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소설 [[1984(소설)|1984]]에서 나오는 [[독재자]], 그리고 파생된 의미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빅 브라더)] == TV 프로그램 == [include(틀:더 가디언 선정 21세기 100대 TV 쇼)] ---- [[파일:external/cdn.bigbrotheraccess.com/big-brother-australia.jpg]] 리얼리티 서바이벌 프로그램으로 원조는 네덜란드 방송사 Veronica가 1999년에 처음 시작했다. 여럿을 동거시키고 일상생활을 방영하지만 중간중간 한명씩 탈락하는게 가장 큰 특징으로[* 영국판을 기본으로 규칙을 짜느냐, 미국판을 기본으로 규칙을 짜느냐에 따라 규칙의 차이가 있다. 영국판의 경우에는 참가자인 하우스게스트들 사이에서 누가 탈락해야 할지 두명 정도를 지명해 탈락 후보를 정하고 라이브로 시청자들이 전화 투표를 해서 가장 많은 표를 받은 사람이 탈락해 집으로 가야한다. 미국판은 좀 다르게 처음 게임으로 하우스홀드(HOH) 게임에서 승리해 그 주 탈락을 면제 받는 대신 그 하우스홀드가 탈락후보 2명을 정해야 한다. 하지만 완전 탈락 후보는 아니고 첫번째 탈락 후보가 되며 이후 탈락 후보를 바꿀 수 있는 거부권(Veto)을 걸고 파워 오브 비토 게임을 진행한다. 보통은 수장, 탈락 후보 2인, 랜덤 3인으로 6명이서 대결하나 완전 랜덤으로 꼽히는 경우도 있다. 어쨌든 거부권이 사용될수도, 그냥 사용하지 않을 수도 있으나 사용할 경우 하우스홀드가 다른 한명을 정한다. 하지만 이 규칙들은 가장 표준적인 규칙으로 일명 트위스트라는 추가/변형 규칙들이 매 시즌마다 존재한다. 여러 종류의 비토부터 추가 탈락 후보, 이중 탈락에 이중 하우스홀드, 하우스홀드를 끌어내리는 쿠데타 규칙도 있고 심지어는 X맨 같은 사보투어나 쇼맨스를 제대로 끌어올린 소울메이트, 그냥 비밀 동맹, 실제 가족을 데려와 가족 사이의 문제를 다루거나 전남편들이 단체로 참가하는 X 펙터 같은 막장 트위스트도 있었고(이 때문에 성병에 걸린 한명이 중도 퇴출당하는 난장판이 발생하기도 했다), 쌍둥이가 서로 교체되면서 정체를 숨기는 쌍둥이 트위스트까지 있었다.] 이후 이 프로그램이 선풍적인 인기를 끌기 시작하여 유럽 각국, 미국, 캐나다, 호주 등에도 플롯이 수출되어 세계 각국에서 새로운 시즌이 매년 쏟아지는 중이다. 유럽판들의 특징은 주당 시청자 인기 투표로 1명씩 탈락시켜 최종 승자에게 상금을 준다는 것인데 미국판은 이 플롯을 따라가는 듯 하다 시즌 2부턴 그냥 참가자간에 서로를 탈락시키는 정치 요소로 바꿔버렸다.[* 이후 스핀오프 Over The Top이란 이름으로 부활하긴 했다.][* 하지만 영국판 초기에도 너무 반응이 폭발적이라 과몰입한 팬들이 투표가 안되자 경찰에게 전화해 경찰이 개입하는 등의 해프닝도 있는 등 시청자 투표 방식이 재미없는건 아니었다.] 물론 이것도 재미는 뛰어나서[* 미국판 시즌 19 오프닝에 나오는 5단어, 힘/동맹/돈/복수/유혹이 이 방식을 가장 잘 설명해주는 단어들이다.] 영국판은 결국 시즌이 끊겼는데 미국판은 스핀오프까지 성황리에 제작중이다. 캐나다판도 이 투표 방식을 사용하고 호주판도 다시 부활하면서 이 투표 방식으로 바꿔버림에 따라 시청자 투표를 통한 탈락은 사실상 영어권에선 나이지리아판에서만 명맥을 이어가고 있다. 세계 각국에서 20년 넘게 진행되다보니 다양한 사고가 발생했는데, 대표적으로 미국판에선 시즌 2 중간에 분노한 참가자가 칼을 들고 다른 참가자를 위협해 쫓겨나거나[* 이후 칼은 전부 플라스틱 칼로 대체되었다.] 시즌 11에선 참가자가 리더 자리에서 쫓겨난 후 마이크를 실수라며 물에 던지고 부정행위를 하며 깽판을 놓은 뒤 쫓겨나는 일도 있었으며[* 영국판도 비슷하게 가짜 탈락을 했다가 복귀하니까 상을 엎고 난장판으로 만들어버린 바람에 한명은 강제 탈락, 다른 한명도 심리 상담을 받기도 했다.] 시즌 14도 비슷하게 쫓겨났다는 이유로 폭력을 저지른 후 자진 탈락한 사례도 있다. 인종차별도 자주 나와 미국판은 가면 갈수록 인종간 동맹을 맺고 아예 노골적으로 비백인 동맹 견제를 위해 백인 동맹을 맺자고 하다 제작진 임의로 탈락자가 되어 몰표를 받고 탈락당하는 사태도 발생했을 정도. 영국판은 동거중 남녀가 성관계를 해 잠시 방영 중단한 적도 있었으나 재개했다. [[닥터후]]에서도 패러디되어 등장하는데 [[위성방송 5]]에서 찍으며, 동거중인 사람 중 하나를 골라 탈락시켜 분해 광선으로 죽인다. [[달렉 황제#s-3|사실은...]] == [[소녀교육헌장]]의 등장인물 == [[패밀리(소녀교육헌장)|'패밀리']]의 보스. 통칭 B.B라고 부른다. [[브리짓 바르도]]나 [[바비인형]]과는 전혀 무관하고, 1984에서 딴 듯하다. 패밀리의 형제자매들 중에선 혼자만 특별나게 아버지 격인 위치에 있다. 지배하는 자. 중년 이상의 남성으로 나오는데, 현재는 하반신 불구라 휠체어를 탄다. 몸이 불편한 것도 있지만 보스답게 직접 움직이는 모습은 잘 안 나온다. 패밀리가 만들어진 것은 그가 그런 특이능력자들을 모으기 시작했기 때문인 듯한데, 맨 처음 만난 패밀리가 [[백설희]]인 듯하다. 당시 고아 소녀에 불과하던 그녀에게서 능력을 발견하고는 자기가 찾던 능력이라며 무척 기뻐했다. 하긴 자신은 '지배'고 그녀의 능력은 '선택'이었으니 딱 어울리는 구성이긴 하다.[* 그러나 차후 이 지배와 선택이 딜레마적인 관계임을 깨닫는다. 백설희가 지배하는 자마저 선택할 가능성에 두려워한다.] 사실 B.B는 같은 패밀리인 아메데오의 머리에 자기의 뇌를 이식해 그를 죽여 그의 능력을 계승했다. 즉, 현재 아메데오의 정체는 B.B이다. 꽤 예전 일인 모양인데 이제까지 그의 모습으로 나온 건 사실 로봇이었다. 아메데오의 능력은 '누구에게도 적이 되지 않는 것.' '어떤 일을 해도 자신의 잘못이 되지 않는' 지배와 하나가 되면서 뭐든 자기 마음대로 해도 본인의 잘못은 아니고 그 누구도 적으로 못 삼는 자가 되어 꽤나 [[먼치킨(클리셰)|먼치킨]]이었다. 하지만 그 사실을 밝히자마자 '그 누구도 아닌' [[파렌하이트]]에게 총 맞아 죽는다. 백설희의 죽음의 진실을 알고 능력 '선택'을 계승하기 위해 [[원아미]]를 죽이려다, 파렌하이트가 살해했다. == 영화 == [youtube(TwVbsfyKw0Q)] [youtube(jL6egXpM9Po)] 2018년에 개봉한 [[견자단]] 주연의 홍콩 하이틴 영화이다. 중국어로는 '대사형'이라는 제목으로 나왔다. == 음악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Big Brother)] [[분류:동음이의어]][[분류:동명이인]][[분류:영어 단어]][[분류:1984(소설)]][[분류:소녀교육헌장/등장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