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사탕]][[분류:1990년 출시]] [[파일:me0Hin3X4OGTIx0SuQOJ9sJ79eNLg463NvCGLRpL-1463724831.png|width=550]] {{{+2 Beatles}}} [목차] == 개요 == [[오리온(기업)|오리온]]에서 1990년 2월에 출시한 [[과자]](츄잉캔디). 이름은 [[영국]]의 유명 밴드 [[비틀즈]]에서 유래했다. 모방 대상인 [[스키틀즈]]와 발음의 유사성을 고려한 작명.[* [[비틀즈|동명의 밴드]]가 엄청난 [[먼치킨(클리셰)|먼치킨]]이라 인터넷에서 비틀즈라고만 치면 이미지를 거의 찾을 수 없으니 주의. ‘오리온 비틀즈’ 또는 '비틀즈 사탕'처럼 다른 단어를 붙여서 치면 된다.] == 설명 == 안에 들어있는 내용물이 4색으로 각각 [[오렌지]], [[포도]], [[사과]], [[레몬]] 과즙이 들어 있으며 [[존 레논|이]][[폴 매카트니|러]][[조지 해리슨|한]] [[링고 스타|점]]이 이름을 정한 이유인 듯싶다. 어쩌면 [[스키틀즈]]를 모방했기 때문에 이름도 비슷하게 했을 수도. 원래는 그냥 4색의 사탕들이 의인화되어 그려져 있었는데 언제부터인가 표지에는 음악을 연주하고 있는 캐릭터들이 있으며, 각각 {{{#GREEN 초록색}}}은 [[존 레논]], {{{#PURPLE 보라색}}}은 [[폴 매카트니]], {{{#ff5722 주황색}}}은 [[조지 해리슨]], {{{#fdd835 노란색}}}은 [[링고 스타]]로 추정된다.[* 링고 스타는 [[드럼]]이니 확실이 구분이 가고, [[폴 매카트니]]는 왼손잡이라 [[기타]]를 반대쪽으로 쳐서 구분이 가고, [[존 레논]]과 [[조지 해리슨]]은 위치로 구별이 된다. 통상적으로 라이브 연주 시 조지 해리슨은 폴 매카트니와 함께 마이크를 사용하는 일이 많았기에 왼쪽으로 치우쳐 서 있었고, 존 레논은 리더로서 오른쪽에 혼자서 마이크 하나를 독차지하고 서 있는 일이 많았다. 따라서 둘 중 좀 더 왼쪽에 있는 노란색이 조지, 오른쪽에 있는 빨간색이 존이다.] --이상하게도 들고있는 기타는 잭와일드의...-- 단맛이 강한 스키틀즈보다는 신맛이 강하고 보다 [[과일]] 맛에 가깝다. 그리고 천연 색소를 넣어서 스키틀즈보다 색이 연하다. 감미료로 [[아스파탐]]과 [[페닐알라닌]]을 사용하는 다른 가공식품과 마찬가지로 한꺼번에 많이 섭취하면 [[설사]]를 할 위험성이 있다. 이에 대한 위험성은 제품 뒷면의 경고문으로 안내하고 있다. 한 움큼 쥐어서 입 안에 넣은 뒤 씹으면 --입에서 수분이 쪽쪽 빠져나가고 혀가 마르는 듯한-- 오묘한 맛을 느낄 수 있다. 20%로 과즙 함량을 높이고 천연 색소를 넣어 500원으로 올렸으나 영 시원찮아서인지 다시 300원으로 가격을 하락시킨 적이 있었다. 참고로 지금은 '''700원'''이나 한다. 그래도 묶음 판매하는 제품을 사면 개당 500원꼴에 살 수 있다. 일부 마트에서 560원이라는 굉장히 애매한 가격에 팔리고 있다. 게다가 한때는 '''0칼로리'''라고 표기하기도 했었다! 지금은 40g 기준 162칼로리이다. [[파일:1000038389881_i1_1200.jpg|width=400]] 2019년 12월경 비틀즈 사워라는 제품이 나왔다. 일단 제품 컨셉은 스키틀즈 사워를 저격한 듯한데... 막상 뜯어보면 예전의 스키틀즈 사워처럼 겉에 하얀색 신맛 가루가 뿌려져 있고 속은 그냥 비틀즈이다. 일단 입에 넣으면 맛은 무진장 시다. 가루때문에 눌러붙어서 봉투에서 잘 안 나온다. 다만 그 입에 넣은 직후의 자극성이 신맛 캔디류의 정체성이기도 하다 보니, [[아이셔]] 캔디 버전이나 스키틀즈 사워 구버전 팬들 중에선 선호하는 경우도 있다. 지금의 스키틀즈 사워가 겉면의 신맛을 내는 가루가 없어졌기 때문에, 이게 없어져서 슬펐던 사람에게 유일한 대체재다. 2023년 7월경 여름 한정판으로 누드비틀즈가 출시되었다. 여름컨셉에 맞춰 표지는 바다배경 흰색&푸른색에 알맹이는 흰색. 맛은 밀크소다맛으로, [[뽕따]]같은 맛이라는 평이 많다. == CM == [youtube(oCCQCvgtmNo)] 출시 초기인 1991년경의 광고. 배경음악으로 [[비틀즈]]의 명곡인 [[Yesterday#s-2|Yesterday]]와 [[Ob-La-Di, Ob-La-Da]]를 사용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