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마이클 만 감독 장편 연출 작품)] ||<-2>
{{{#0575B4 '''{{{+1 비정의 거리[* 원제를 제대로 번역한 '도둑'이라는 제목으로도 알려져 있다.]}}}''' (1981)[br]Thief}}}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1981 비정의 거리 포스터.jpg|width=100%]]}}} || || '''장르''' ||[[범죄]], [[드라마]], [[액션]], [[스릴러]], [[하이스트 영화]], [[느와르|네오 느와르]] || || '''감독''' ||<|2>[[마이클 만]] || || '''각본''' || || '''원작''' ||프랭크 호히머 - 가정 침입자들 || || '''제작''' ||[[제리 브룩하이머]], 로니 칸[* [[제임스 칸]]의 동생이다.] || || '''출연''' ||[[제임스 칸]], 튜즈데이 웰드, [[짐 벨루시]], 로버트 프로스키, [[윌리 넬슨]] ,,외,, || || '''촬영''' ||도널드 E. 소린 || || '''편집''' ||도브 회닉 || || '''미술''' ||멜 본 || || '''음악''' ||[[탠저린 드림]] || || '''제작사'''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만/칸 프로덕션스 || || '''배급사'''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유나이티드 아티스트]] || || '''개봉일'''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1981년 3월 27일[br][[파일:칸 영화제 로고.svg|width=20]] 1981년 5월 16일 || || '''화면비''' ||1.85 : 1 || || '''상영 시간''' ||2시간 3분 || || '''제작비''' ||'''550만 달러''' || || '''북미 박스오피스''' ||'''$11,492,915''' || || '''상영 등급'''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15세 이용가|[[파일:영등위_15세이상_2021.svg|width=30]] {{{#373a3c,#dddddd 15세 이상 관람가}}}]]''' ----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영상물 등급 제도/미국#s-1|[[파일:R등급 로고.svg|width=40]]]] || [목차] [clearfix] == 개요 == [[마이클 만]] 감독 및 각본, [[제임스 칸]] 주연의 1981년작 네오 느와르 하이스트 스릴러 영화. TV 시리즈와 TV 영화 쪽에서 활동하던 마이클 만 감독의 첫 장편 극장 영화 데뷔작으로, 제34회 [[칸 영화제]] 경쟁 부문에 초청 받았다. == 예고편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EHgAEcVzh1o)]}}}|| || {{{#0575B4 '''▲ 예고편'''}}} || == 시놉시스 == > 독자적으로 행동하며 다이아몬드와 현금만을 터는 금고털이 전문 도둑 프랭크는 > 자신의 물건을 처리해주던 조가 살해당하자 > 그가 가지고 있던 자신의 돈을 찾기 위해 암흑가의 거물인 레오와 담판을 벌이는데... == 등장인물 == * [[제임스 칸]] - 프랭크 역 * 튜즈데이 웰드 - 제시 역 * [[짐 벨루시]] - 베리 역 * 로버트 프로스키 - 레오 역 * [[윌리 넬슨]] - 데이비드 '오클라' 역 * 데니스 패리나 - 칼 역 == 줄거리 == == 사운드트랙 == == 평가 == [include(틀:평가/영화 평점, 메타크리틱=thief, 메타크리틱_critic=78, 메타크리틱_user=8.4, 로튼토마토=1021230-thief, 로튼토마토_tomato=80, 로튼토마토_popcorn=81, IMDb=tt0083190, IMDb_user=7.4, 레터박스=thief, 레터박스_user=4.1, 알로시네=41777, 알로시네_presse=4.7, 알로시네_spectateurs=3.9, ## MYmoviesit=, MYmoviesit_MYMOVIES=, MYmoviesit_CRITICA=, MYmoviesit_PUBBLICO=, ## 키노포이스크=, 키노포이스크_user=, ## 야후재팬영화=, 야후재팬영화_user=, Filmarks=33924, Filmarks_user=3.8, ## 엠타임=, 엠타임_user=, 도우반=1292887, 도우반_user=7.5, ## 야후키모=, 야후키모_user=, 왓챠=mOPz1D5, 왓챠_user=3.7, 키노라이츠=20984, 키노라이츠_light=100, 키노라이츠_star=3.5, ## 네이버영화=, 네이버영화_audience=, 다음영화=15295, 다음영화_user=7.6, ## CGV=, CGV_egg=, ## 롯데시네마=, 롯데시네마_user=, ## 메가박스=, 메가박스_user=, MRQE=thief-m100047521, MRQE_user=83, ## 시네마스코어=, TMDB=11524-thief, TMDB_user=72, 무비파일럿=thief-der-einzelgaenger, 무비파일럿_user=7.2, RogeEbetcom=thief-1981, RogeEbetcom_user=3.5, ## MyDramaList=, MyDramaList_user=, ## 라프텔=, 라프텔_user=, ## MyAnimeList=, MyAnimeList_분야=, MyAnimeList_user=, ## GooglePlay무비=, GooglePlay무비_user=, ## 네이버시리즈온=, 네이버시리즈온_user=, 네이버시리즈온_heart=, )] > Thief's enigmatic conclusion will rob some audiences of satisfaction, but it's an authentic and sleekly rendered neo-noir, powered by a swaggering James Caan at the peak of his charisma. >---- > '''수수께끼 같은 결말이 일부 관객들의 만족감을 앗아갈 수도 있으나, <비정의 거리>는 당시 카리스마가 정점에 있던 [[제임스 칸]]의 모습에 힘업어 완성된, 정통적이면서도 매끄러운 완성도를 지닌 네오 누아르 영화다.''' > - [[로튼 토마토]] 평론가 총평 [[마이클 만]] 감독이 영화 감독으로서 처음으로 두각을 나타낸 작품이자 초기 대표작으로, 현재까지도 감독의 특징이자 장기로 꼽히는 파란 색감의 스타일리시한 영상미와 사실적이면서도 세련되게 묘사한 범죄 장면 등으로 호평을 받아 [[로저 이버트]]같은 평론가에게는 "내가 본 것 중 가장 지능적인 스릴러 영화들 중 하나"라고 평을 받기도 했다. 이후 이런 범죄물 장르에도 큰 영향을 미쳐 '[[브레이킹 배드]]', '[[오자크]]', '배리' 같은 드라마들이나 [[니콜라스 빈딩 레픈]] 감독의 [[드라이브(영화)|드라이브]] 같은 영화들에게 영향을 주기도 했다. 당시 [[대부(영화)|대부]]와 [[머나먼 다리]] 등지에 출연하며 주가를 올렸던 [[제임스 칸]]이 80년대에 우울증으로 활동을 중단하기 전 찍었던 마지막 작품인데, 여기서 펼친 열연 때문에 그의 대표작으로 꼽히는 작품이기도 하다.[* 제임스 칸 본인도 [[대부(영화)|대부]] 이후 자신의 출연작 중 가장 마음에 드는 작품으로 꼽은 바 있으며, 식당에서의 독백 장면은 자신의 경력 전체에서 가장 자랑스러운 장면이라고 밝혔다.] == 기타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MichaelMannJamesCaanThief.webp|width=100%]]}}} || || {{{#0575B4 '''촬영 당시의 마이클 만 감독과 제임스 칸'''}}} || * 음악은 독일의 유명 밴드 [[탠저린 드림]]이 맡았는데, 이 영화의 사운드트랙이 [[대우 맵시]] 광고에 사용되기도 했다. * 사실성에 집착하는 마이클 만 감독 답게 실제 시카고의 범죄자들과 경찰관들에게서 자문을 받았을 뿐만 아니라 일부를 영화 속에 출연시키기도 했는데, 전직 경찰을 범죄자로 캐스팅하고 반대로 도둑 출신 범죄자를 경찰 역으로 출연시켰다고 한다. [[분류:미국의 범죄 영화]][[분류:미국의 드라마 영화]][[분류:미국의 액션 영화]][[분류:미국의 느와르 영화]][[분류:1981년 영화]][[분류:마이클 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