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희왕]]의 장착 마법 카드. [include(틀:관련 문서, top1=푸른 눈)]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31611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장착=, 한글판명칭=빛의 인도, 일어판명칭=(ひかり)(みちび)き, 영어판명칭=Beacon of White, 효과1=①: 자신 필드에 다른 "빛의 인도"가 존재하지 않으며\, 자신 묘지에 "푸른 눈" 몬스터가 3장 이상 존재할 경우\, 그 중의 1장을 대상으로 하고 이 카드를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의 효과를 무효로 하고 특수 소환하여\, 이 카드를 장착한다. 이 카드가 필드에서 벗어났을 때에 그 몬스터를 제외한다., 효과2=②: 장착 몬스터 이외의 자신의 몬스터는 공격할 수 없으며\, 자신 묘지에 "푸른 눈" 몬스터가 존재할 경우\, 장착 몬스터는 그 수까지 1번의 배틀 페이즈 중에 공격할 수 있다.)] [[은룡의 굉포]] 이후로 나온 [[푸른 눈]] 관련 소생 카드, 겸 장착 카드. 그러나 발동 조건도 꽤 까다롭고, 파괴되는 것만이 아니고 단순히 필드에서 벗어나면 기껏 소생시킨 몬스터를 제외시켜 버린다. 특히 [[싸이크론]] 같은 카드에겐 쥐약. 소생 효과만으로만 치면 오히려 [[계승의 상징]]이나 [[은룡의 굉포]], [[죽은 자의 소생]], [[소울 차지]]와 같은 쟁쟁한 소생카드에게 압도당할 지경이니 소생 효과는 사실상 덤. 다만 이 카드가 장착 카드라는 건 [[암즈 홀|그만큼 패에 들여오기 쉽다는 뜻도 되므로]] 일장일단이라 할 수 있다. 이 카드의 진정한 가치는 바로 2번 효과에 있는데, 이 카드를 장착한 몬스터만 전투할 수 있다는 디메리트가 붙지만 그것을 만회하고도 남는 효과로 무려 묘지의 '''"푸른 눈" 카드의 수'''만큼 공격이 가능하다. 보통 이런 효과는 카드의 종류를 따지는데 이 카드는 같은 종류 구분없이 총 숫자만 따진다. 즉 사용 조건을 만족시킨 순간 최소 2번. 드래곤 관련 서포트와 전용 카드까지 합하면 이론상으로는 '''(푸른 눈 카드군 × 3)-1[* 이 카드로 소환한 푸른 눈을 빼야 하므로 -1. 다른 소생계 카드와 비교할시 원래 한번은 공격할 수 있음으로 (푸른 눈 카드군 × 3)-2 만큼 더 공격할 수 있는 셈이다.]의 횟수만큼 공격'''이 가능하다. 지금까지 공개된 푸른 눈은 메인덱 카드가 11종[* [[푸른 눈의 백룡|백룡]], [[툰#s-4.2.1|툰 드래곤]], [[Sin 푸른 눈의 백룡|Sin 백룡]], [[푸른 눈의 빛룡|빛룡]], [[푸른 눈의 아백룡|아백룡]], [[하얀 영룡]], [[푸른 눈의 카오스 MAX 드래곤|카오스 MAX 드래곤]], [[푸른 눈의 카오스 드래곤|카오스 드래곤]], [[푸른 눈의 솔리드 드래곤|솔리드 드래곤]], [[딥 오브 푸른 눈]], [[푸른 눈의 제트 드래곤|제트 드래곤]]]이고 엑스트라 덱 카드가 6종[* [[푸른 눈의 쌍폭렬룡|쌍폭렬룡]], [[궁극의 푸른 눈의 백룡|궁극의 백룡]], [[푸른 눈의 정령룡|정령룡]], [[진 궁극의 푸른 눈의 백룡|진 궁극의 백룡]], [[궁극의 푸른 눈의 아룡|궁극의 아룡]], [[푸른 눈의 타이란트 드래곤|타이란트 드래곤]]]으로 총 17종이다. 엑스트라덱 15장 제한을 꽉채우고 메인덱에도 넣을 수 있는 모든 카드를 넣는다면 최대 공격 가능 횟수는 '''47회'''. 공격력이 4500으로 가장 높은 높은 궁극의 푸른 눈의 백룡, 진 궁극의 푸른 눈의 백룡, 궁극의 푸른 눈의 아룡에게 장착할 경우[* [[푸른 눈의 빛룡]], [[푸른 눈의 쌍폭렬룡]], [[푸른 눈의 카오스 MAX 드래곤]], [[푸른 눈의 카오스 드래곤]]은 묘지에서 특수 소환이 불가능해서 안된다. 설령 어느 쪽이든 소환이 가능하더라도 효과가 무효화되기 때문에, 궁극의 푸른 눈의 백룡 시리즈보다 높은 데미지를 낼 수가 없다.] 총합 데미지는 '''211500으로 8000 LP를 약 26회 가량 끝장낼 수 있는 수치다.''' 그리고 이 수치는 당연히 새로운 푸른 눈 카드가 추가될 때 마다 늘어나고 있다.[* 푸른 눈 카드가 덱을 푸른눈으로만 채울 수 있을때까지 늘어난다고 가정했을시, 이론상 최대 횟수는 메인덱 60장 + 엑스트라덱 15장 - 빛의 인도 1장 - 소생시킨 푸른 눈 = 73회. 물론 이렇게되면 덱이 푸른눈 몬스터와 빛의 인도밖에 없게되기 때문에 덱과 엑스트라덱, 손패를 묘지로 보내주는 푸른눈 몬스터가 나온게 아닌 이상, 상대에게 의존해야하기 때문에 실질 불가능하다.] 하이리스크 하이리턴의 끝을 보여주는 카드. 상성이 가장 좋을 것으로 추정되는 것은 당연히 [[궁극의 푸른 눈의 백룡]] 시리즈. 원본 궁극룡의 경우 융합 소환 후에 이 카드의 효과만을 바라고 묘지에 묻는 것은 약간 부담스럽겠지만, 효과가 없는 몬스터라서 효과가 무효화되더라도 손해 볼 게 없고, 소생 제한이 없으므로 4500의 깡뎀으로 최소 2번 공격해서 피니시를 낼 수 있을 것이다.[* 재미있게도, 원작의 궁극룡은 남아있는 머리의 숫자만큼 공격할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었다. 실제로 궁극의 푸른 눈의 백룡의 최소 조건인 백룡×3장+궁극의 푸른 눈의 백룡을 제외한 다른 푸른 눈 카드가 묘지에 없다면 이 카드로 궁극의 푸른 눈의 백룡을 되살릴시 3번 공격이 가능하게되어 원작 재현이 된다.] 마찬가지로 궁극룡의 다른 형태인 [[진 궁극의 푸른 눈의 백룡]], [[궁극의 푸른 눈의 아룡]] 또한 소생 제한이 없기 때문에 같은 활용법이 가능하다. 아룡의 경우 효과 내성과 파괴 내성, 카드 파괴 효과를 쓸 수 없다는 점이 아쉽기는 하지만. 사실 굳이 궁극룡까지 가지 않아도 2회 공격이면 공격력이 제일 낮은 하얀 영룡이나 푸른 눈의 정령룡이라도 5000, 다른 푸른 눈이면 6000이다. 1장이라도 푸른 눈이 더 묻혀 있다면 영룡 / 정령룡은 7500, 다른 푸른 눈은 9000으로 [[원턴킬]]급 데미지가 나온다. 묘지에 푸른 눈이 별로 없더라도 [[용의 영묘]], [[트레이드 인]], [[빛의 영당]], [[용의 계곡]]등으로 빠르게 푸른 눈을 다수 묻어버리기는 어렵지 않기 때문에 잘못 방심하다가 이 카드로 직공을 허용하게되면 무조건 죽는다고 보면 된다. [[No.95 갤럭시아이즈 다크매터 드래곤]]이 현역이었을 당시에는 묘지에 푸른 눈이 단 1장도 없더라도 필드에 푸른 눈을 2장이라도 부를 수 있다면 그대로 원턴킬 루트가 성립되었다.[* 다크매터를 엑시즈 소환했을때 덱에서 푸른 눈 몬스터 3종류를 묘지로 보낸다. 그 후 다크매터의 2회 공격 효과 발동을 선언하면서 엑시즈 소재로 푸른 눈이 제거되면서 묘지에 푸른 눈이 4장이 쌓인다.] 소생시키는 것이 푸른 눈의 백룡만 아니라면 [[멸망의 폭렬질풍탄]] 과의 연계도 고려해 볼 만 하다.[* 이 카드로 아백룡를 되살릴 경우, 효과가 무효화 돼서 푸른 눈의 백룡으로 취급되지 않기에 다른 푸른 눈의 백룡으로 멸망의 폭렬질풍탄을 쓴 후에도 공격이 가능하다.] 결국 이를 이용한 '''인도 원턴킬'''덱이 만들어지고 말았다. [[마도 잡화상인]]등으로 덱을 미친듯이 갈아대면서 빛의 인도로 상대를 박살내버리는 덱. 태그 듀얼에서 같은 푸른 눈 덱이면 푸른 눈 카드가 잔뜩 쌓이므로 상상을 초월하는 연속공격을 할 수 있다. [[https://youtu.be/XgHfQ6bV_Ss|빛의 인도로 '''48번 공격하고 그걸 전부 막아내는 영상..''']][* 1번째, 2번째 공격은 필드 위에 있던 [[다우너드 매지션]]과 새크리보로 막고, 3~18번째 공격을 크리보온의 효과로 버틴 뒤 [[이차원에서의 매장]]으로 크리보온 3장을 묘지로 되돌려 19~33번째 공격도 막아낸다. 이후 [[성급한 귀환]]으로 크리보온을 소환하면서 34번째 공격을 막은 후 또다시 크리보온의 효과를 발동시켜 35~39번째 공격까지 버티고, [[리빙 데드가 부르는 소리]]로 [[사우전드 아이즈 새크리파이스]]를 특수 소환하여 [[차원유폭]]의 코스트로 삼는다. 차원유폭의 효과로 소환된 크리보온 2장으로 40번째와 41번째 공격을 버티고 효과로 48번째 공격까지 버텨내며 필드에 크리보와 새크리보를 남긴다.] 북미에선 [[진룡의 자각]]과 함께 [[브레이커즈 오브 섀도우]] Special Edition에서 선행 발매되었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국가''' || '''기타사항''' || || [[샤이닝 빅토리즈]] || SHVI-KR060 || [[노멀]] || 한국 || 한국 최초수록 || || [[샤이닝 빅토리즈|SHINING VICTORIES]] || SHVI-JP060 || [[노멀]] || 일본 || 세계 최초수록 || || [[브레이커즈 오브 섀도우|Breakers of Shadow]] : Special Edition || BOSH-ENSE3 || [[슈퍼 레어]] || 미국 || 미국 최초수록 || || [[샤이닝 빅토리즈|Shining Victories]] || SHVI-EN060 || [[노멀]] || 미국 || || [[분류:유희왕/OCG/장착 마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