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레젠다리움/등장인물|{{{#ffffff 레젠다리움의 등장인물}}}]][br]{{{+1 비두마비}}}[br]{{{#!htmlVidumavi}}}''' || ||<-2>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발라카르.jpg|width=100%]]}}} || ||<-2> [[발라카르|{{{#fff 발라카르}}}]]와 비두마비 || || '''본명''' ||'''Vidumavi / Galadwen'''[br]비두마비 / 갈라드웬 || || '''성별''' ||여성 || || '''종족''' ||[[인간]] {{{-2 ([[북부인(가운데땅)|북부인]])}}} || || '''출생''' ||T.A. 1255 이전 || || '''거주지''' ||[[로바니온]] → [[곤도르]] || || '''가족관계''' ||[[비두가비아]] {{{-2 (아버지)}}}[br][[발라카르]] {{{-2 (남편)}}}[br][[엘다카르|비닛하랴]] {{{-2 (아들)}}}[br]적어도 1명 이상의 다른 자식 || [목차] [clearfix] == 개요 == [[레젠다리움]]의 등장인물. [[로바니온]]의 왕을 자처하던 [[북부인(가운데땅)|북부인]] 제후 [[비두가비아]]의 딸이자, [[발라카르]]의 아내이다. == 이름 == * '''비두마비(Vidumavi)'''[*OE 고대영어]/'''갈라드웬(Galadwen)'''[*S [[신다린]]] - '나무의 여인(wood-maiden)'라는 뜻이다. * '''비두마비(Vidumavi)''' - [[크리스토퍼 톨킨]]은 비두마비가 고딕어 이름 위두마위(Widumawi)의 라틴어 철자법이라고 제안했다. 아마 북부인들의 언어로 된 이름을 고대영어로 번역한 결과물인 것으로 추측된다. '''widus'''[* Wood/Forest(나무/숲)] + '''mawi'''[* Maiden(처녀)] * '''갈라드웬(Galadwen)''' - '''galadh'''[* Tree(나무). 'Tree(나무)'를 의미하는 원시 요정어 어근 '''GALAD''', 또는 'Grow/Thrive(자라다/번영하다)'를 의미하는 원시 요정어 어근 '''GAL'''에서 파생된 '''galada'''에서 비롯됐다.] + '''-wen'''[* Maiden(처녀). 'maiden/girl(여인/소녀)'을 의미하는 원시 요정어 어근 '''WEN(ED)'''에서 파생된 '''wendē'''로부터 비롯된 '''gwenn/gwend'''의 접미사 형태이다.] == 작중행적 == [[제3시대]] 1250년에 [[미날카르]]는 동부인과의 전쟁에서 그를 도왔던 [[북부인(가운데땅)|북부인]] [[비두가비아]]에게 아들 [[발라카르]]를 보내 우호관계를 쌓도록 했다. 발라카르는 [[로바니온]]에서 지내며 북부인의 언어와 예절, 정책 등을 배웠으며, 곧 북부의 땅과 사람들을 사랑하게 되었다. 이때 그는 [[비두가비아]]의 딸인 비두마비와 결혼했으며,1255년에 아들을 낳아 [[엘다카르|비닛하랴]]라는 이름을 붙여주었다. 1260년에 [[미날카르]]는 [[발라카르]]를 [[곤도르]]로 소환했고, 비두마비 또한 남편을 따라 곤도르에 왔다. 그들은 크게 환대받았고, 아들 비닛하랴는 [[엘다카르]]라는 이름을, 비두마비는 갈라드웬이라는 이름을 받게 된다. 비두마비는 곤도르에서 잘 적응했고, 공정하고 고귀하며 용감한 성품을 가졌다. 그리고 그 성품을 자녀들에게도 물려주었다. 비두마비는 비록 [[두네다인]]인 남편 [[발라카르]]보다는 훨씬 짧은 수명을 가졌지만 북부인 기준으로는 장수했고, 발라카르가 왕이 되기 이전인 1332년에 사망한다. == 여담 == 그녀가 [[두네다인]]이 아닌 [[북부인(가운데땅)|북부인]]이었기 때문에, 그녀의 자식인 [[엘다카르]] 또한 북부인의 혈통이 흘렀고, 이때문에 순혈 두네다인의 혈통을 중시했던 자들은 엘다카르가 왕이 되는 것을 탐탁지 않아 했다. 그리고 이런 갈등이 쌓이고 쌓여 곤도르의 전성기를 끝낸 [[친족분쟁]]이 벌어지게 된다. [[분류:레젠다리움/등장인물/인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