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clearfix] || 본명 || 알렉스 리조 (Alex Rizzo) || || 생년월일 || [[1968년]] [[1월 12일]] || || 사망 || [[2002년]] [[5월 16일]] || || 신장 || 198cm || || 체중 || 150kg || || 출생지 || 미국 뉴저지주, 서퍽 || || 별명 || || || [[피니쉬 무브]] || 더 빅 딕 드라이버 || || 커리어 || NEW 헤비웨이트 챔피언 1회 [br] NSWA 헤비웨이트 챔피언 1회 [br] NWA 저지 하드코어 챔피언 1회 [br] NWA 저지 헤비웨이트 챔피언 1회 [br] 1998년 PWI 500의 최고 단식 레슬링 선수 500명 중 200위 [br] UXW 헤비웨이트 챔피언 2회 [br] UXW 태그팀 챔피언 1회 [br] WWA 헤비웨이트 챔피언 2회 [br] XPW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 1회 || == 소개 == 과거 [[ECW]]에서 활동했던 프로레슬러로 [[더들리 보이즈]] 원년 멤버였다. == 경력 == ICW란 단체에서 알렉산더 더 그레잇으로 활약한 바 있는 알렉스 리조는 1994년에 프로레슬러로 데뷔했으며, 1995년 7월 7일에 [[ECW]]에 데뷔했다. 그 날 그는 빅 딕 더들리로 등장해 리틀 스낫 & 더들리 더들리와 함께 [[더들리 보이즈]]로서 첫발을 내딛었다. 이후 그는 7월 15일에 [[레이븐(프로레슬러)|레이븐]], 버버 레이 더들리 & 디본 더들리와 한 팀을 이뤄 더 핏불스 & [[타미 드리머]]의 팀과 핸디캡 매치로 맞대결을 펼쳤는데 패배의 쓰라림을 맛봐야만 했다. 이후 해를 넘겨 1996년 6월 22일 펼쳐졌던 하드코어 헤븐에서 빅 딕 더들리는 버바 레이와 함께 FBI와 한판대결을 펼쳤지만, D-Von의 난입으로 반칙패를 선언당했다. 그리고 8월 24일 내츄럴 본 킬러즈에선 버바 레이와 한 팀이 되어 자신들과 갈라선 디본 더들리 & 액슬 로튼팀을 물리쳤다. 그 후 한동안 [[ECW]]에서 모습을 보이지 않았던 그는 1997년 4월 13일 베얼리 리갈에서 복귀했지만 발코니 아래로 떨어지는 초크슬램의 희생양이 되고 말았다. 이후 1997년 5월 10일에 빅 딕과 디본 더들리는 더 갱스터스를 물리쳤고, 1997년 8월 9일 본 투 비 와이어드 에선 버바 레이 & 디본 더들리와 함께 액슬 로튼, [[볼스 마호니]], 핵 마이어스 팀을 꺾었다. 그 후 1997년 9월 18일에 빅 딕 더들리는 [[존 크로너스]]와 일전을 벌였으나 패했고, 1998년 2월 21일 사이버슬램에선 버바 레이 & 디본 더들리와 함께 트라이앵글 매치에 나섰다가 패하고 말았다. 그 경기에선 [[볼스 마호니]], 액슬 로튼, [[샌드맨(프로레슬러)|샌드맨]] 팀이 [[존 크로너스]], 뉴 잭 & 스파이크 더들리팀과 [[더들리 보이즈]]를 물리치고 승자로 우뚝섰다. 그리고 6월 6일에 버바 레이, 디본, 빅 딕 더들리는 잭 빅토리와 한 팀이 되어 [[타미 드리머]], [[샌드맨(프로레슬러)|샌드맨]], 뉴 잭, 스파이크 더들리 팀을 철창 경기를 통해 제압했다. 이후 7월 18일에 빅 딕은 스파이크 더들리를 물리쳤고, 7월 27일엔 버바 레이, 디본과 함께 오니타 아츠시, [[샌드맨(프로레슬러)|샌드맨]] & [[타미 드리머]] 팀을 물리쳤다. 하지만 1998년 8월 2일 힛웨이브에선 빅 딕 더들리는 버바 레이, 디본과 함께 더들리빌 스트릿 파잇 매치에 나섰다가 [[샌드맨(프로레슬러)|샌드맨]], 스파이크 더들리 & [[타미 드리머]] 3총사에 패하고 말았다. 이후 빅 딕 더들리는 1999년 초반에 ECW를 떠나 새롭게 XPW에 둥지를 틀었다. 그는 1999년 7월 31일에 자스민 St. 클레어를 대동하고 나타나 대미언 스틸을 공격하는 것으로 쇼킹하게 데뷔했지만, 그 날 바로 펼쳐진 대미언 스틸과의 철창 경기에서 패하고 말았다. 그 경기에서 자스민 St. 클레어는 빅 딕 더들리는 등지고 대미언 스틸의 승리를 도왔고, 자스민 St. 클레어와 [[니콜 배스]] & 대미언 스틸은 크리스티 미스트를 또한 배신했다. 이후 빅 딕 더들리는 1999년 12월 18일에 한눈을 거즈로 가리고, 한손에 수갑을 찬 상태에서 (본인 주장) 대미언 스틸을 꺾고 XPW 타이틀을 따내는 전공을 세웠다. 하지만 2000년 1월 29일에 그는 리지 보든으로부터 타이틀을 박탈당했고 2000년 초반에 펜실베니아 지역을 기반으로 한 USA 프로레슬링에 진출했다. 그는 2000년 2월 3일에 [[서전 슬로터]]를 누르고 USA 프로레슬링 챔피언에 올랐지만 2000년 4월 19일 게리 올브라잇 메모리얼 쇼에선 헝가리안 [[바바리안(프로레슬러)|바바리안]]과 한 팀으로 경기에 나섰다가 헤드슈링커스에 패하고 말았다. 이후 2000년 7월 2일에 USA 프로레슬링 타이틀을 박탈당하는 아픔을 겪은 뒤 다시 XPW로 복귀했다. 그는 2000년 11월 11일에 [[사부(프로레슬러)|사부]], [[존 크로너스]]와 3-웨이 댄스를 펼쳤지만 [[사부(프로레슬러)|사부]]에게 패하고 말았다. 하지만 20001년 2월 3일 페이백스 어 비치에선 콜로살 레스터을 물리쳤다. 그 후 다시 USA 프로레슬링으로 돌아온 빅 딕 더들리는 2001년 2월 18일에 [[샌드맨(프로레슬러)|샌드맨]]과 맞대결을 펼쳤지만 승부를 가리지 못했다. 하지만 2001년 3월 23일 챔피언쉽 레슬링 페더레이션에서 그는 디 이퀄라이저를 폴스 카운트 애니웨어 스트릿 파잇을 통해 물리쳤다. 그 후에도 USA 프로레슬링과 XPW를 오가며 활약했던 그는 2002년 5월 16일에 신장 질환으로 인해 34세의 나이로 자택에서 숨을 거둔 채 발견되었다. 이후 2002년 6월 8일에 USA 프로레슬링은 "더 빅 딕 더들리 메모리얼 브롤"을 개최하는 것으로 그의 안타까운 죽음을 기렸다. 그 날 펼쳐진 더 빅 딕 메모리얼 로얄 럼블에선 싸이코 샘 더들리란 선수가 우승을 차지했다. [[분류:미국의 프로레슬링 선수]][[분류:1968년 출생]][[분류:1986년 데뷔]][[분류:2002년 사망]][[분류:패터슨(뉴저지) 출신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