費觀 생몰년도 미상 [목차] [clearfix] == 개요 == [[삼국시대(중국)|삼국시대]] [[촉한]]의 인물이며 자는 빈백(賓伯)으로 형주 강하군 맹현 사람. == [[삼국지(정사)|정사 삼국지]] == [[유장(삼국지)|유장]]의 인척인데 유장의 어머니는 비관의 재당고모이며, 유장의 딸과 결혼해 그의 사위이면서 [[비의]]의 족부다.[* 비의가 의탁한 인물은 비백인이라는 친척인데, 비백인과 비관이 어떤 관계인지, 혹은 동일인물인지는 불명. 대개는 동일인으로 인식한다.] 213년에 [[이엄]]과 함께 면죽관에서 유비와 싸우다가 이엄과 함께 항복했으며, [[유비]]가 익주를 평정한 후에는 비장군에 임명되었다가 파군태수, 강주도독을 역임했다. 223년에 도정후에 봉해지면서 진위장군이 더해졌고 비관은 사람과의 교제에 뛰어났으며, 자존심이 강해서 자신과 나이, 지위가 비슷한 사람과 교류하지 않는 이엄보다는 20여 세 적었지만 마치 동년배인 양 친밀하게 왕래했다고 한다. 37세에 죽었고 그의 사적은 산실되어 전을 만들지 못했다고 하며, 계한보신찬의 평가에 따르면 재간이 있고 문무는 감탄할 만 하다고 했다. 관직에 있을 때 임무를 잘 수행하고 당당하면서 말을 잘 해 자주 거론되었으며, 재산 증식을 많이 꾀하면서도 많이 베풀고 인의와 공덕이 지극했다고 한다. == [[삼국지연의]] == 유장의 처남으로 낙성이 함락된 후에 유장의 명령으로 이엄과 함께 3만을 이끌고 면죽관을 지켰으며, 면죽관에서 이엄이 제갈량의 계책에 걸려 위험에 빠지면서 촉군에 항복했고 이엄이 항복 사자로 파견되어 설득하자 유비군에게 항복했다. == 미디어 믹스 == || [[파일:비관.jpg|width=400]] || || 삼국지 14 || [[코에이]] [[삼국지 시리즈]]에서는 [[삼국지 2]]와 [[삼국지 3]]에 등장하고 쭉 출연이 없었다가 [[삼국지 14]]에서 오랜만에 복귀했는데 능력치는 통솔 73, 무력 64, 지력 66, 정치 68, 매력 78이며 일러스트가 [[요코야마 미츠테루 삼국지]]의 영향인지 미남으로 그려졌고 자세히 보면 오른손에 검을 들고 있다. 개성은 절약, 규율, 신중, 진화, 주의는 왕도, 정책은 학익강화 Lv 3, 진형은 학익, 장사, 전법은 화시, 고무, 진정, 친애무장은 [[이엄]], 혐오무장은 없다. 스탯도 3편과 비하면 상향되어 적절하고 절약과 규율이라는 사기급 개성을 가지고 있다. [[파일:전략비관.png]] [[요코야마 미츠테루 삼국지]]에서도 등장하여 유장군 장수치고는 미중년의 외모를 하고있다. [[삼국지 영걸전]]에서는 유장의 부하장수로 등장하며 유비의 설득을 통해 아군으로 만들 수 있다. 병과는 보병계[* 등장 당시 레벨 36이므로 최종단계인 전차다.]다. 하지만 무력 49, 지력 45, 통솔력 58다. 조경래 작가의 소설 [[삼국지 마행처우역거]]에 주인공으로 등장한다.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비관, version=53, paragraph=2)] [[분류:후한의 인물]][[분류:촉한의 인물]][[분류:신양시 출신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