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유희왕/OCG/해룡족]][[분류:유희왕/OCG/싱크로 소환]] [include(틀:관련 문서, top1=빙결계)] [목차] == 개요 ==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의 상급 싱크로 몬스터 카드. [[유희왕 OCG 듀얼 터미널#s-4.1|듀얼 터미널 1 -싱크로 각성!!-]]에서 등장한 [[빙결계]] 싱크로 몬스터. 이름의 유래는 [[브류나크]]. == 설명 == === 에라타 전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04614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싱크로=, 한글판명칭=빙결계의 용 브류나크, 일어판 명칭=氷結界(ひょうけっかい)(りゅう) ブリューナク, 영어판명칭=Brionac\, Dragon of the Ice Barrier, 속성=물, 레벨=6, 공격력=2300, 수비력=1400, 종족=해룡족, 소재=튜너 + 튜너 이외의 몬스터 1장 이상, 효과1=자신의 패를 임의의 매수만큼 묘지에 버리고 발동한다. 그 후\, 필드 위에 존재하는 카드를 묘지로 보낸 매수만큼만 주인의 패로 되돌린다.)] [include(틀:유희왕/리미트 레귤레이션, OCG=금지 카드, TCG=금지 카드)] 패 코스트로 버린 매수만큼 필드의 카드를 패로 되돌리는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룰/효과#기동 효과|기동 효과]]를 가진 상급 싱크로 효과 몬스터. 패 어드밴티지는 1:2로 불리해지지만 바운스라는 능력은 강력해서 공들여 소환한 상대의 상급 몬스터를 그대로 바운스하는 것도 가능하고, 상대의 마함을 싹 패로 되돌린 후 안전하게 공격하는 것도 가능. 바운스를 좀 시켰다가 영 내키지 않거나 [[저승사자 고즈]]가 튀어나오는 등 필드의 상황이 변했을 경우에도 또 추가로 바운스할 수 있다. 패가 마르지 않는 [[언데드족]]이라면, 패를 이용해 상대 필드를 전멸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게다가 파괴가 아니라 [[스타더스트 드래곤]]도 못 막고 그저 엑스트라 덱으로 돌아갈 뿐이다. 참고로 패를 버리는 것은 '''코스트지 효과가 아니다.''' [[매크로 코스모스]]가 있으면 패를 '''묘지에''' 버리는 행위가 성립되지 않으므로 효과 발동 자체가 안 된다. 효과로 버려야하는 [[암흑계]]와는 연동할 수 없지만 [[마굉신]]이나 [[댄디라이언]], 그밖에는 묘지에서 특수 소환할 수 있는 [[스포어(유희왕)|스포어]]나 [[그로우업 벌브]], [[네크로 가드너]], [[황천 개구리]] 등을 버려서 효과를 2배로 적용할 수도 있다. 하지만 진정 무서운 점은 아무런 턴제가 붙어있지 않아 '''1턴에 몇 번이고 발동 가능'''하단 점으로, 거기에 자신 카드도 올릴 수 있다보니 범용성도 타이밍도 [[붉은 도깨비]]를 능가한다. 결국 이 때문에 '''모든 [[유희왕/무한 루프|무한 루프]]의 주범'''으로 등극하고 말았다. * [[성급한 매장]]과 [[데스티니 히어로 디스크 가이]]가 현역일 땐 그야말로 정신나간 콤보를 자랑했다. 이 카드를 싱크로 소환→성급한 매장으로 디스크 가이를 부활→2장 드로우→효과 발동(2장을 버리고)→디스크 가이와 성급한 매장을 패로 회수→다시 효과 발동, 디스크 가이를 버리고→필드 위의 카드를 패로 돌리고→성급한 매장으로 디스크 가이를 부활(반복) 이로 인해 디스크 가이와 성급한 매장은 금지를 먹었다. * 에라타 전 [[미래융합-퓨처 퓨전]]으로 덱에서 몬스터를 무한히 보낼 수도 있었다. 또 하나의 강력한 콤보는 다름아닌 '''[[축퇴회로]]'''와의 연계. 축퇴회로가 있으면 바운스한 몬스터를 그대로 제외시킨다. 그리고 또 다른 흉악한 연계 카드가 나왔는데 다름아닌 [[해황(유희왕)|해황]]머메일. 이 녀석들 상당수가 물 속성 몬스터의 '''효과를 발동하기 위해 묘지로 보내지면''' 자신들의 고유 효과가 발동되므로 브류나크와 연동하면 '''바운스&파괴&서치'''를 한꺼번에 다 해먹는다. 결국 [[고요우 가디언]]과 함께 2009년 3월 1일에 제한먹었으며, TCG에선 1년 뒤인 2010년 3월 1일에 제한을 먹었다. 2011년 3월 19일 [[마스터 룰]] 2의 공표로 소환 시 턴 플레이어 우선권에 의해 기동효과를 우선 발동하는 게 불가능해져 [[나락의 함정 속으로]]나 [[격류장]] 같은 카드를 맞고 아웃되면 효과를 발동할 수 없다. 오랫동안 제한을 유지하며 높은 성능을 발휘하던 찰나, [[유희왕 OCG 듀얼 터미널#s-4.13|듀얼 터미널 13]]에서 나온 [[다이가스타 에메랄]]과 [[인페르니티]], [[허공해룡 리바이엘]], 그리고 브류나크로 이뤄지는 무한루프가 개발됐다. 이 무한루프의 핵심은 인페르니티 네크로맨서와 브류나크. 이로 인해 2012년 9월에 금지가 됐다. 2013년 2월에 발매돼 심각한 밸런스 붕괴를 일으킨 [[정룡]]과의 조합을 보면 위의 무한 루프가 아니라고 해도 이 카드가 금지먹을 수밖에 없는 이유를 알 수 있다. 패의 정룡을 다 버린 뒤 상대 필드의 카드를 전부 패로 되돌려버린 후 묘지에서 상급 정룡이 기어나오게 된다면 말 그대로 [[원턴킬]]이 가능하다. 원턴킬까지 가지 않더라도 [[초재생능력(유희왕)|초재생능력]]을 발동하면 버린 것도 정룡이겠다, 패 코스트 없는 브류나크가 탄생하게 된다. 상급 정룡들이 전부 금지를 먹고 정룡 덱이 종언을 고한 2015년 4월에도 이 카드의 금지는 풀리지 않았다. 이 카드의 효과가 무한정 발동할 수 있는 이상, 계속해서 온갖 무한루프에 악용될 가능성이 높았기 때문. 게다가 듀얼 환경이 [[스타더스트 드래곤]]으로 인해 파괴 효과의 위상이 낮아진 데다, 싱크로 / 엑시즈 소환이 대세가 된 이후 [[강제 탈출 장치]]를 필두로 한 바운스 효과의 주가가 올라간 상황. 또한 패 코스트 / 묘지 자원 확보가 용이한 등 범용성이 뛰어나기에 에라타 없이 그대로 금지에서 풀리는 건 불가능했다. === 에라타 후 === [include(틀:유희왕/OCG/스트럭처 덱 커버 카드)] [[파일:氷結界の龍 ブリューナク(TW0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싱크로=, 한글판명칭=빙결계의 용 브류나크, 일어판 명칭=氷結界(ひょうけっかい)(りゅう) ブリューナク, 영어판명칭=Brionac\, Dragon of the Ice Barrier, 속성=물, 레벨=6, 공격력=2300, 수비력=1400, 종족=해룡족, 소재=튜너 + 튜너 이외의 몬스터 1장 이상, 효과외1=이 카드명의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패를 임의의 매수 묘지로 버리고\, 버린 수만큼 상대 필드의 카드를 대상으로 하여 발동할 수 있다. 그 카드를 패로 되돌린다.)] 2017년 1월에 에라타되어 제한 카드로 내려왔다. [[애니버서리 팩|20th ANNIVERSARY PACK 2nd wave]]에서 발매. 자신의 카드를 되돌릴 수 없게 되어 단순한 제거 카드로 변화했다. 바운스에 의한 대량 제거 자체는 강한 효과긴 하지만, 그만큼 패 코스트가 많이 들어 쉽게 손이 가는 몬스터는 아니다. [[코랄 드래곤]]을 비롯한 우수한 레벨 6 싱크로 몬스터가 많이 늘어난 지금 범용 싱크로 몬스터로서의 입지는 미묘한 편. 빙결계 덱의 경우 터미널 월드 팩 지원으로 전개력이 크게 올라 '''노코스트 비대상 3장 제외'''라는 훨씬 강력한 제거효과를 가진 [[빙결계의 환영룡 트리슈라]]를 소환하기 쉬워져서 패코스트도 필요한 이 카드를 굳이 소환할 만한 상황은 적다. 물 속성 범용 중에는 [[화이트 아우라#화이트 아우라 웨일|화이트 아우라 웨일]]이라는 매우 우수한 전체 제거 몬스터도 있다. 그래도 패 코스트 1장은 묘지의 조마사로 대체할 수 있고 레벨5가 된 경마사+빙결계 토큰 1장으로 나올 정도로 소환 조건이 가볍다보니 파괴나 제외 내성을 가진 상대를 제거할 때 쓸 용도로 1장 정도는 투입하기도 한다. 낮은 채용률 덕분에 OCG에선 2017년 4월에 준제한, 7월에 무제한이 됐다. TCG에선 2017년 3월 31일에 제한, 17년 9월에 준제한, 18년 2월 5일에 무제한. === 설정 === 본래 삼룡을 봉인하기 위해 세워진 빙결계였지만 작중 시점의 빙결계는 삼룡의 봉인을 유지하면서도 동시에 신앙하는 성향을 띄고 있다. 그런 빙결계에서 브류나크'''님'''이라고 경칭까지 받는 존재이며 대체적으로 빙결계의 세 용들 가운데서 긍지높은 동시에 현명한 언동을 보이는 캐릭터이다. [[웜(파충류족)|웜]]에 대항하기 위해 빙결계가 처음으로 해방했던 용으로, 1부 말에 트리슈라가 해방되면서 함께 폭주하며 날뛰다가 [[연옥의 함정 속으로|다른 빙결계의 두 용들과 함께 재봉인됐다.]] 하지만 2부 [[유희왕 OCG 듀얼 터미널#s-4.13|듀얼 터미널 13]]에서 그 봉인이 통째로 [[벨즈]]에 침식되는 바람에 다른 두 용들과 함께 벨즈화, '''[[벨즈 바하무트]]'''로 변해버렸다. [[유희왕 OCG 듀얼 터미널|DUEL TERMINAL NEXT]]의 어드벤처 모드인 '싱크로 각성!!'에서는 보스 캐릭터로 등장. [[태풍(유희왕)|태풍]]을 셋이나 갖고 있지만 1화라서 그런지 커맨드를 잘 쓰지 않는다. 플레이어를 '작은 것'이라 부를 정도로 인게임상 구현된 그래픽이 꽤 크다. '웜의 침공!!'을 클리어하면 나타나서 플레이어를 칭찬해주는데다 도우미 몬스터로도 입수할 수 있다. 그의 대사에 따르면 [[싱크로 소환|싱크로]]란 동료들과의 인연을 통해 생겨나는 힘으로, 잘못 사용했다간 세계가 끝나버린다고 한다. 부족간의 대립 끝에 나타난 [[빙결계의 용 트리슈라]]가 폭주해서 무슨 꼴이 났는지를 고려하면 의미심장한 발언. === 기타 === [[드래곤족]]인 [[빙결계의 용 궁니르]], [[빙결계의 용 트리슈라]]와는 달리 [[해룡족]]이다. 만약 드래곤족이었으면 [[데브리 드래곤]] 1장으로 튀어나오는 건 물론, 죽여도 [[붉은 눈의 암흑 메탈 드래곤]]으로 계속해서 되살릴 수 있게 되었을테니, 드래곤족이었다면 더더욱 빨리 금지되었을 것이다. [[유희왕 태그 포스]] 6에선 [[팀 라그나로크]]의 진정한 에이스 카드다. AI의 싱크로 소환 우선순위가 [[삼극신]]보다 이놈이 먼저이기 때문. 이외에 AI 문제 때문인지 CPU가 이 카드의 효과를 발동할 때 굳이 패 1장 버리고 1장 바운스하기를 여러 번 발동해가며 답답함을 보여준다. 에라타가 되기 전 이 카드 자신이 악명을 떨친 원인이었던 무한 루프 제조 역할이었던 자신의 필드 바운스의 축은 [[파이어월 드래곤]]이 이어받았고, 결국 파이어월 드래곤도 2018년 1월 금지제한 목록에서 제한, 2019년 1월 금지제한 목록에선 금지 카드가 되었다. 이후 파이어월 드래곤도 에라타되어 무제한이 된 것까지 비슷한 모습. 2009년 6월 22일에 한글판 [[골드 시리즈]]가 나오면서 이 녀석도 한글판으로 풀렸다. 하지만 일판처럼 [[댄디라이언]]과 함께 [[골드 레어]]. 덕분에 이놈만 금지 먹기 전까지 시세가 높았다. 골드 시리즈로 한국에 풀린 덕분에 [[유희왕 OCG 듀얼 터미널|듀얼 터미널]] 오리지널 카드 중 최초로 한국에 나온 카드이기도 하다. 또한 [[숨겨진 세력]]에서도 등장. 봉입률이 나쁘진 않았지만 말 그대로 랜덤이었다. 10만 원어치를 질러도 안 나와서 낱장으로 산 사람도 있고, 1통에 4장이 나온 경우도 있다고 한다. 영문판 숨겨진 세력 5 스페셜 에디션에서 슈퍼 레어로 복각돼 동봉카드로 나왔다(이 스페셜 에디션은 부스터팩 3개에 보통 슈퍼 레어 버전 복각 카드 2장 중 1장을 포함해 발매하는 걸 말한다) 문제는 브류나크랑 같이 복각된 놈이 바로 [[빙결계의 용 궁니르]]. 한국에서 골드 시리즈 2011에서 트리슈라로 당했던 궁니르 고문을 북미에서도 브류나크로 당한 셈이다. == 수록 팩 일람 == ||수록 시리즈 || ||<(> 2008-03-12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DT01-JP031 | '''[[유희왕 OCG 듀얼 터미널|デュエルターミナル 「シンクロ覚醒!!」]]'''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UR)] || ||<(> 2009-01-17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GS01-JP010 | [[골드 시리즈|GOLD SERIES]]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include(틀:유희왕 레어도/GR)] || ||<(> 2012-06-01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DTC1-JP022 | [[유희왕 OCG 듀얼 터미널|デュエルターミナル クロニクルⅠ 「覚醒の章」]]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UR)][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E)] || ||<(> 2012-08-25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GDB1-JP010 | [[골드 시리즈|THE GOLD BOX]]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UR)][include(틀:유희왕 레어도/GR)] || ||<(> 2017-02-11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20AP-JP062 | [[애니버서리 팩|20th ANNIVERSARY PACK 2nd WAVE]]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P + UR)] || ||<(> 2018-12-22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SSD2-JP021 | スピードスタートデッキ - シンクロ編 -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20-11-21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SD40-JPP02 | [[동옥의 빙결계|ストラクチャーデッキ - 凍獄の氷結界 - 氷解する宿命パック]]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P + SR)][include(틀:유희왕 레어도/P + SE)] || ||<(> 2023-11-25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TW01-JP036 | [[터미널 월드(부스터 팩)|TERMINAL WORLD]]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include(틀:유희왕 레어도/P)][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R)][include(틀:유희왕 레어도/P + SR)][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E)][include(틀:유희왕 레어도/P + SE)] || ||<(> 2009-06-23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GS01-KR010 | '''[[골드 시리즈]]'''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include(틀:유희왕 레어도/GR)] || ||<(> 2009-07-25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EV09-KR005 | 2009년 대회 프로모션 카드: SUMMER FESTIVAL 2009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E)] || ||<(> 2010-05-24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HA01-KR022 | [[숨겨진 세력]]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E)] || ||<(> 2017-05-11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20AP-JP062 | [[애니버서리 팩|크로니클 팩 2nd WAVE]]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P + UR)] || ||<(> 2019-05-04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SSD2-KR021 | 스피드 스타터 덱 - 싱크로 편 -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21-03-09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SD40-KRP02 | [[동옥의 빙결계|스트럭처 덱 동옥의 빙결계 - 빙해하는 숙명 팩 -]]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P + SR)][include(틀:유희왕 레어도/P + SE)] || ||<(> 2009-11-10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HA01-EN022 | '''[[숨겨진 세력|HIDDEN ARSENAL]]'''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E)] || ||<(> 2010-01-29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DT01-EN031 | [[유희왕 OCG 듀얼 터미널|DUEL TERMINAL 1]]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UR)] || ||<(> 2012-03-30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H5SE-EN001 | [[숨겨진 세력|HIDDEN ARSENAL 5 STEELSWARM INVASION SPECIAL EDITION]]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R)] || ||<(> 2012-06-12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GLD5-EN031 | [[골드 시리즈|GOLD SERIES HAUNTED MINE]]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GR)] || ||<(> 2017-03-31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DUSA-EN073 | DUELIST SAGA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UR)] || ||<(> 2019-10-11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DUDE-EN008 | Duel Devastator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UR)] || ||<(> 2021-02-19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SDFC-EN043 | [[동옥의 빙결계|STRUCTURE DECK: FREEZING CHAINS]]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R)] || ||<(> 2022-03-11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HAC1-EN051 | [[숨겨진 세력|HIDDEN ARSENAL CHAPTER 1]]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UR)] || == 관련 카드 == === [[벨즈 바하무트]] === === [[네크로즈#브류나크의 네크로즈|브류나크의 네크로즈]] === === 빙마룡 브류나크 === [include(틀:유희왕/OCG/V점프 동봉 카드/2023년)] [[파일:氷魔龍 ブリューナク.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싱크로=, 효과=, 한글판 명칭=빙마룡 브류나크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일어판 명칭=氷魔龍(ひょうまりゅう) ブリューナク, 영어판 명칭=Brionac\, the Dragon of Icy Malevolence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레벨=6, 속성=물, 종족=해룡족, 공격력=2300, 수비력=1400, 소재=튜너 + 튜너 이외의 몬스터 1장 이상,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②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이 카드를 싱크로 소환했을 경우\, 패를 1장 버리고\, 필드의 카드 1장을 대상으로 하여 발동할 수 있다. 그 카드를 패로 되돌린다., 효과2=②: 이 카드를 묘지에서 특수 소환했을 경우\, 패를 1장 버리고\, 필드의 카드 1장을 대상으로 하여 발동할 수 있다. 그 카드를 패로 되돌린다.)] 빙결계의 용 브류나크의 리메이크 버전 카드. [[빙옥룡 트리슈라|융합 몬스터]]로 리메이크된 트리슈라와는 달리 원본과 같은 싱크로 몬스터가 되었다. 종족은 원본과 마찬가지로 해룡족. ①②의 효과 모두 패를 1장 버리는 것으로 필드의 카드 1장을 패로 바운스하는 유발 효과인데 ①의 효과는 싱크로 소환 시, ②의 효과는 묘지 소환 시로 한정된다. 에라타 전의 원본과 마찬가지로 상대뿐만 아니라 자신 필드의 카드도 바운스 대상으로 삼을 수 있고 과거 기동 우선권 룰이 있었을 때를 재현하듯 유발 효과로 바뀌어 소환하자마자 바운스를 실행할 수 있지만, 바운스할 수 있는 카드가 고작 1장인데다 두 효과 모두 명칭 제약이 붙어 원본보다 대폭 너프되어버렸다. 원본과 달리 상대 턴에 소환해도 바운스를 할 수 있다는 건 장점이지만 근본적으로 너무 약하다. 결국 [[킬러 포테이토]]에 이어 이번에도 '브점이 브점했다'라는 부정적 평을 받고 있다. 범용성으로 따져도 [[코랄 드래곤]]에 밀리고, 자기 카드 재활용을 따져도 2023년 기준의 유희왕은 명칭 제약이 걸린 카드가 난무하는 탓에 이걸 활용하기도 쉽지 않다. 신지원을 받은 [[빙결계]] 덱에서도 딱히 액셀 싱크로가 주요 기믹이 아니기에 싱크로 소환시 유발 효과인 점에 큰 의미가 없고, 빙결계 명칭이 없어서 조마사로 패 코스트를 대신할 수 없는 것은 물론이고 청람이나 정벽의 효력도 볼 수 없으며, 정규 소환 후 묘지로 보냈다가 [[빙령산의 용조 란세아]]로 묘지에서 특수 소환해서 바운스를 쓰는 콤보조차 불가능하기에, 돌파용으로도 차라리 원본 브류나크를 쓰고 만다. 빙마룡을 가장 잘 쓸 수 있는 덱은 다름 아닌 [[제넥스]]로, 필드의 몬스터를 바운스해서 리페어 컨트롤러의 발동조건을 충족시키고 다시 일반 소환해서 전개를 이어나갈 중간다리로 쓸 수 있다. 명칭 제약이 안 걸린 구 테마 카드를 사용한다는 점에서 기적적으로 궁합이 맞아 떨어졌다. 제넥스 컨트롤러와 짝궁인 운디네는 물 속성이라 패 코스트도 안 먹는 [[빙결계의 범왕 듀로렌]]의 소재 조건을 충족시키다보니 하위 호환이 될 수도 있지만, 빙마룡은 비튜너 소재 제약이 없다보니 마그나를 치우거나 튜너로 튜링을 써서 크러셔나 터보를 소재로 치우는 루트도 가능한 것이 장점. 미쳐돌아가는 원핸드 초동률과 한정적인 공격권 덕에 코스트로 소모하는 패도 그리 아깝지 않다. 이 카드의 등장으로 인해 궁니르도 리메이크될 가능성이 있다. ||수록 시리즈 || ||<(> 2023-05-19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VJMP-JP241 | '''[[V점프|Vジャンプ 2023年 9月号 付録カード]]'''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U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