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나무위키:틀/순차형, a=주기 혜성(Periodic Comets), b=엥케 혜성, c=엥케 혜성(2P), d=비엘라 혜성(3D), e=페이 혜성, f=페이 혜성(4P))] [목차] ||공식 명칭||3D/Biela[* 주기 혜성 중 3번째로 발견된 것인데, 일반적으로 주기 혜성에 붙여지는 P 대신 D가 붙은 이유는 아래에 서술.]|| ||이심률||0.751299|| ||궤도주기||2427.278122일, 6.645525년|| ||근일점 거리||0.879073AU|| ||원일점 거리||6.190243AU|| == 개요 == 세 번째로 발견된 주기 혜성이자, 주기 혜성 중 최초로 '''잃어버린 [[혜성]]'''이기도 하다. == 상세 == === 발견 === 1772년 3월 8일, Jacques Leibax Montaigne이 비엘라 혜성을 처음 기록하며, 같은 시기에 [[샤를 메시에]]가 독립적으로 발견한다. === 관측 === 장 루이 폰스가 비엘라 혜성이 근일점을 맞는 해인 1805년 어떤 혜성을 발견했으나 이것은 비엘라 혜성으로 받아들여지지는 않는다. 1805년 12월 9일 밤 비엘라 혜성은 지구에 가장 가까이 접근했지만 거리는 겨우 0.977AU에 불과했다. 당시 [[하인리히 올베르스]]를 포함해 여러 천문학자들이 1772년의 혜성과 1805년의 혜성의 유사성을 지적하고 나섰으나 정확히 둘이 같다고 규명하지는 못한다. 그러고 나서 1826년 육군 장교였던 [[빌헬름 폰 비엘라]]가 해당 혜성을 관측했으며, 이 혜성이 6.6년을 주기로 공전하는 주기 혜성이라는 사실을 알아낸다. 당시에는 [[핼리 혜성]](1P/Halley), [[엥케 혜성]](2P/Encke)에 이어 세 번째로 밝혀진 주기 혜성(3'''P'''/Biela)이었다. 혜성의 이름은 발견자인 비엘라의 이름을 따 지어졌으나, 과거 1826년과 1805년 장 펠릭스 아돌프 감바트가 해당 혜성을 관측하고 둘 사이의 연관 가능성을 제기했다는 사실도 알려져 약간의 논란이 있었다고 한다. 1832년 계산에 따르면 [[지구]]와의 MOID[* 최소 궤도 교차 거리. 궤도상 지구와 가장 가까워질 수 있는 이론상의 한계 거리다.]는 겨우 '''75000킬로미터'''였다고 한다. 1835년에는 혜성의 [[태양]] [[이각]]이 50도를 채 넘지 않았으며 궤도상 태양의 반대[* 지구에서 볼 시 태양과 같은 면에 있는 것이다.]에 있었기 때문에 관측이 전혀 이루어지지 않았다. === 붕괴와 실종 === 1845년 11월 26일, 프란체스코 데 비코가 혜성을 재관측했고, 이듬해 1월 14일 매튜 퐁텐 모리가 혜성을 관측한다. 그런데 1월 14일, 혜성이 두 조각으로 나눠진 것이 관측 후 발표되었으며 이후 많은 천문학자들이 혜성을 재관측한다. 두 조각의 밝기는 번갈아 나타났으며, 일부 관측에서는 혜성 물질의 아치형 통로가 나타났다고도 보고되었다.[* 이 같은 현상은 혜성이 실제 보이는 것보다 더 많은 조각으로 쪼개졌으나 관찰하기에 너무 희미했다는 것을 나타낼 수 있다고 한다.] 1852년 8월 안젤로 세키가 A 조각을 재발견한다. 그리고 이후 1872년까지 예상된 근일점에서 관측이 전혀 못 되었고, 이 시점부터 비엘라 혜성은 잃어버린 혜성[* 잃어버린 혜성은 D/의 식별문자가 붙는다. [[D/1770 L1]]이라던지 5D/Brorsen이 그 예시.]이 되었으며 1872년에는 비엘라 혜성 대신 시간당 3000개의 유성우가 나타났다고 한다. --[[날먹]]하네-- X/1872 X1(포그슨 혜성이라고도 불림)이 비엘라 혜성이였을 것이라는 추측도 있지만 이후 가능성이 없다고 판단되어 자연스레 묻혔다. 페린 므르코스 혜성[* 주기 혜성으로서의 명칭은 18D/Perrine-Mrkos.]와 니트 혜성[* 주기 혜성으로서의 이름은 207P/NEAT. 참고로 이것 말고도 NEAT의 이름을 달고 있는 혜성들은 매우 많다.]이라는 두 주기 혜성도 비엘라 혜성과 어떻게든 관련이 있을 것으로 추정되었지만, 18D는 비엘라 혜성처럼 잃어버렸고 207P설도 또 자연스레 묻혔다. 현재 혜성 조각 A가 휴면 혜성으로 남아있을 가능성이 있다. === [[안드로메다자리]] 유성우 === 1872년 유성우 활동이 폭발했다고 했는데, 이후 1885년 똑같은 안드로메다자리 유성우가 한 번 더 폭발하며 [[ZHR]]을 무려 '''15000'''을 찍어버린다. 또한 과거 5시간만에 58600개의 시각적 유성이 생성된 것도 유명하다. 그리고 한참이 지나면서 안드로메다자리 유성우는 평범한 유성우로 전락해버렸고 실제로도 전만큼 강한 활동은 없었다. 그러나... ==== 2023년의 유성 폭발? ==== 과거 1800년대에 비엘라 혜성이 분해되면서, 또는 알아서 남겨놓은 물질들이 2023년 12월 초 안드로메다자리 유성우의 유성 폭풍을 일으킬 가능성이 제기되었다. 예상 ZHR은 200이었다. 사실 예전에도 안드로메다자리 유성폭발이 아예 없었던 건 아니었지만, 이게 ZHR이 100이 넘어가질 못했다. 따라서 2023년의 유성폭발은 이례적인 일인 것. 그러나 2023년 12월 이후 안드로메다자리 유성우에 대한 포스팅이 싹 끊기면서, 과연 정말로 유성 폭발이 일어났는지 알 길이 없게 되었다. == 기타 == * 이 혜성 말고 잃어버린 혜성으로는 '''[[렉셀 혜성|D/1770 L1 (Lexell)]]'''이 있다. 이는 1770년 7월 1일 지구와 0.0015AU 거리로 가장 가까이 스쳐 지나간 혜성으로, 발견자는 [[샤를 메시에]]지만 궤도 계산을 한 사람의 이름이 렉셀이었기 때문에 비엘라 혜성과 같이 궤도 계산자의 이름을 땄다. 참고로 7월 1일 당시 혜성 코마의 직경이 약 2도 50분, 밝기는 +2등급이었으며 24시간만에 하늘 42도 거리[* 참고로 북두칠성의 각거리가 약 25도이다. 거의 북두칠성 길이의 1.7배를 24시간만에 이동한 셈.]를 이동했다고 한다. 잃어버린 이유는 목성의 궤도 교란으로 추정.[* 현재 태양계에 남아있더라도 근일점 거리가 한참 멀어 지구에서 보이지 않는 것으로 추정된다. 하지만 대개 태양계에서 방출되었다고 말하는 편.] * 어째서인지 이 혜성과 이름이 똑같은 [[https://www.youtube.com/watch?v=1hhYY3A0FEA|노래]]가 있다. * 혜성의 예상 추정 밝기는 다음 예상 근일점에서 [[http://astro.vanbuitenen.nl/comet/3|11등급]]으로 예상되지만 현재 붕괴된 상태라 관측이 불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 같이 보기 == * [[혜성]] * [[샤를 메시에]] [[분류:혜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