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비틀즈)] ||<-5> {{{#e5d85c ''' 역대 [[에미상|{{{#e5d85c 프라임타임 에미상}}}]] 시상식 ''' }}} || ||<-5> [[파일:emmylogo.png|width=160]] || ||<-5> {{{#e5d85c '''최우수 다큐멘터리 및 논픽션 시리즈 부문'''}}} || || ''' [[제73회 프라임타임 에미상|제73회]] [br] ([[2021년]]) ''' || {{{+1 → }}} || ''' [[제74회 프라임타임 에미상|제74회]] [br] ([[2022년]]) ''' || {{{+1 → }}} || ''' [[제75회 프라임타임 에미상|제75회]] [br] ([[2023년]]) ''' || || 고래의 비밀 || {{{+1 → }}} || ''' 비틀즈: 겟 백 ''' || {{{+1 → }}} || ''미정'' || ||<-5> || ---- ||<-2>
[[디즈니+|[[파일:Disney+ 로고.svg|width=60&theme=light]][[파일:Disney+ 로고 화이트.svg|width=60&theme=dark]]]] [[디즈니+/오리지널 시리즈 목록|{{{#000,#ddd '''오리지널'''}}}]][br]'''{{{+1 비틀즈: 겟 백}}}''' (2021)[br]The Beatles: Get Back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265979662_1133325703872549_2601104434244857311_n.jpg|width=100%]]}}} || || '''장르''' ||[[다큐멘터리]], [[음악]], [[드라마]]|| || '''감독''' ||[[피터 잭슨]]|| || '''제작''' ||피터 잭슨[br]클레어 올슨[br]조너선 클라이드|| || '''편집''' ||자베즈 올슨|| || '''음악''' ||[[비틀즈]][br]자일스 마틴|| || '''출연''' ||[[존 레논]][br][[폴 매카트니]][br][[조지 해리슨]][br][[링고 스타]]|| || '''제작사''' ||[[파일:영국 국기.svg|width=20]] [[애플 레코드|애플 콥스]][br][[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월트 디즈니 픽처스]][br][[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화이트 호스 픽처스 || || '''배급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월트 디즈니 컴퍼니 코리아]]|| || '''공개일'''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2021년]] [[11월 25일]] ~ [[2021년]] [[11월 27일]][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21년]] [[12월 22일]]|| || '''회차''' ||총 3부작 '''468분 (7시간 48분)'''[br]1부 157분[br]2부 173분[br]3부 138분|| || '''독점 스트리밍''' ||[[디즈니+|[[파일:Disney+ 로고.svg|width=70&theme=light]][[파일:Disney+ 로고 화이트.svg|width=70&theme=dark]]]]|| || '''[[영상물 등급 제도/대한민국|{{{#000,#ddd 상영 등급}}}]]''' ||'''[[12세 관람가|[[파일:영등위_12세이상_2021.svg|width=30]] {{{#373a3c,#fff 12세 이상 관람가}}}]]'''|| [목차] [clearfix] == 개요 == [[비틀즈]]의 [[Let It Be]] 앨범 제작 과정을 다룬 [[다큐멘터리]] 시리즈.[* 같은 해에 제작된 [[Abbey Road]]의 수록곡 일부도 이 시기 녹음되었기 때문에 Abbey Road의 일부 곡들도 들을 수 있다.] 영화 [[Let It Be(영화)|Let It Be]]의 개봉 50주년을 맞아 재편집한 새로운 영상물이다. 본래는 극장용 [[영화]]로 기획되었으나, [[코로나19]] 여파로 프로젝트의 대대적인 수정을 거쳐 3부작 시리즈로 제작, [[디즈니+]]를 통해서 순차적으로 공개된다. [[반지의 제왕 실사영화 시리즈]]로 유명한 [[피터 잭슨]]이 감독을 맡았다. == 공개 일정 == [[2019년]] [[1월 30일]], 루프탑 공연 50주년을 맞아 비틀즈 공식 소셜 미디어 계정이 [[피터 잭슨]]이 [[Let It Be]] 음반 제작 과정을 다큐멘터리 영화로 제작할 것임을 발표했다. 영화 제목 또한 프로젝트의 최초 명칭이었던 [[Get Back]]으로 회귀했다. 배급은 [[디즈니]]가 맡는다. 원래는 극장 개봉용으로 계획되었다. 최초 예정되었던 개봉일은 [[2020년]] [[9월 4일]]이었으나, [[코로나19]]가 전세계적으로 확산되면서 개봉이 1년 미뤄졌다. 이듬해인 [[2021년]]이 되어서도 코로나 확산이 계속 심해지자 극장 개봉 일정이 다시 보류되었다. 결국 극장 개봉은 포기하고 [[2021년]] [[11월 25일]]부터 [[11월 27일]]까지 하루에 한 부씩 [[디즈니+]]를 통해 [[3부작]] 다큐멘터리 형태를 순차적으로 방영하는 것으로 결정되었다. 한편당 약 2~3시간으로, 3부 전체를 합치면 총 러닝타임 '''7시간 48분'''의 [[https://collider.com/the-beatles-get-back-runtime-peter-jackson-documentary/|대형 다큐멘터리]]다. 극장 개봉은 취소되었지만, 대신 런닝타임이 훨씬 늘어나게 되었다. [[디즈니+]]가 [[한국]]에서 [[2021년]] [[11월 12일]] 부로 서비스를 시작한 만큼 [[한국]]에서도 별 문제 없이 다큐멘터리 시리즈를 관람하게 될 것으로 예상되었으나 [[디즈니 코리아]] 측에 의하면 한국에서는 동시 공개되지 않았고 공개되는데 무려 한 달이나 지체되었다. 해외에서 접속하거나 우회할 경우 한글 자막이 지원되었던 것으로 보아 자막 문제는 아닌 것으로 보이며, 사전에 [[영상물등급위원회]]에 심의 신청을 하지 않은 탓이었다. OTT가 난립하면서 영등위의 심의도 오랫동안 지연되는 문제도 있었다.[* 실제로 디즈니+의 다른 콘텐츠들도 심의 문제로 공개가 늦어지는 일이 빈발하고 있다.] 결국 오랜 심의 지연 끝에 [[2021년]] [[12월 22일]]에 공개됐다. 국내에서는 3편 모두 한꺼번에 공개됐다. == 개봉 전 정보 == [[Let It Be]]가 아닌 녹음 당시 세션의 프로젝트 명이었던 [[Get Back]]이라는 [[https://www.rottentomatoes.com/m/the_beatles_get_back|이름을 달고 개봉할 예정.]] 음반 제작 과정 뿐만 아니라 42분의 루프탑 공연 역시 포함되었다고 한다. [youtube(UocEGvQ10OE, start=92)] [[2020년]] [[12월 21일]], [[피터 잭슨]]이 고화질로 리마스터된 푸티지 영상을 편집해 만든 'Get Back' [[몽타주]] 클립을 공개했다. 불화로 점철된 어두운 분위기라는 선입견을 깨려는 듯 유쾌한 분위기의 장면들을 모아 재미나고 활발한 장면으로 재구성했다. [[https://youtu.be/FZqdl6gQd_Q|한글자막]] == 예고편 == [youtube(G4Ifjgzlsno)] [[2021년]] [[10월 13일]], 비틀즈 공식 [[유튜브]] 채널을 통해 공식 [[예고편]]이 공개됐다. == 클립 == [youtube(nSrCk1icisI)] [[2021년]] [[11월 12일]], 비틀즈 공식 [[유튜브]] 채널을 통해 [[I've Got A Feeling(비틀즈)|I've Got a Feeling]] 부분의 클립이 공개되었다. [youtube(I392lK8QUhQ)] [[2021년]] [[11월 24일]], 비틀즈 공식 유튜브 채널을 통해 [[Get Back]] 루프탑 공연 클립이 공개됐다. [youtube(385eTo76OzA)] [[Don't Let Me Down]]의 클립 역시 공개됐다. == 평가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드라마), code=the-beatles-get-back, critic=85, user=8.1)] [include(틀:평가/로튼 토마토(드라마), code=the_beatles_get_back, tomato=93, popcorn=93)] [include(틀:평가/IMDb, code=tt9735318, user=9 .0, list=IMDb Top 250 TV, rank=42)] [include(틀:평가/레터박스, code=the-beatles-get-back, user=4.5)] [include(틀:평가/알로시네(드라마), code=29470, presse=없음, spectateurs=4.3)] [include(틀:평가/왓챠, code=tE15aQM, user=4.4)] 평론가들로부터 전반적으로 호평을 받았으며, 시청자들로부터도 좋은 반응이어서, IMDb 평점 랭킹에서 음악에 관련된 역대 모든 TV 시리즈 중에 가장 높은 순위에 올랐다. == 비틀즈 겟 백: 루프탑 콘서트 == [youtube(2clTV7zMlRs)] [[2022년]] [[2월 11일]], [[IMAX]]에서 3일간 개봉한다. == 여담 == * [[파일:6369 Beatles EMI staircase combo shot.jpg|width=100%]] 공식 포스터 이미지는 [[1963년]]에 촬영한 [[Please Please Me]]의 [[커버 아트]]와 [[1969년]] 촬영된 [[Get Back]] 앨범[* [[Let It Be]] 앨범의 변경 이전 명칭.]의 본래 커버 아트를 합성한 것이다. [[Clayton Hickman]]이라는 디자이너가 두 앨범 아트를 고해상도로 디지털 이미지로 복원하면서 합성 이미지 또한 [[트위터]]를 통해 [[https://twitter.com/claytonhickman/status/1313904118046625798|공유했는데]], 이 이미지를 이용한 건지 자체적으로 새로 제작한 이미지인지는 불분명하다. * [[조지 해리슨]]이 작업 도중 [[폴 매카트니]]와의 갈등 끝에 홧김에 밴드를 그만두겠다고 말하며 자리를 떠나는 장면도 담겨있다. 다만, 멤버 간의 갈등 장면만 담겨있는건 아니고, 이후에 다시 의기투합하여 작업하면서는 서로 장난도 많이 치면서 작업하는 모습 또한 자주 볼 수 있다. * 원본은 [[16mm 필름]]으로 찍은 다큐멘터리라서 화질이 그다지 좋지 않았었는데, 이 필름을 피터 잭슨 팀이 [[인공지능|AI]] [[업스케일링]]을 이용하여 깨끗하고 선명한 고화질 화면으로 바꿨다. 그러나 16mm 필름 특유의 거친 그레인을 AI로 무리하게 지워놓은 탓에[* AI 업스케일링을 한 것 이상으로 이해하기 힘든 선택인데, 필름은 태생적으로 '''무조건''' 그레인이 끼는 매체이고 ISO가 높거나 소형 필름일수록 거칠게 끼기 때문에 대부분의 필름 영화들은 리마스터할 때 그레인은 건드리지 않는다. 자연스럽게 지우는 것도 기술적으로 굉장히 빡센데다 이 필름 그레인 자체를 "필름 감성"의 주축으로 보는 의견이(16mm같은 포맷은 더더욱) 압도적이라 굳이 지울 이유도 없기 때문. 디즈니 윗선에서 필름 그레인이 디지털 노이즈랑 비슷한 일종의 '화질 상 하자'에 불과한 개념이라고 착각한 것 아니냐는 비판도 있다.] 화면의 질감, 특히 인물들의 피부와 얼굴이 지나치게 부드러워서 [[불쾌한 골짜기]]가 느껴진다는 불호가 적지 않고, "다른 복원 업체들은 전부 바보라서 16mm 고전 영화를 AI 없이 수작업 보정만으로 리마스터하는 줄 아냐?"며 그냥 피터 잭슨과 디즈니가 게을러 터진 것에 불과하다는 악평도 있다. 원본의 4:3 [[화면비]]를 위아래를 잘라내 1.85:1으로 바꾼 것도 비판받는다. * [[2022년]] [[1월 28일]], 비틀즈의 루프탑 콘서트 라이브 음원이 "Get Back The Rooftop Performance"라는 앨범으로 공개되었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Let It Be(영화), version=16, paragraph=3)] [[분류:비틀즈]][[분류:월트 디즈니 픽처스]][[분류:디즈니+ 오리지널]][[분류:피터 잭슨]][[분류:미국의 다큐멘터리 영화]][[분류:음악 다큐멘터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