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슈츠슈타펠/장성급 지휘관)] |||| {{{#!wiki style="margin: -4px -9px" [[파일:빌헬름 레디스1.jpg|width=100%]]}}}|||| ||<#666> {{{#FFF 이름}}} ||<(>'''Wilhelm Redieß'''[br] 빌헬름 레디스|| ||<#666> {{{#FFF 출생}}} ||<(>[[1900년]] [[10월 10일]], [[독일 제국]] [[하인스베르크]] || ||<#666> {{{#FFF 사망}}} ||<(>[[1945년]] [[5월 8일]], [[노르웨이 국가판무관부]] [[오슬로]] || ||<#666> {{{#FFF 복무}}} ||<(>[[독일제국군]] (1918년) [br] [[독일 국방군]] [br] [[슈츠슈타펠]] (1933년 ~ 1945년) || ||<#666> {{{#FFF 최종계급}}} ||<(>[[슈투름압타일룽]] [[소장(계급)|소장]] (여단지도자) [br] [[슈츠슈타펠]] [[무장친위대]] [[대장(계급)|대장]] (상급집단지도자) [br] [[질서경찰]] [[대장(계급)|대장]] || [목차] [clearfix] == 개요 == || [[파일:빌헬름 레디스2.jpg|width=100%]] || || '''빌헬름 레디스(Wilhelm Redieß)''' || [[나치 독일]]의 친위대 대장으로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노르웨이]]에서 친위대와 경찰지도자를 담당했다. == 초기 행적 == [[독일 제국]] [[프로이센]] 서부의 [[하인스베르크]] 출신인 레디스는 학교졸업 후 전기 기술자로 일하다가 [[1918년]]에 [[독일 제국]] 육군에 입대해 [[보병]]으로 [[제1차 세계 대전]]에 참전했다. [[1918년]] [[11월]]에 제대 후 전기 기사로 일하다가 [[1925년]]에 [[나치당]]과 돌격대에 가입했지만 [[1929년]]의 [[대공황]]으로 실직하였다. == 친위대 입대 == [[1930년]]에 친위대로 이적한 후 빠르게 진급하여 [[1935년]] [[4월 20일]]엔 친위대 중장이 되었다. == [[제2차 세계 대전]] ==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빌헬름 레디스 1941.jpg|width=100%]]}}} || ||<#ddd> 1941년의 레디스 장군 || [[제2차 세계 대전]]이 발발한 후에는 프로이센에서 인종법의 집행에 관여하여 동프로이센의 [[유대인]]을 강제수용소로 보내는데 관여하고 1,558명의 정신병 진단을 받은 유대인을 가스 트럭으로 70일간에 살해했다. 이후 [[노르웨이]]의 친위대 및 경찰고급지도자로 임명된 레디스는 독일의 패전까지 자리를 유지했는데, 금발벽안이 많았던 북구인종의 노르웨이인과 독일인의 결혼을 권장하여 8천명의 아이들이 레디스의 계획하에 태어나기도 했다. == 패전과 최후 == 독일의 항복 후인 [[1945년]] [[5월 8일]]에 노르웨이에서 자결한 레디스의 시체는 노르웨이 점령판무관이던 요제프 테르보펜(Josef Terboven, 1898. 05. 23-1945. 05. 08)에 의해 벙커로 옮겨진 후 테르보펜 자신도 폭탄을 터트려 운명을 같이했다. [[분류:1900년 출생]][[분류:1945년 사망]][[분류:제1차 세계 대전/군인]][[분류:제2차 세계 대전/군인]][[분류:독일제국군/군인]][[분류:독일 국방군/인물]][[분류:나치당원]][[분류:슈투름압타일룽/인물]][[분류:친위대(나치 독일)/인물]][[분류:질서경찰/인물]][[분류:자살한 나치 관련자]][[분류:쾰른 현 출신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