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빛고을체육관 광주시청각자료실 사진.jpg|width=100%]]}}}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빛고을체육관 2022 광주오픈 국제태권도대회.jpg|width=100%]]}}} || ||<-2> '''광주도시공사 여자 핸드볼단''' || ||<-2> '''{{{+2 빛고을체육관}}}[br]光之州體育館 | Bitgoeul Stadium''' || || '''개장''' ||[[1987년]] [[8월 3일]] (추정) || || '''소재지''' ||[[광주광역시]] [[서구(광주)|서구]] [[금화로]] 278 ([[풍암동]]) || || '''홈 구단''' ||'''[[광주도시공사 여자 핸드볼단|{{{#e8340b 광주도시공사 여자 핸드볼단}}}]]''' ([[핸드볼 H리그|핸드볼코리아리그-핸드볼 H리그]], 2011~ ) || || '''좌석''' ||약 1,600석 || || '''수용 인원''' ||약 2,000명 || || '''시공사''' ||[[남양건설]] || || '''소유''' ||[[광주광역시]] || || '''관리 주체''' ||광주광역시체육회 [[https://www.gwangjusportsinfo.org/location/location_view/9| ]] [[https://www.gwangjusportsinfo.org/space/space_view/11| ]] || ||<-2> [[http://gjarchive.kr/t_03031/16876|[[파일:광주광역시 휘장.svg|width=20]]]]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빛고을체육관, 너비=100%, 높이=225)]}}} || [목차] [clearfix] == 개요 == [[광주광역시]] [[서구(광주)|서구]] 소재 실내 [[체육관]]. [[염주종합체육관]] 바로 옆에 위치한 체육 시설로 염주체육관에 비해 작다. [[광주도시공사 여자 핸드볼단]]의 실질적 홈구장으로 매년 [[핸드볼 H리그]] 경기의 상당수를 개최하고 있다. == 시설 및 특징 == == 좌석 배치도 == == 교통 == * '''각 시외 교통 거점 기준 교통편''' * [[유스퀘어]]: [[광주 버스 매월26|매월26]], [[광주 버스 송암47|송암47]] 이용.[* 매월16번은 [[굴곡 노선/버스|상무지구로 크게 우회해서 간다.]] 여기서는 타지 말자.] * [[광주송정역]]: [[광주 도시철도 1호선]] [[광주송정역(도시철도)|광주송정역]]에서 [[쌍촌역]]으로 이동 후 [[광주 버스 매월16|매월16]]/[[광주 버스 송암47|송암47]] 환승. * [[광주역]]: 3층에 있는 2번(중흥삼거리) 출구로 나온 후 '광주역육교' 정류장에서 [[광주 버스 송암47|송암47]] 이용. * [[광주공항]]: [[광주 도시철도 1호선]] [[공항역(광주)|공항역]]에서 [[쌍촌역]]으로 이동 후 [[광주 버스 매월16|매월16]]/[[광주 버스 송암47|송암47]] 환승. 또는 공항역 사거리에 있는 '공항역' 정류장에서 [[광주 버스 첨단20|첨단20]]을 타면 환승 없이 올 수 있다. 시내 버스 이용 시 '염주체육관' 정류장에서 [[광주 버스 매월16|매월16]], [[광주 버스 첨단20|첨단20]], [[광주 버스 매월26|매월26]], [[광주 버스 송암47|송암47]], [[광주 버스 송암74|송암74]]를 이용할 수 있으며 바로 옆의 '월드컵경기장' 정류장에서는 급행 버스인 [[광주 버스 매월06|매월06]]을 탈 수 있다. 도시 철도 이용 시 현재로서는 [[광주 도시철도 1호선]] [[쌍촌역]]이 가장 가깝다. 다만 체육관에서 2km 가량 떨어져 있어 도보 이동보다는 쌍촌역 2번 출구 앞 '쌍촌역' 정류장에서 [[광주 버스 매월16|매월16]]으로 갈아타거나 3번 출구로 나와 바로 뒤돌면 보이는 사거리에서 좌회전하면 있는 '상무1동행정복지센터' 정류장에서 [[광주 버스 송암47|송암47]]로 갈아타면 편하게 올 수 있다.[* 현재 쌍촌역 2번 출구 앞에서 아파트가 공사 중인 관계로 염주체육관 방향 '쌍촌역' 정류장이 기존 위치보다 약 180m 더 멀어졌다. 때문에 3번 출구에서 나와 '상무1동행정복지센터'에서 탑승하는 것이 '쌍촌역' 정류장에서 탑승하는 것보다 도보를 절반 이하로 줄일 수 있어 더 편리하므로, 송암47번이 곧 도착하겠다 싶으면 '상무1동행정복지센터'로 가는 게 훨씬 낫다. 매월16과 송암47번 둘 다 시간이 애매하게 남았을 경우에는 아예 2번 출구로 나와 뒤돌면 보이는 사거리에서 우회전하여 앞으로 쭉 가면 보이는 '가톨릭대평생교육원' 정류장으로 가면, '쌍촌역' 정류장과 도보 거리는 크게 차이 안나면서도 매월16과 송암47번 버스를 둘 다 탈 수 있다.] 차후 2023년 12월 같은 부지 안에 있는 광주월드컵경기장 정문 앞에 [[광주 도시철도 2호선]] [[월드컵경기장역(광주)|월드컵경기장역]]이 개통할 예정이다. == 여담 == * [[광산구]] [[우산동(광산구)|우산동]] 소재의 [[https://gjmagong.gen.go.kr/xbaeum/index.php?mode=view&number=101|빛고을국민체육센터]]와 명칭은 유사하지만 관리 주체는 상이하다. 빛고을국민체육센터는 본래 빛고을 88 체육관으로 개관하여 [[KBS 비즈니스]]가 운영했으나 2008년 이후로는 광산구시설관리공단에서 관리한다. * [[광주-기아 챔피언스 필드]]와 5km의 거리가 있다. 환승하지 않고 시내버스를 이용해서 가려는 사람에게 매월 26, 송암 47 등을 추천한다. 그럼에도 걸어 가는 구간을 포함해보니 이동 시간은 30분 이상 소요된다. 광주광역시 지도에서 [[농성역]] 위에 야구 경기장이, 아래에 배구 경기장이 있다. * 선거가 있을 때 많이 사용한다. * 광주광역시체육회가 [[전국체육대회]] 출전 선수단 결단식을 개최하기도 하는 곳이다. * 매년 이곳에서 광주 오픈 국제태권도대회를 개최한다. * [[염주종합체육관]]에서 운영하던 광주 서구 [[코로나19]] 예방접종센터를 이곳으로 이전해 운영했다. == 둘러보기 == [[분류:광주월드컵경기장]][[분류:대한민국의 체육관]][[분류:광주광역시의 스포츠]][[분류:서구(광주)의 건축물]][[분류:광주도시공사 여자 핸드볼단]][[분류:광주교통공사 여자 유도단]][[분류:1987년 건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