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일:attachment/1271660760_binglejureong.jpg|width=300]] [목차] == 개요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gdcmFP9AGUM)]}}} || || {{{#ffffff '''빙글빙글 주렁주렁과 같은 원리로 만드는 과자 영상'''}}} || 1995년부터 1996년까지 2년만 판매되었던 추억의 [[과자]]. [[네루네루네루네]]로 유명한 일본 식품회사 가네보[* 위의 영상에 나온 제품이 바로 이 과자의 원본이다. 이름은 '나루나루 구미 열매'(なるなるグミの実)이며, 지금도 가네보의 후신인 크라시에에서 생산 중.]의 기술을 도입하여 1995년 11월부터 흥양산업[* 2016년 현재 [[롯데제과]]에서 판매하는 크런치 웨하스와 일부 빙과류를 생산하는 그 회사]이 만들어 [[해태제과]]를 통해 판매했다. 아래에 후술할 불미스러운 사건으로 인해 제조 및 판매가 중지될 때까지 800만 봉지가 넘게 팔렸을 정도로 당시에는 상당히 인기 좋은 과자였다. 가격은 500원.[* 2022년 11월 현재의 물가로 치면 1700원 정도로 양 치고는 꽤 비싼 편이다.] 당시 [[https://youtu.be/pR6IHSlP8dg|CF]]도 있었다.[* 링크된 영상의 첫 번째로 나오는 광고다.] 과자와 완구의 성격이 복합된 [[DIY]]형 분말 과자의 일종으로, 당시에는 [[개구리알]], [[요술젤리]], [[재미째리 스케치]] 등의 비슷한 종류의 과자들이 꽤 있었다. == 구성 == 내용물은 다음과 같다. * [[포도]]송이 모양의 플라스틱 구조물 * 플라스틱 그릇 2개(식판 모양 1개 + 그릇 모양 1개) * 흰 가루가 들어 있는 봉지: 이 과자의 가장 주된 요소. * 보라색 가루가 들어 있는 봉지: 보라색 가루를 물에 풀면 포도향을 내는 소스가 됨. 먹는 방법은 이렇다. 먼저 흰 가루를 식판의 큰 부분에 쏟아붓고, 또다른 그릇에는 [[물]]을 붓는다. 그리고 포도송이 모양을 물에 적신 뒤, 흰 가루에 대고 빙글빙글 돌리면, 가루가 물에 젖으면서 싱거운 달콤새콤 한 보라색 포도송이 모양의 젤리 형태로 굳는다. 한편 식판의 작은 부분에는 보라색 가루를 쏟은 후 물을 개어 소스를 만들고, 방금 만든 젤리를 여기에 찍어 먹으면 된다. == 주의 사항 == 흰 가루의 주성분은 감자[[녹말|전분]]으로, 수분을 만나면 보라색의 반투명 [[콜로이드]](젤리) 상태가 되는데, '''흡착성이 매우 크다'''. 따라서 설명서대로 따라하지 않고 흰 가루를 그냥 먹다가 잘못하여 기도로 들어가게 되면, 호흡 기관의 수분과 만나 젤리 상태가 되어, '''체외 배출 곤란 및 호흡 곤란의 위험'''이 크다. 결국 우려했던 대로 이로 인한 사망 사건이 터지고야 말았는데..... == 사건 == [include(틀:사건사고)] [[경상남도]] [[마산시]] [[합포구]](현,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합포구]])에서 한 3살짜리 아기가 1996년 1월 12일에 이 과자를 분말 상태로 그냥 먹다가 같은 달 22일 '''흡인성 폐렴으로 결국 사망'''한 사건이 발생했다. 당시 [[X선]] 촬영 결과에 의하면 오른쪽 폐 전체가 그 과자 분말로 뒤덮였다고 한다. 이 사건으로 인하여 결국 제조 및 판매 중지는 물론 이미 시중에 유통된 제품까지 [[리콜#s-3|전량 회수]] 및 폐기조치되었다. [[http://news.joins.com/article/3209018|당시 신문 기사1]]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6020100329122004|당시 신문 기사2]] [[http://imnews.imbc.com/20dbnews/history/1996/1967299_19466.html|당시 관련 뉴스]][* 1996년 1월 31일자 [[MBC 뉴스데스크]]] 게다가 비슷한 종류의 과자이자 같은 회사에서 만든 [[재미째리 스케치]]도, [[롯데제과]]에서 판매한 '마술작전'도 이와 같은 위험성이 있다는 이유로 빙글빙글주렁주렁과 함께 [[1996년 ]] [[1월 31일]]을 기점으로 결국 [[흑역사|역사 속으로 사라지고 말았다]]. == 여담 == * 다만 상술한 사고는 소비자가 해당 제품을 올바른 방법으로 섭취하지 않아서 발생한 사고이므로 판매를 지속해도 법적 문제가 발생하지는 않는다. 하지만 이걸 먹다가 사망한 사건이 뉴스에 보도된 이상 그 과자를 계속 판매해봤자 팔릴 리가 만무하고 도덕적으로도 비난받을 여지가 크기 때문에 단종된 것이다. * 다만 기술제휴였기 때문에 그 사건 이후에도 이것과 동일한 형태의 제품이 일본에서는 여전히 팔리고 있다. [[http://youtu.be/AGk1zbB7n6A|#]] * [[2015년]], 이와 유사한 형태의 과자가 [[포핀쿠킨]]이라는 명칭으로 [[http://news.jtbc.joins.com/html/953/NB10775953.html|정식 통관을 거치지 않은 제품까지 일본에서 수입되어 판매]]되고 있다는 사실이 보도되었다. [[분류:젤리]][[분류:1995년 출시]][[분류:1996년 단종]][[분류:해태제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