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M.C The Max의 앨범)] [목차] == 개요 == ||<-6> [[파일:external/torrentkim3.net/2083859853_894YdqxT_COVER.jpg|width=60%]] || ||<-6><#e4eff1> '''[[UNVEILING|{{{#1d1f1f UNVEILING 1CD}}}]]''' || ||<:> {{{#1d1f1f 트랙}}} || {{{#1d1f1f 곡명}}} || {{{#1d1f1f 러닝타임}}} || {{{#1d1f1f 작사}}} || {{{#1d1f1f 작곡}}} || {{{#1d1f1f 편곡}}} || || 3 || '''빈자리''' || 4:18 ||<-3> [[제이윤]] || == 음원 및 라이브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GPd5IRKZzB4,width=100%,align=center)]}}}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x97py040tPI,width=100%,align=center)]}}} || ||<:> ''' ▲ 음원''' ||<:>'''▲ 2014년 3월 29일 7집 발매 콘서트 대구 라이브''' || == 가사 == ||
<:> {{{#1d1f1f '''{{{+3 빈자리}}}'''}}}|| ||<:> 차가운 두 손을 감추고 있죠 그대 아무 말조차 오고 가지 않죠 아무것도 해 줄 수가 없다는 그대 아무 말 없이 그 자리 비우죠 하는 수 없'''{{{#green 죠}}}''' 나 할 말이 없'''{{{#green 죠}}}''' '''{{{#green 그}}}'''대가 '''{{{#green 이}}}''' 자리 '''{{{#green 떠}}}'''나고 아무도 없'''{{{#green 죠}}}''' 빈자리뿐{{{#red 이}}}'''{{{#blue,#dodgerblue 죠}}}''''''{{{#green ㅡ}}}''' '''{{{#green 결}}}'''국 그'''{{{#green 대}}}'''가 날 '''{{{#green 떠}}}'''나고 '''{{{#blue,#dodgerblue 한 번만}}}''' '''{{{#green 더 잡}}}'''고 싶지'''{{{#green 만}}}''' 그대 이젠 내가 비켜줄게요 '''{{{#blue,#dodgerblue 한 번만}}}''' '''{{{#green 더 마}}}'''주 보고 '''{{{#green 싶}}}'''{{{#red 지}}}만 '''{{{#green 마}}}'''음속에 담죠 하는 수 없'''{{{#green 죠}}}''' 그댈 볼 수 없'''{{{#green 죠}}}''' '''{{{#green 붉}}}'''은 눈 '''{{{#green 보}}}'''이고 싶'''{{{#green 지}}}''' 않죠 남은 건 없'''{{{#green 죠}}}''' 빈자리뿐{{{#red 이}}}'''{{{#blue,#dodgerblue 죠}}}''''''{{{#green ㅡ}}}''' '''{{{#green 결}}}'''국 그'''{{{#green 대}}}'''가 날 '''{{{#green 떠}}}'''나죠 나뿐이죠 '''{{{#green 이}}}'''제 곧 '''{{{#green 나}}}'''도 떠'''{{{#green 나}}}'''야 '''{{{#red 하}}}''''''{{{#green 겠지만}}}'''ㅡ 이 빈자리도 그대 흔적도 사'''{{{#green 라}}}''''''{{{#blue,#dodgerblue 져}}}''''''{{{#green ㅡ}}}''' '''{{{#green 속}}}'''으로 참'''{{{#green 고}}}''' 눈 감'''{{{#green 고 그}}}'''대 '''{{{#red 모}}}''''''{{{#green 습}}}''' 떠올'''{{{#green 리죠}}}''' 눈물이 없{{{#green 죠}}} 일어설 수 없{{{#green 죠}}} {{{#green 나}}}조차 {{{#green 이}}} 자리 {{{#green 떠}}}나면 남을 건 없{{{#green 죠}}} 빈자리뿐{{{#red 이}}}'''{{{#blue,#dodgerblue 죠}}}''''''{{{#green ㅡ}}}''' '''{{{#green 나}}}'''마저 '''{{{#green 이}}}''' 자리 '''{{{#green 떠}}}'''나면 [*전조 Dm → Em] '''{{{#green 하는 수}}}''' 없'''{{{#orange 죠}}}''' 나 '''{{{#green 할 말이}}}''' 없'''{{{#orange 죠}}}''' '''{{{#orange 그}}}''''''{{{#green 대}}}'''가 '''{{{#orange 이}}}''' '''{{{#green 자}}}'''리 '''{{{#orange 떠}}}''''''{{{#green 나}}}''''''{{{#orange 고}}}''' '''{{{#green 아무도}}}''' 없'''{{{#orange 죠}}}''' 빈'''{{{#green 자리뿐}}}'''{{{#purple,#mediumpurple 이}}}'''{{{#red 죠}}}''''''{{{#orange ㅡ}}}''' '''{{{#orange 결}}}''''''{{{#green 국}}}''' 그'''{{{#orange 대}}}''''''{{{#green 가}}}''' 날 '''{{{#orange 떠}}}''''''{{{#green 나}}}'''고 나뿐이죠 || ||2옥타브 라(A4) 구간은 '''{{{#green 초록색}}}''', 2옥타브 라#(A#4) 구간은 '''{{{#blue,#dodgerblue 파란색}}}''', 2옥타브 시(B4) 구간은 '''{{{#orange 주황색}}}''', 3옥타브 도(C5) 구간은 '''{{{#red 빨간색}}}''', 3옥타브 레(D5) 구간은 '''{{{#purple,#mediumpurple 보라색}}}'''|| == 곡 분석 == * 조성 : 라단조(D minor) → 마단조(E minor) * 최고음 : '''진성 3옥타브 도(C5), 가성 3옥타브 레(D5)''' '''[[제이윤]]의 [[이수(가수)|이수]] 암살 시도 곡들 중 난이도 공동 TOP 4'''[* 1위는 그 유명한 '''[[사랑해 봤나요?]]''', 2위는 부르다 정신병 걸리는 '''[[Insanity]]''' , 3위는 제이윤에 마지막 선물인 '''[[Life(M.C The Max)|Life]]''', 공동 4위는 이 곡과 구성과 난이도가 비슷한 '''[[사랑을 찾아서]]'''.] 불러본 이들의 평가는 '''노래 제목은 빈자리인데 왜 부르는 데 빈자리가 없죠?''' 물론 1절에서 2절로 넘어가는 구간에서 쉬는 구간은 있지만 그 외에는 말 그대로 쉬는 구간이 없다고 해도 무방하다. 그리고 이 곡의 진가는 '''2옥타브 라(A4)~2옥타브 라#(A#4)'''을 짧게 끊거나 하는 게 아니라 '''길게, 그리고 부드럽게 이으면서 불러야 한다.''' 쉬는 구간 없는 것도 죽을 지경인데 이 고음을 질질 끌어야 하니 호흡은 미친듯이 소비된다. 게다가 성구전환도 계속 나온다. 더 큰 문제는 이전의 난점들과 3절 진입 전 벌스인데 갑자기 '''3옥타브 도(C5)'''를 길게 지르고 벌스 끝에 2옥타브 라(A4) 수 초 질러내다 가성 성구전환 하면서 호흡은 남지 않는 상태에서 '''2키'''가 전조된다. 이로 인해 3절에서는 '''2옥타브 시(B4)를 미친듯이 질질 끌어야 한다. 앞에 음들을 봤들이 2옥시 역시 난사된다.''' 최고음이 다른 헬곡보다 높지 않다고 얕보다가 호흡 고문으로 인공호흡기가 요구되는 헬곡. [[행복하지 말아요]]와 가끔 비교되는데 대체적으로는 행복즐보다는 어렵다고 평가된다. 3옥도 빈도는 행복즐이 더 많지만 그 외에 중고음 빈도는 이 곡이 더 많으며 호흡 컨트롤도 이 곡이 행복즐보다 훨씬 어렵다. 사랑을 찾아서도 마찬가지로 같은 이유로 행복즐보다 어렵다. 종합적으로 1.5티어 급인 [[하루만 빌려줘]], [[그대가 분다]], [[다시, 노래...]]의 바로 밑인 2티어 최상위권에 해당하는 강력한 난이도를 자랑한다. == 여담 == * 노래에는 빈자리가 없다며 이런 호흡사기곡을 만든다고 이수가 언급한 적이 있다. 실제로 난이도가 어디에도 수준의 극헬곡이며 숨을 쉴 곳이 없어서 제목과는 상반된 음 구성을 갖고 있는 노래라고 한다. 참고로 3절에서 두 키가 올라간다. 7집콘 때만 부르고 봉인한 노래인데 라이브 영상을 보면 이수도 많이 버거워한다. * 노래의 시작과 마지막의 반주가 2키 차이로 수미상관을 이룬다. 팬들은 해당 반주부분을 듣고 하울의 성이 생각난다는 의견이 많은 편 * 라이브에서 인트로와 아웃트로는 제이윤이 직접 바이올린으로 연주했다. 중간의 색소폰 솔로는 기타 솔로로 대체되었다. == 관련 문서 == * [[M.C The Max]] * [[이수(가수)]] * [[고음/노래 목록]] * [[UNVEILING]] [[분류:M.C The Max/노래]][[분류:한국 노래]][[분류:록 발라드]][[분류:2014년 노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