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빅이닝(big inning) 이란 '''큰 점수가 난 이닝'''을 의미한다. 그리고, '큰 점수'란 의미는 보통 경기의 승패를 가르거나 흐름을 뒤집을 정도의 영향력을 줄 수 있는 점수를 의미한다. 문제는 이것이 몇점 이상으로 정의된 것이 아닌 지극히 주관적인 용어라는 점이다. 실제로 아래의 스포츠 기사에서 볼 수 있듯이 3, 4, 5점으로 각기 다르게 규정하여 설명하고 있다. [[2020년]]에는 야구 용어 순화의 일환인지 '대량득점'이라는 표현으로 대체하여 사용하고 있다. == 기준이 되는 점수 == * 3점 이상 * 어느 스포츠 신문에서 [[염경엽]] 감독과 인터뷰한 내용을 보면 염감독은 '''3점 이상'''이면 빅이닝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http://daily.hankooki.com/lpage/sports/201506/dh20150604215249139210.htm|관련기사]] *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5/04/08/2015040800920.html|이 기사]]에는 "폴 딕슨의 ‘베이스볼 딕셔너리(BASEBALL DICTIONARY)’는 ‘1이닝 3득점 이상’으로 정의하고 있습니다. " 라고 밝히고 있다. 단, 해당 기사에서는 KBO 에서는 일반적으로 4점 이상을 빅이닝이라고 생각한다고 추가로 언급한다. * 4점 이상 * [[https://en.wikipedia.org/wiki/Glossary_of_baseball_(B)#big_inning|위키 백과]]에는 4점 이상으로 설명되어 있다. * [[http://daily.hankooki.com/lpage/sports/201605/dh20160511151638139220.htm|이 기사]]에서는 4점 이상을 빅이닝으로 설명한다. * 5점 이상 * [[http://www.hani.co.kr/arti/sports/baseball/631125.html|이 기사]]에서는 1이닝 5점 이상을 빅이닝으로 설명하고 있다. * 10점 이상 * 한 이닝에서 10점 이상 나서 전광판에 숫자가 아닌 알파벳이 찍혀야 빅이닝이라고 생각하기도 한다. 참고로, 1이닝에 11점이 나면 [[삼성 라이온즈/1995년/6월/28일|'''B'''가 찍히며]] ''''B'''IG INNING'을 확실하게 인증해 준다. 다만, 이는 구형 전광판 한정이며, 신형 LCD 전광판에서는 그냥 두 자리 숫자가 찍힌다. == 기타 == * [[타고투저]]의 현상이 강하면 강할수록 기준이 되는 점수를 높게 잡는 경향이 있다. * ~~나무위키에는 [[대첩(야구)|대첩]]관련 문서가 존재하는데, 한 이닝 다득점에 대한 등재 조건이 규정되어 있다. 만약 [[대첩(야구)#s-2|한이닝에 7점 이상을 기록]]하거나 연속된 2이닝 합계 10점 이상을 기록할 경우, 등재조건중 1개(6번 항목)를 만족하게 된다.~~ * 빅이닝 조건을 만족하면 9명의 타자가 모두 타석에 들어가는 타자일순일 가능성이 높다. 3점 기준으로 볼 때 3명이 득점하고 3명이 아웃되어 6명이 타석에 들어가는 것이 최소 조건이며, 거기에 주자 만루가 되면 타자일순 조건이 된다. 만약 한이닝 6득점이라면 무조건 타자일순이 된다. 1~6번 타자가 모두 홈런을 치고 7~9번 타자가 연속으로 아웃돼도 9명이 들어가기 때문이다. * 2019년 4월 7일 한화-롯데전에서 한화는 한이닝에 무려 '''16득점'''을 하면서, 이닝 최다 기록을 다수 갈아 치워버렸다. [[한화 이글스/2019년/3~4월#s-6.3|한화측 문서]], [[롯데 자이언츠/2019년/3~4월#s-7.3|롯데측 문서]] [각주] [[분류:야구 용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