 [[어음]]으로 대금을 지불하거나 회사 자본금을 사채 시장에 푼다는 소문도 돌고 있다. 이 사실을 지숙이 지적하자 지숙을 그대로 해고하고, 나영이 지숙의 부당해고를 항의하자 나영마저 파주의 물류센터로 좌천시킨다. * 김지숙: 제일서점에서 15년을 일한 선임직원. 승진 시기가 지났지만 빵이 대리 승진을 시키지 않고 있다. 서점의 상황이 IMF 때보다 좋지 않아 빵이 5개월짜리 어음을 유통시키고 회사 자본금을 사채 시장에 푼다는 이야기를 출판사 직원에게 듣고 빵에게 고언을 하지만 오히려 부당해고를 당한다. * 마이클[* 2009년 연강홀 공연까지는 '낫심'이었다.]: 솔롱고의 룸메이트이자 재간둥이 필리피노. 공장에서 팔을 다친 후 해고 당한다. * 제일서점 직원: 나영의 직장 동료. 남직원, 여직원 총 2명의 직원이 등장한다. * [[http://www.cbi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77492|사이]]: [[TV판]] [[오리지널 캐릭터]]. [[https://m.blog.naver.com/PostView.naver?isHttpsRedirect=true&blogId=cmcane&logNo=90132843698|힘내요 노량진 박을 부른다.]] 이외에도 공익요원, 출판사 직원(서과장), 슈퍼 주인, 빵 아들 등이 고정 배역이다. 그리고 대부분[* 서나영役 제외!]의 배역이 [[1인 다역]]이다. == 한국 공연 == === 20차 프로덕션 === 2017년 11월 29일부터 2018년 4월 29일까지 대학로 동양예술극장 1관에서 공연되었다. * 나영 - [[신고은(배우)|신고은]], 하은설, [[김주연(배우)|김주연]] * 솔롱고 - 조상웅, [[노희찬]] * 주인 할매 - 장이주, 진미사, 강정임 * 희정 엄마 - 이세령, 강나리 * 구씨 - [[장격수]], 한우열, [[김희창]] * 빵 - [[박정표]], 심우성, [[김지훈(1982)|김지훈]] * 마이클 - 박수현, 유동훈, 이태오 * 제일서점 직원 - 박찬양, 박도연 === 21차 프로덕션 === 2018년 5월 5일부터 2019년 1월 6일까지 대학로 동양예술극장 1관에서 공연되었다. * 나영 - [[김수아(배우)|김수아]], [[초아(크레용팝)|허민진]] * 솔롱고 - 조상웅, [[진태화]], [[노지마 나오토]] * 주인 할매 - 진미사, 최정화 * 희정 엄마 - [[허순미]], 김지혜, 강나리 * 구씨 - 류경환, 이정현 * 빵 - [[박정표]], 정평 * 마이클 - 박정민, 유동훈 * 제일서점 직원 - [[구다빈]], 서태인[* 당시 서지예라는 이름으로 활동] === 22차 프로덕션 === 2019년 1월 15일부터 2019년 9월 1일까지 대학로 동양예술극장 1관에서 공연되었다. * 나영 - [[윤진솔]], 권소이 * 솔롱고 - 김지휘, 강기헌 * 주인 할매 - 장이주, 강나리[* 당시 최민경이라는 이름으로 참여] * 희정 엄마 - [[허순미]], 김지혜 * 구씨 - 류경환, 심우성[* 당시 심윤보라는 이름으로 활동] * 빵 - [[박정표]], 정평 * 마이클 - 서인권, 나경호 * 제일서점 직원 - 김유정, 서태인, [[구다빈]] === 23차 프로덕션 === 2019년 9월 10일부터 2020년 3월 8일까지 대학로 동양예술극장 1관에서 공연되었다. * 나영 - [[김청아(배우)|김청아]], 김미미 * 솔롱고 - 강기헌, [[이진혁(뮤지컬 배우)|이진혁]] * 주인 할매 - 강정임, 강나리 * 희정 엄마 - [[허순미]], 김지혜 * 구씨 - 한우열, 심우성 * 빵 - [[김지훈(1982)|김지훈]], 박준성 * 마이클 - 서인권, 나경호 * 제일서점 직원 - 김유정, 서태인 === 24차 프로덕션 === 2020년 6월 3일부터 2021년 1월 24일까지 대학로 동양예술극장 1관에서 공연되었다. * 나영 - [[김청아(배우)|김청아]], 김미미 * 솔롱고 - [[이진혁(뮤지컬 배우)|이진혁]], 이선덕 * 주인 할매 - 진미사, 강나리 * 희정 엄마 - 양미경, 백지예, 이예지 * 구씨 - 한우열, 이승헌 * 빵 - [[김지훈(1982)|김지훈]], 박준성 * 마이클 - 이태오, 나경호 * 제일서점 직원 - 박찬양, 이미주 === 25차 프로덕션 === 2021년 11월 5일부터 2022년 5월 29일까지 대학로 유니플렉스 2관에서 공연되었다. * 나영 - [[윤진솔]], [[김청아(배우)|김청아]] * 솔롱고 - [[노희찬]], 강기헌 * 주인 할매 - 진미사, 김은주 * 희정 엄마 - 강나리, 허순미 * 구씨 - 한우열, 이승헌 * 빵 - [[김지훈(1982)|김지훈]], 박준성 * 마이클 - 조훈, 이태오 * 제일서점 직원 - 박찬양, 박도연 === 26차 프로덕션 === [include(틀:뮤지컬 빨래/26차)] 2022년 6월 20일부터 2023년 1월 29일까지 25차 프로덕션과 동일한 장소인 대학로 유니플렉스 2관에서 공연되었다. * 나영 - [[김청아(배우)|김청아]], [[성민재]] * 솔롱고 - [[노희찬]], [[김지훈(뮤지컬 배우)|김지훈]][* 빵 역의 김지훈과 다른 배우], [[이주순]] * 주인 할매 - 진미사, [[최정화(배우)|최정화]], 조영임 * 희정 엄마 - [[허순미]], 김은지 * 구씨 - 이승헌, 이강혁 * 빵 - [[김지훈(1982)|김지훈]][* 솔롱고 역의 김지훈과 다른 배우], [[안두호]], 심우성 * 마이클 - 이태오, 박건우 * 제일서점 직원 - 박도연, 정예지 === 27차 프로덕션 === 2023년 2월 9일부터 2023년 10월 1일까지 25, 26차 프로덕션과 동일한 장소인 대학로 유니플렉스 2관에서 공연된다. * 나영- 박은미, [[장혜민]], [[강연정]] * 솔롱고 - 조상웅, 강기헌, 문남권 * 주인할매 - 진미사, [[최정화(배우)|최정화]], 조영임 * 희정엄마 - 양미경, [[허순미]], 김은지 * 구씨 - [[장격수]], 이승헌, 이강혁 * 빵 - [[김지훈(1982)|김지훈]], 심우성 * 마이클 - 이태오, 박건우, 이윤성 * 제일서점직원 - 김유정, 정예지 === 28차 프로덕션 === 2023년 10월 12일부터 2024년 5월 26일까지 대학로 유니플렉스 2관에서 공연된다. * 나영 - [[강연정]], [[장혜민]], 서은지 * 솔롱고 - 강기헌, 문남권, [[이진우(1992)|이진우]] * 주인할매 - [[최정화(배우)|최정화]], 조영임 * 희정엄마 - 김은지, 백지예 * 구씨 - 이강혁, 김영환 * 빵 - [[김지훈(1982)|김지훈]], 심우성, 박준성 * 마이클 - 이윤성, 김민국 * 제일서점직원 - 정예지, 이가연, [[구다빈|구다빈]] == 역대 출연진 == * '''나영''' || '''공연 연도''' || '''배우''' || || 2006 || 김영옥 || || 2008[*A 3/15~8/17] || 황지영, 최정인[* 당시 활동명은 최보광] || || 2008[*B 8/29~12/31] || 엄태리, 강유미([[언더스터디]]) || || 2009 || [[곽선영]], 조선명 || || 2009~2010 || 최정인, 조선명, 엄태리 || || 2010~2011 || 최보영, 김선영 || || 2010 지방 || 엄태리 || || 2011 || 라린[* 당시 활동명은 이보라], 차미연 || || 2011~2012 || 차미연, 조헌정 || || 2012 || [[최연우]][* 당시 활동명은 최주리], 혜진이[* 당시 활동명은 김혜진], 차미연, [[서예림(배우)|서예림]](커버)[* 당시 활동명은 김예림] || || 2012 대구 || [[김수아(배우)|김수아]], 차미연, 조헌정, 엄태리 || || 2012[*C 2000회 기념공연] || 엄태리, 조선명, 김수아, 조헌정, [[최연우]], 라린, 차미연 || || 2012~2013 || 엄태리, 차미연, 조헌정 || || 2013 || [[곽선영]], [[홍지희]], 박은미 || || 2013 지방 || 차미연 || || 2013~2014 || [[곽선영]], 김수아, [[최연우]], [[홍지희]] || || 2014 || 차미연, [[이지숙]], [[윤지원]] || || 2014~2015 지방 || 엄태리 || || 2014~2015 || [[홍지희]], [[장혜민]] || || 2015[*D 10주년 기념공연 ] || [[최연우]], 장혜민, 차미연, 이지숙, [[홍지희]] || || 2015 지방 || 엄태리 || || 2015~2016 || 이지숙, [[강연정]], 장혜민 || || 2016 지방 || 이지숙, 차미연 || || 2016~2017 || 엄태리, 김수아, [[홍지희]], [[강연정]], [[강지혜]] || || 2017 지방 || 장혜민 || || 2017 || [[박지연(배우)|박지연]], [[신고은(배우)|신고은]], [[나하나]] || || 2017~2018 || 신고은, 하은설, 김주연 || || 2018 지방 || 신고은, 엄태리, [[강지혜]] || || 2018~2019 || 김수아, [[초아(크레용팝)|허민진]] || || 2019 대구 || 엄태리 || || 2019 || [[윤진솔]], 권소이 || || 2019 대전 || 장혜민 || || 2019~2020 || [[김청아(배우)|김청아]], 김미미 || || 2020 지방 || 김수아, 신고은, 장혜민 || || 2020~2021 || [[김청아(배우)|김청아]], 김미미 || || 2021 지방 || 신고은, 장혜민 || || 2021~2022 || 윤진솔, [[김청아(배우)|김청아]] || || 2022 예산 || 장혜민 || || 2022~2023 || [[김청아(배우)|김청아]], [[성민재]] || || 2023 || 박은미, 장혜민, [[강연정]] || * '''솔롱고''' || '''공연 연도''' || '''배우''' || || 2006 || 임진웅 || || 2008[*A] || [[김재범]], 박시범 || || 2008[*B] || [[박호산]][* 당시 활동명은 박정환], [[박정표]], 이석(언더스터디) || || 2009 || '''[[임창정]]''', '''[[홍광호]]''' || || 2009~2010 || '''[[임창정]]''', 박정표, '''[[정문성]]''', '''[[이규형(배우)|이규형]]''', 배승길, [[성태준]][* 당시 활동명은 성두섭] || || 2010~2011 || 성태준, '''[[이규형(배우)|이규형]]''', 배승길 || || 2010 지방 || 박정표, 성태준, 배승길 || || 2011 || 성태준, 이주광, '''[[정문성]]''' || || 2011~2012 || [[김종구]], 박정표, '''[[정문성]]''', '''[[이규형(배우)|이규형]]''' || || 2012 || [[최호중(배우)|최호중]], 이준혁[* 당시 활동명은 이진규] || || 2012 대구 || [[최호중(배우)|최호중]], 이준혁, 박정표 || || 2012[*C] || '''[[이규형(배우)|이규형]]''', [[박호산]], 이주광, '''[[정문성]]''', 이준혁, 최호중, 김종구 || || 2012~2013 || 김종구, [[최호중(배우)|최호중]], 이준혁 || || 2013 || [[김경수(배우)|김경수]], 김보강 || || 2013 지방 || 이준혁 || || 2013~2014 || '''[[정문성]]''', 김경수, 이준혁, '''[[이규형(배우)|이규형]]''' || || 2014 || 박정표, [[강정우(배우)|강정우]], [[김대현(1984)|김대현]] || || 2014~2015 지방 || 김경수, 이준혁, '''[[이규형(배우)|이규형]]''' || || 2014~2015 || 강정우, [[노희찬]] || || 2015[*D] || '''[[이규형(배우)|이규형]]''', '''[[정문성]]''', 노희찬, 이준혁, 배승길, 박정표, 김경수 || || 2015~2016 || 김지훈, [[노희찬]], [[노지마 나오토]] || || 2016 지방 || 이준혁, 강정우, 배승길 || || 2016~2017 || '''[[홍광호]]''', 배승길, 이준혁, [[배두훈]], 노희찬 || || 2017 || 임강성, 조상웅, [[노희찬]] || || 2017~2018 || 조상웅, 노희찬 || || 2018 지방 || [[노희찬]], 이준혁 || || 2018~2019 || 조상웅, [[진태화]], [[노지마 나오토]] || || 2019 대구 || [[노희찬]] || || 2019 || 김지휘, 강기헌 || || 2019 대전 || [[노희찬]] || || 2019~2020 || 강기헌, 이진혁 || || 2020 지방 || [[노희찬]], 강기헌 || || 2020~2021 || 이진혁, 이선덕 || || 2021 지방 || [[노희찬]], 이진혁 || || 2021~2022 || [[노희찬]], 강기헌, 이준혁, 이진혁 || || 2022 예산 || 강기헌 || || 2022~2023 || [[노희찬]], [[김지훈(뮤지컬 배우)|김지훈]], [[이주순]] || || 2023 || 조상웅, 강기헌, 문남권 || * '''주인할매''' || '''공연 연도''' || '''배우''' || || 2006 || 박은영 || || 2008[*A] || '''[[이정은(1970)|이정은]]''', 김현정[* 당시 활동명은 김서정] || || 2008[*B] || '''[[이정은(1970)|이정은]]''', [[이봉련]] || || 2009 || '''[[이정은(1970)|이정은]]''' || || 2009~2010 || 이봉련, 진미사, 김효숙 || || 2009 지방 || '''[[이정은(1970)|이정은]]''', 김효숙 || || 2010~2011 || 진미사[* 당시 활동명은 조민정], 이봉련 || || 2010 지방 || 이봉련, '''[[이정은(1970)|이정은]]''' || || 2011 || 진미사 || || 2011 지방 ||<|2> 강정임 || || 2011~2012 || || 2011~2012 지방 || '''[[이정은(1970)|이정은]]''', 김효숙 || || 2012 || '''[[이정은(1970)|이정은]]'''', [[김국희]], 강정임 || || 2012 대구 || 김효숙, [[김국희]] || || 2012[*C] || 이봉련, 진미사, [[김국희]], 김효숙, 강정임 || || 2012~2013 || 김효숙, [[김국희]] || || 2013 || '''[[이정은(1970)|이정은]]''', 진미사 || || 2013 지방 || 김효숙 || || 2013~2014 || 진미사, 임소라 || || 2014 || 김효숙, [[김국희]] || || 2014~2015 지방 || 김효숙, 진미사, 강정임 || || 2014~2015 || 김지선, 김은주 || || 2015[*D] || 강정임, 김지선, 김은주, '''[[이정은(1970)|이정은]]''', 진미사 || || 2015~2016 || 김은주, 김국희 || || 2016 지방 || 김효숙, 진미사 || || 2016~2017 || '''[[이정은(1970)|이정은]]''', 진미사, 김국희 || || 2017 지방 || 강정임 || || 2017 || 장이주, 진미사 || || 2017~2018 || 장이주, 진미사, 강정임 || || 2018~2019 || 진미사, [[최정화(배우)|최정화]], 강정임 || || 2019 || 장이주, 강나리[* 당시 활동명은 최민경] || || 2019 대전 || 진미사 || || 2019~2020 || 강정임, 강나리 || || 2020 지방 || [[최정화(배우)|최정화]], 강정임 || || 2020~2021 || 진미사, 강나리 || || 2021 지방 || 강정임 || || 2021~2022 || 진미사, 김은주 || || 2022 예산 || 장이주 || || 2022~2023 || 진미사, [[최정화(배우)|최정화]], 조영임 || * '''희정엄마''' || '''공연 연도''' || '''배우''' || || 2006 || 오미영 || || 2008[*A] || 이미선, 윤미영 || || 2008[*B] || 이정은, 이상은 || || 2009 || 이승희, 서나영 || || 2009~2010 || 이승희, 성소원, 이미선 || || 2010~2011 || 이승희 || || 2010 지방 || 성소원 || || 2011 || 최가인 || || 2011 지방 ||<|2> 한세라 || || 2011~2012 || || 2011~2012 지방 || 이승희 || || 2012 || 김송이, 한세라, [[서예림(배우)|서예림]](커버) || || 2012[*C] || 최가인, 이승희, 한세라, 김송이 || || 2012~2013 || 김송이, 한세라 || || 2013 || [[김국희]], 최가인 || || 2013 지방 || 이승희, 최가인 || || 2013~2014 ||<|2> 양미경, 김아영 || || 2014 || || 2014~2015 지방 || 양미경, 김송이 || || 2014~2015 || [[윤사봉]], 하미미 || || 2015[*D] || 양미경, 김아영, [[윤사봉]], 하미미, 한세라, 김국희 || || 2015 지방 || 김송이 || || 2015~2016 || [[윤사봉]], 김아영 || || 2016 지방 || 김송이 || || 2016~2017 || 장이주, [[윤사봉]], 양미경 || || 2017 ||<|2> 이세령, 강나리 || || 2017~2018 || || 2018 지방 || 양미경 || || 2018~2019 || '''[[허순미]]''', 김지혜, 강나리 || || 2019 대구 || 양미경 || || 2019 || '''[[허순미]]''', 김지혜 || || 2019 대전 || 양미경 || || 2019~2020 || '''[[허순미]]''', 김지혜 || || 2020 지방 || '''[[허순미]]''', 양미경 || || 2020~2021 || 양미경, 백지예, 이예지 || || 2021 지방 || 양미경, 김지혜 || || 2021~2022 || 강나리, '''[[허순미]]''' || || 2022 예산 || 김송이 || || 2022~2023 || '''[[허순미]]''', 김은지 || || 2023 || '''[[허순미]]''', 김은지, 양미경, 백지예 || * '''구씨''' || '''공연 연도''' || '''배우''' || || 2006 || 최진영 || || 2008[*A] || [[김희창]] || || 2008[*B] || 이성욱 || || 2009~2010 || 권형준, 이성욱, 맹상열, 서성종 || || 2009 지방 || 김희창, 맹상열 || || 2010~2011 || 서성종 || || 2010 지방 || 맹상열 || || 2011 || 윤성원 || || 2011 지방 ||<|2> [[장격수]] || || 2011~2012 || || 2011~2012 지방 || 이성욱 || || 2012 || 한우열[* 당시 활동명은 최정훈] || || 2012 대구 || [[장격수]], 윤성원 || || 2012[*C] || [[장격수]], 이성욱, 서성종, 윤성원, 한우열 || || 2012~2013 || 윤성원 || || 2013 || [[장격수]], 한우열 || || 2013 지방 || 윤성원 || || 2013~2014 || 김희창, 한우열 || || 2014 || 김희창, 이성욱 || || 2014~2015 지방 || [[장격수]] || || 2014~2015 || 김세중 || || 2015[*D] || 윤성원, 김세중, [[장격수]], 한우열, 김희창 || || 2015~2016 || 이성욱, 한우열 || || 2016 지방 || 한우열, [[장격수]], 김희창 || || 2016~2017 || [[정지호]], [[정재원(배우)|정재원]] || || 2017 지방 || [[장격수]], 김희창 || || 2017 || [[장격수]], 한우열 || || 2017~2018 || [[장격수]], 한우열, 김희창 || || 2018~2019 || 류경환, 이정현 || || 2019 대구 || 한우열 || || 2019 || 류경환, 심우성[* 당시 활동명은 심윤보] || || 2019 대전 || 윤성원 || || 2019~2020 || 한우열, 심우성 || || 2020 지방 || 윤성원, 김희창 || || 2020~2021 || 한우열, 윤성원, 심우성, 이승헌 || || 2021 지방 || [[장격수]] || || 2021~2022 || 한우열, 이승헌, [[장격수]] || || 2022 예산 || 심우성 || || 2022~2023 || 이승헌, 이강혁 || || 2023 || [[장격수]], 이승헌, 이강혁 || * '''빵''' || '''공연 연도''' || '''배우''' || || 2006 || 최진영 || || 2008[*A] || 이서환[* 당시 활동명은 이영기] || || 2008[*B] || 강승완 || || 2009 || 이서환 || || 2009~2010 || 남문철, 이서환, 김지훈, 이성욱, 김태문 || || 2010~2011 || 김지훈 || || 2010 지방 || 이서환 || || 2011 || 김지훈 || || 2011 지방 ||<|2> [[안두호]] || || 2011~2012 || || 2011~2012 지방 || 강승완 || || 2012 || 남문철, 안두호, 김태웅 || || 2012 대구 || 안두호, 맹상열 || || 2012[*C] || 맹상열, 김지훈, 김태웅, 안두호 || || 2012~2013 || 김지훈, 안두호 || || 2013 || 김지훈, [[최영우]][* 당시 활동명은 최연동] || || 2013 지방 || 강승완 || || 2013~2014 || 김지훈, 최영우 || || 2014 || 이서환, 김지훈 || || 2014~2015 지방 || [[최영우]], 이성욱 || || 2014~2015 || 김대곤, 심우성[* 당시 활동명은 심윤보] || || 2015[*D] || 이서환, 강승완, 심우성, 맹상열, 안두호, 김태웅, 김대곤, 최영우 || || 2015~2016 || 김대곤, 심우성 || || 2016~2017 || 최영우, 이서환, 김지훈 || || 2017 지방 || 심우성, 안두호 || || 2017 || [[박정표]], 김지훈 || || 2017~2018 || [[박정표]], 심우성, 김지훈 || || 2018 지방 || 심우성, 안두호 || || 2018~2019 || [[박정표]], 정평 || || 2019 대구 || 안두호 || || 2019 || [[박정표]], 정평, 김지훈 || || 2019 대전 || 안두호 || || 2019~2020 || 김지훈, 박준성 || || 2020 지방 || 정평, 안두호 || || 2020~2021 || 김지훈, 박준성 || || 2021 지방 || 안두호, [[최영우]], 정평 || || 2021~2022 || 김지훈, 심우성, 박준성 || || 2022 예산 || [[최영우]] || || 2022~2023 || 김지훈, 안두호, 심우성 || || 2023 || 김지훈, 심우성 || * '''마이클''' || '''공연 연도''' || '''배우''' || || 2008[*A] || 김성현, 류제윤[* 당시 활동명은 유제윤] || || 2008[*B] || [[정문성]] || || 2009 || [[정문성]] || || 2009~2010 || [[최호중(배우)|최호중]], 조훈, [[최영우]][* 당시 활동명은 최연동] || || 2010~2011 || [[최호중(배우)|최호중]] || || 2010 지방 || 박학주 || || 2011 || [[최호중(배우)|최호중]] || || 2011 지방 ||<|2> 박철완 || || 2011~2012 || || 2011~2012 지방 || [[최호중(배우)|최호중]], 김성현 || || 2012 || 김태경 || || 2012 대구 || 박철완, 지상록 || || 2012[*C] || 정문성, [[최호중(배우)|최호중]], [[최영우]], 조훈, 지상록, 박철완 || || 2012~2013 || 조훈 || || 2013 || 서인권 || || 2013 지방 || 지상록, 우윤구 || || 2013~2014 || 이태오, 우윤구 || || 2014 || 조훈, 이우종 || || 2014~2015 지방 || 서인권 || || 2014~2015 || 박정민, 조병준 || || 2015[*D] || 조훈, 서인권, 조병준, 이우종, 박정민, 박철완, 이태오 || || 2015~2016 || 조훈, 이태오 || || 2016 지방 || 서인권, 이태오 || || 2016~2017 || 이태오, 한상욱, 심규현 || || 2017 || 박수현, 유동훈 || || 2017~2018 || 박수현, 유동훈, 이태오 || || 2018~2019 || 박정민, 유동훈 || || 2019 대구 || 이태오 || || 2019 || 서인권, 나경호 || || 2019 대전 || 이태오 || || 2019~2020 || 서인권, 나경호 || || 2020 지방 || 조훈, 유동훈, 서인권 || || 2020~2021 || 이태오, 조훈, 나경호 || || 2021 지방 || 조훈, 이태오, 박정민 || || 2021~2022 || 조훈, 이태오 || || 2022 예산 || 이윤성 || || 2022~2023 || 이태오, 박건우 || || 2023 || 이태오, 박건우, 이윤성 || * '''제일서점직원''' || '''공연 연도''' || '''배우''' || || 2006 || 백미라 || || 2008[*B] || 강유미 || || 2009~2010 || 박은미, 강유미, 이세령[* 당시 활동명은 이세나] || || 2009 지방 || 최은주, 최혜림, 이하림 || || 2010~2011 || 박은미 || || 2010 지방 || 이세령 || || 2011 || 김수아 || || 2011 지방 ||<|2> 신문경 || || 2011~2012 || || 2011~2012 지방 || 김윤주 || || 2012 || 송은별, [[서예림(배우)|서예림]](커버) || || 2012 대구 || 이세령, 송은별 || || 2012[*C] || 박은미, 이세령, 송은별, 강유미, 김재은, 마나상 || || 2012~2013 || 김재은 || || 2013 || 송나영 || || 2013 지방 || 김재은 || || 2013~2014 || 송은별 || || 2014 || 이예지 || || 2014~2015 지방 || 송나영, 김재은 || || 2014~2015 || 김유정 || || 2015[*D] || 송은별, 김재은, 송나영, 김유정, 이예지 || || 2015~2016 || 이예지, 김유정 || || 2016 지방 || 김재은 || || 2016~2017 || 이예지, 김유정 || || 2017 지방 || 김재은, 김유정 || || 2017 || 송은별, 박찬양 || || 2017~2018 || 박찬양, 박도연 || || 2018 지방 || 김재은, 김유정 || || 2018~2019 || [[구다빈]], 서태인[* 당시 활동명은 서지예] || || 2019 대구 || 송나영 || || 2019 || 김유정, 서태인, 구다빈 || || 2019 대전 || 송나영 || || 2019~2020 || 김유정, 서태인 || || 2020 지방 || 구다빈, 송나영, 김유정 || || 2020~2021 || 박찬양, 이미주 || || 2021 지방 || 김유정 || || 2021~2022 || 박찬양, 박도연 || || 2022 예산 || 서태인 || || 2022~2023 || 박도연, 정예지 || || 2023 || 김유정, 정예지, [[구다빈|구다빈]] || == 여담 == * 2009년 연강홀 공연은 최초의 대극장 공연이었다. 뿐만 아니라 주인공 솔롱고 역에 '''[[임창정]]이 노개런티로 출연해서''' 화제가 되었는데, 정작 뮤덕들에게 특급뉴스가 된 것은 이것이 아니었다. 그것은 '''솔롱고 역의 다른 배우가 무려 [[홍광호]]라는 사실이었다!''' 이후 홍광호는 2009~2010년 [[오페라의 유령(뮤지컬)|오페라의 유령]]의 라울과 세계 최연소 팬텀, 2010~11년 [[지킬 앤 하이드]]를 거쳐 끝내 웨스트 엔드 [[미스 사이공]]에까지 진출한 대형 배우가 되었고, '홍광호의 솔롱고' 즉 '홍롱고'는 [[오페라의 유령(뮤지컬)|팬텀]]과 [[지킬 앤 하이드|지킬]]로 홍광호의 팬이 된 뮤덕들을 울부짖게 하는 이름이 되었다. ~~지나간 캐스트는 안 돌아와요~~ 여담이지만 연강홀에서의 공연은 공연장이 너무 커서[* 하지만 사실 연강홀도 중극장이다.] 작품과 잘 안 어울렸다는 평이 존재한다. 그러던 중 2016년 3월부터 올라오는 18차 프로덕션에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6/01/26/2016012603195.html|'''홍광호가 다시 출연'''한다는 소식이 전해졌다!]] 팬들의 반응은 그야말로 열광적. * 2009년 학전그린 공연부터 '나영이데이' 행사가 진행되었다. 이벤트의 이름대로 서울에서 생활하고 있는 여성들을 대상으로 하는 이벤트라서 남성관객들은 참석이 불가능하다. 주로 서울에서 홀로 자취하는 여성들이 살아가는 이야기가 오고가는 자리다. 첫 나영이데이는 2009년 9월 열렸으며 마지막 나영이데이는 2011년 5월이었다. 해가 넘어갔는데 언젠가는 또 열릴지 모르니 기대해보자. * 제작사 수박의 트위터에 [[김준수(JYJ)|김준수]]와 관련된 트윗으로 물의를 빚은 사건이 있었는데, 그에 대한 프로듀서의 긴 사과문과 진행과정의 트윗 중계로 뮤덕들에게 개념기획사로 등극. 또한 한 관객이 빨래를 보러 갔다가 매표소 직원의 불친절한 응대에 컴플레인을 걸자 60여 줄에 달하는 사과문을 보내기도 했다. 후자의 경우 비슷한 시기에 터진 [[쓰릴 미 크레이지 사태]]와는 극과 극의 대응이었다... * 뮤지컬 빨래를 10번 관람한 정도로는 마니아그룹에 끼지 못하며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3&oid=008&aid=0002548587|80번, 심지어 100번 본 관객이 있다는 기사가 있었다.]][* 뮤지컬은 보통 더블, 트리플 캐스팅인데, 덕후들은 적어도 각 캐스팅 당 한 번은 본다. 중심 인물이 4명에 더블 캐스팅이라 해도 그 조합의 수는... 2018년 5월 부터 오르는 공연이 21기이다.] * [[아저씨(영화)|아저씨]]의 만석, [[미생(드라마)|미생]]의 박과장 역 등 개성있는 악역으로 알려진 배우 [[김희원(배우)|김희원]]이 뮤지컬 빨래와 깊은 인연이 있다. 초기부터 예술감독, 엔젤 투자자의 역할을 했고 소극장 아트센터K 네모극장에서 중극장인 두산아트센터 연강홀로 옮기는데 기여를 했다고 한다.[[http://star.ohmynews.com/NWS_Web/OhmyStar/at_pg.aspx?CNTN_CD=A0001833280&CMPT_CD=P0001|인터뷰]][[http://www.jungculture.co.kr/news/articleView.html?idxno=8020|관련 기사]] * 여주인공인 서나영의 이름은 [[http://navercast.naver.com/magazine_contents.nhn?rid=1487&contents_id=91684|2003년 한국예술종합학교 졸업작품 공연 당시 그 역할을 맡았던 배우의 이름에서 가져왔다.]] * 추민주 연출이 빨래 대본을 처음 썼을 때 가지고 있던 비하인드 스토리 글들이 있어 2015년 11월 중에 소설책을 낼 예정이고 5년 후에는 영화 개봉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한다.[[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3&oid=003&aid=0006578246|관련 기사]] 그러나 2018년 현재도 영화화 된다는 소식이 없다. * 10년 전과 비교해 시대가 바뀐 만큼 한 때 개작을 고려했지만, 외국인 노동자의 열악한 현실, 어느날 갑자기 직장을 잃을 수 있다는 불안한 노동 시장 등의 문제가 아직도 그대로이기 때문에 이야기를 고수하기로 했다.[[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3&oid=003&aid=0006578246|관련 기사]][[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3&oid=025&aid=0002493352|관련 기사]] 09년의 월세 보증금 300만 원이 18년에는 500만 원으로 올랐다. (매달 내야 하는 전기 요금과 물값 각 10,000원, 화장실 요금 5,000원은 같다.) 다만 시대 배경까지 크게 바뀐 것은 아니고, 초연 당시에서 몇 년 지난 때인 듯. 캐릭터들이 스마트폰을 쓴다. * 2009년 11월 10일 [[https://youtu.be/gPKmlriLj8E|SBS 문화가중계에서 "임창정의 뮤지컬 빨래" 라는 제목으로 55분 분량의 공연 편집본을 방송했다.]] 또 2010년 9월 22일 KBS 2TV에서 추석 특집으로 뮤지컬 '빨래'의 대표적인 레퍼토리를 엮어 지방 출신 청춘들의 서울살이 애환을 담은 뮤지컬 다큐멘터리 "[[https://www.youtube.com/watch?v=8NHRFCRVzms|서울의 달밤]]"을 방송했다. * 공식 블로그에서 [[http://ch-soobak.com/221201519601|삽입곡 CD를 구입할 수 있다.]] 절판되었던 CD와 동일한 출연진(나영: 엄태리, 솔롱고: 홍광호 등)인데 2009년 공연에 추가된 안녕과 한 걸음 두 걸음이 추가되었다. 2018년 21기 공연장에서도 판매하고 있다. (카드 구입 가능) * 2015년 9월 24일에 담낭암으로 사망한 일본의 여배우 카와시마 나오미가 사망 직전인 9월 17일까지 출연했던 작품으로 일본 내에서 화제가 되었다. * 중국의 [[THAAD]]의 한국 배치에 대한 후폭풍을 받고 있다는 기사가 나왔다. [[http://naver.me/5rVs0kjP|네이버 국민일보 기사]] * 2018년 5월 개막한 첫째 주말 공연은 전회 매진 만석이었다. 장소는 대학로 동양예술극장 4층 그대로. 외국인 관객을 위해 일주일에 두 번 영어, 중국어 자막을 무대 옆 모니터에 띄워준다고 한다. * [[MBC]] 예능 [[놀면 뭐하니?]] 방구석 콘서트에서 일부 넘버를 공연하였다. ||[youtube(uskWsTaXgBg)]|| * 2009 개정 교육과정 천재교육 중학 국어 3학년 교과서에 수록되었다. == 둘러보기 == [include(틀:민찬홍 작곡)] [[분류:창작 뮤지컬]][[분류:2005년 극작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