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from=블비, other1=9엔진 버전의 블랙비틀 카트바디, rd1=블랙비틀 9, other2=레인보우 식스 시즈의 오퍼레이터, rd2=블랙비어드, other3=카트라이더 러쉬플러스의 하이라이트 카트바디, rd3=카트라이더 러쉬플러스/카트바디/스피드 카트/레전드 등급/하이라이트 카트, paragraph3=8)] [include(틀:문서가 존재하는 X엔진 스피드 카트바디)] [목차] ||[[파일:블랙비틀 X 설명.png]]|| || 카트바디 설명 || || [[파일:블랙비틀 X 트랜스폼 앞.gif]] || || [[파일:블랙비틀 X 트랜스폼 뒤.gif]] || || 트랜스폼 || [[파일:블랙비틀X 프로모션.jpg]] > '''X 엔진의 정수, 블랙비틀 X''' == 개요 == [[블랙비틀 9]]의 후속 카트바디이며 2021년 4월 29일 한국 서버에 출시되었다. 다섯 번째[* 중국 카트라이더의 경우, [[홍기 X]]로 인해 여섯 번째 X엔진 유니크 등급 카트바디이다.]로 출시된 X엔진 유니크 등급 카트바디. 한국에서는 캐시 빙고 폐지로 인해 출석 체크 보상으로 출시되었다. 중국 카트라이더에서는 4월 29일자 패치로, 대만 카트라이더는 4월 30일자 패치로 출시. == 입수 방법 == === 한국 === || '''획득 방법''' || 유니크한 카트 상자 || 이미 [[코튼 V1]]으로 신규 엔진이 한창 보급 중인 상태에서 출시되는 카트임을 감안했는지 정상적인 카트가 아닌 [[유니크 파츠 X]]를 제외하면 카트라이더에 지금까지 출시된 모든 유니크 카트 바디 중 수급 방법이 '''역대급으로 혜자로 출시되었다.''' 그동안의 전례들을 보면 빙고 최종보상[* [[블랙비틀 9]], [[아르테미스 9]], [[히페리온 X]]]이거나 업그레이드 기어 1등급 보상[* [[크로노스 X]]], 아니면 한정 수량이나 특별 이벤트[* [[아르테미스 X]], [[골든 파라곤 SR-R]]. 출시 직후로만 한정하면 [[유니크 파츠 X]]도 해당할 수 있다.]였는데 이번 블랙비틀 X는 무려 '''출석 체크''' 보상으로 5월 12일까지 진행되는 출석 체크 업그레이드에서 SVIP 패스 핸드봉을 이용하면 7일차에 기간제 30일, 14일차에 '''무제한'''을 얻을 수 있다.[* 다만, '''출석은 단 하루라도 빠지면 안 되며''' 돈을 좀 더 효율적으로 사용하여 획득하고 싶다면, '''출석을 매일 한다는 가정 하에''' 마지막 날 업그레이드 보상이 무제한이므로 3주 차에 핸드봉을 구매하여 퀘스트를 완료하면 된다. 출석 체크 이벤트는 전날을 완료하지 않는다고 다음 날의 보상에 영향을 주지 않으므로 출시 주부터 포함해서 '''2주일 치'''를 굳이 다 안 사도 된다는 것. 3900원 두 번 쓰지 말고 한 번만 쓰도록 하자. 물론 여러 대를 얻고 싶은 유저들은 핸드봉 14일치를 전부 구매해도 된다.] 또 다른 방법으로는 아이템 조합으로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심지어 카트랜드 자유이용권 또한 여러가지 퀘스트나 SVIP 핸드봉 퀘스트를 통해 많이 수급이 가능하다.[* SVIP 퀘스트가 어려운 것도 아니다. 멀티플레이 3회 완주이거나 22km 누적으로 22km면 공방 몇 판만 돌아도 완료된다. 빙고 이벤트나 업그레이드 기어 때를 생각해보면 퀘스트의 난이도도 매우 낮다. 핸드봉 구매 비용을 절감하고 싶다면 5월 6일 ~ 10일 사이에 핸드봉을 사는 것을 권장한다.][* 더 극한의 이득을 보기 위한 방법으로 5월 4일에 구매하는 방법도 있다. 이 [[https://kart.nexon.com/Kart/Community/TipInfo/view.aspx?n4articlesn=168504|링크]]를 참고하면 5월 4일 저녁 쯤에 구매하여 5/4~5/11일까지 열심히 퀘스트를 완료하면 블랙비틀 X '''30일'''과 '''무제한'''을 모두 얻을 수 있다. 11일에 업그레이드 퀘스트를 완료하고 12일에 무제한 보상을 받는 것인데, '''퀘스트만 완료하면 되므로''' 굳이 12일 까지 핸드봉을 소지하고 있지 않아도 되는 점을 이용한 것이다. 이렇게 된다면 무제한 1대는 확정이고 추후에 기간제 합성을 통해 1대를 더 얻을 수 있다! 물론 출석 체크 자체는 5월 4일 전까지도 항상 해야 하는 것은 자명하다. --진짜 이런거 보면 한국인들은 대단하다--] 또한 5월 5일 까지 쇼타임으로 매일 3일치를 주기 때문에 무과금도 기간제 합성을 통해 손쉽게 무제한으로 만들 수 있다.[* 5월 6일 패치에 기간제 카트 박스를 판매한다는 공지가 올라와있는데 기간제 카트가 부족한 사람이라면 그 아이템을 사용해서 기간제 합성을 시도 해보는 것도 괜찮은 방법이다.] 요약하자면 등급만 유니크지 카트 바디를 얻을 수 있는 방법의 난이도로만 보면 사실상 레전드 등급이나 다름없다.[* 거기에 패치 노트를 잘 보면 앞으로 두 번 다시 획득할 수 없다는 내용이 '''없다.''' 이는 [[유니크 파츠 X]]를 제외하면 유니크 카트 사상 최초이다.] 추가로 출시 1주 후인 2021년 5월 6일 업데이트로 기간제 카트 박스가 출시되어 매일 하루에 1번씩 10000 루찌로 5개를 구매 가능한데, 이렇게 기간제 카트를 많이 퍼주는 이유 또한 블랙비틀 X의 기간제 합성용 제물로 사용하라는 것이고 결론적으로는 많은 유저가 무제한을 얻게끔 장려하는 것. 이는 마치 [[크로노스 X]] 출시 때 업그레이드 기어를 많이 풀어주는 것과 비슷한 케이스로 보인다. 현재는 위의 이벤트들의 기간이 끝나 얻을 수 없지만 문의 결과 추후 다른 이벤트를 통해 획득할 수 있다고 한다. [[https://kart.nexon.com/board/163872791/1246283/|문의 내용]] 2021년 10월, 대만 카트라이더에서 '''X엔진 유니크 카트바디 선택권'''이 등장하여 한국 유저들 역시 주목을 하기 시작했는데 그 유니크 카트바디 선택권엔 [[크로노스 X]], [[히페리온 X]], [[아르테미스 X]]가 있다고 한다. 대만 카트라이더는 이 세 카트바디에 추가 획득은 불가능하다는 문구가 없었기에 가능한 것인데, '''한국 카트라이더에서는 저 두 카트바디 모두 <더 이상의 추가 획득은 불가능하다>[아르테미스는 제외]'''라고 못박아놓았기에, 한국 카트라이더에 유니크 카트바디 선택권이 생긴다면 그 유니크 카트바디 후보로 [[골든 파라곤 X]], [[유니크 파츠 X]]와 함께 이 블랙비틀 X가 등장할 가능성이 높아지게 된다. 그래서 한국 유저들은 차후에 블랙비틀 X를 다시 얻을 수 있다고 하면 골든 파라곤 X와 함께 이 유니크 카트바디 선택권으로 등장할 것이라는 추측도 나오고 있다. 2022년 1월 8일에 쇼타임을 통해 지급되는 12월의 캍톡 상자에서 확률적으로 등장한다는게 카트라이더 공식 유튜브 채널의 영상에서 확인되었다. 2022년 1월 20일 시간의 상점이 열리면서 [[골든 파라곤 X]]와 함께 골드 슬롯에 나온다는 것이 확인되었는데, 같은 날 나온 [[어벤저 V1]], [[리벤저 V1]]에 대한 비판과는 다르게 이 카트바디가 골드 슬롯으로 등장한 것에는 호평이 많다. V1 엔진 카트바디들의 잇다른 출시로 이 카트바디의 추가 수급이 매우 더뎌져서 유니크 카트바디를 얻고 싶어도 얻지 못했던 유저들이 많았기 때문. 물론 추후에도 다시 뿌리겠지만 그럼에도 이 시간의 상점을 통해 한시라도 빠르게 소장 목적으로라도 블랙비틀을 한 대만 얻거나, 아니면 레전드 X엔진 카트바디들에 유니크 파츠를 온전히 다 장착하기 위해 꿀패를 찾아서 다수를 뽑으려 시도하는 이들이 있을 것이다. 이후 획득이 불가능했었으나, 2023년 3월 31일 서비스 종료를 앞두게 되면서 2023년 3월 2일부터 유니크한 카트 상자로 다시 지급된다. === 중국 === || '''카트 명칭''' || 黑色甲虫 X || || '''획득 방법''' || 빙고 최종보상 || 캐시 빙고는 한국 한정으로만 삭제되었기에 중국 서버에서는 이전의 [[블랙비틀 9]] 때와 마찬가지로 X엔진도 빙고 뽑기로 출시하였다. [[한삼변]]이 직접 중국 카트라이더 계정을 하나 빌려서 빙고로 블랙비틀 X 뽑기를 실시하였는데, 계정 주인이 100만원을 현질하여 300개의 빙고 아이템이 이미 마련해 둔 상태였는데도 블랙비틀이 뽑히지 않았다. 이걸 본 시청자들은 한국 서버에서 캐시 빙고를 삭제하길 잘했다는 반응이 대부분이다. === 대만 === || '''카트 명칭''' || 黑武神 X || || '''획득 방법''' || 장미 축제 상자 || == 성능 == ||<-4> '''성능 수치''' || || {{{#000,#fff '''서버'''}}}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height=16]] || [[파일:중국 국기.svg|height=16]] || [[파일:대만 국기.svg|height=16]] || || '''드리프트''' ||<-3> 1060 || || '''가속력''' ||<-3> 1057 || || '''코너링''' ||<-3> 1085 || || '''부스터 시간''' ||<-3> 1055 || || '''부스터 충전량''' ||<-3> 600 || ||<-4> '''속도 {{{-3 (매우빠름)}}}''' || || '''직선 속도''' ||<-3> 215km/h[* 머리를 흔들 경우] || || '''부스터 속도''' ||<-3> 304km/h[* 일반 부스터 기준 머리를 흔들 경우] ~ '''306km/h'''[* [[https://cafe.naver.com/llrarell/1613439|#]] X엔진 역사상 최초이다. 팀 부스터 기준 머리를 흔들 경우.]|| || '''출발 부스터''' ||<-3> 333km/h[* 더욱 강력한 출발 부스터 착용시 최대치] || || '''헤어핀 감속''' ||<-3> 130~135km/h || ||<-4> '''주행 물리''' || || '''안정성''' ||<-3> 상 || || '''접지력''' ||<-3> 중 || || '''몸싸움''' ||<-3> 중하 || || '''무게중심''' ||<-3> 앞 || '''X 유니크 바퀴 3.3, X 유니크 엔진 2.3, X {{{#blue 유니크 핸들 11.7}}}, X 유니크 부스터 1.7'''의 기본 파츠를 갖고 있다. 순수 스펙 자체만으로는 이전 X 엔진 1대장인 [[크로노스 X]]보다도 '''수치가 훨씬 높으며,''' 게이지 충전량의 경우는 600으로 다른 X 엔진 유니크 카트바디 및 [[쉐퍼 X]]와 동일하다. 전작인 [[블랙비틀 9]]에서도 준수한 접지력과 안정성, 몸싸움을 보여주었기에 감속마저도 괜찮다면 크로노스를 뛰어넘는 것은 물론 V1 엔진 레어 카트바디가 나오기 전까지는 원탑의 위치를 지킬 것으로 예상되었다. 그러나 출시 후 실성능 리뷰가 이루어지자 약간의 아쉬운 점이 보였다. 헤어핀 감속은 매우 빠름 기준 130~135km/h 정도로 현 1대장인 크로노스 X보다 살짝 밀리긴 하지만 획득 경로 치고는 굉장히 준수한 편이다. 최고 속도는 고개를 좌우로 흔드는 기준으로 잘 흔들면 '''306km/h'''까지 찍힌다. [[https://cafe.naver.com/llrarell/1613439|#]] 포레스트 아찔한 다운힐에서의 안정성 측정 결과 차체가 뜨지 않고 안정적이었으나, 가장 눈에 띄는 아쉬운 점은 바로 '''접지력'''. 리오 천막 끌기에서 볼 수 있듯이 차체의 무게 중심이 살짝 앞으로 쏠려 있어 접지력에 있어서 살짝 뒤뚱거리는 모습을 보여준다. 이것은 아무래도 블랙비틀 X의 보급 경로를 의식하여 크로노스 X보단 접지력을 살짝 안 좋게 출시한 것 같다는 반응이 대부분. 그리고 코너링 수치가 상술하였 듯 유니크 핸들 10보다도 높기 때문에 그만큼 핸들 반응이 매우 높은 편으로 즉 심각한 '''[[오버스티어]]'''라 카트바디의 컨트롤 난이도도 높다. 물론 적응이 빠른 유저들은 주행에 큰 문제가 없겠으나 대부분의 유저와 초보자의 입장에선 핸들 파츠를 낮은 것으로 교체하는 선택도 고려해볼 만하다.[* 이는 [[드래곤 세이버 X]]를 비롯한 오버스티어 카트바디의 공통적인 특징이며, 핸들로 파츠를 낮추어 주행하던 유저들도 많았다.] 그렇지만 지난 [[쉐퍼 X]] 때도 오버스티어링으로 문제가 되었는데, 쉐퍼 X는 레전드 등급이며 그저 멘티스 대용으로 쓰는 경우가 많기에 핸들을 낮추는 게 추천되었던 반면 블랙비틀 X는 유니크 등급이라 핸들을 한 번 고치면 되돌릴 수도 없고[* 순정 무제한 유니크는 상당한 소장가치를 지니며, 여차하면 분해하여 파츠로 만들 수도 있다. 파츠 하나(특히 핸들)를 레전드 이하로 낮추고 나중에 파츠 보급을 위해 그 카트를 분해하게 된다면 유니크 파츠가 나오지 않을 수도 있기 때문에 핸들 변경은 신중히 하는 것이 좋다.] [[크로노스 X]] 대용으로는 이미 [[파라곤 X]]라는 걸출한 대체재가 있어 반대로 핸들을 낮추지 않고 엄청난 핸들링 속도를 개성으로 살려 달리는 것도 나쁘지 않다. [[유니크 파츠 X]]의 보급이 늘어나면서 유니크 핸들을 장착한 카트에 적응하는 추세기도 하고. 차체의 크기는 뒷범퍼가 살짝 크긴 하나, 전체적으로 약간 작은 편에 속한다. 또한 전작인 [[블랙비틀 9]]의 특징이었던 부스터 발동 시 차체가 축소하는 기믹이 X 엔진에서도 유지되었다. 종합해보면, 전체적인 성능은 [[크로노스 X]]와 유니크 파츠를 장착한 [[몬스터 X LE]], [[멘티스 X]]에는 살짝 밀리지만 순수 클라이언트 성능이 높기 때문에 [[히페리온 X]], [[아르테미스 X]]와 레전드 파츠 상태의 [[파라곤 X]]와 [[몬스터 X LE]], [[멘티스 X]] 보다는 우위에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 여담 == * [[플라즈마 X PT]]에 이어 두번째로 유니크 10을 초과하는 스탯을 장착한 X엔진 카트바디이다.[* 플라즈마 X PT는 유니크 부스터 150(1500)을 장착하였다. 플라즈마의 P 타입 시리즈야 원래 게이지 충전량이 매우 낮은 대신 부스터 지속시간이 매우 길다는 컨셉의 카트바디인데다가 1500이란 수치도 다른 엔진의 P 타입 카트바디와 비교했을 때 크나큰 차이도 없으니 저렇게 설정할 수 있다지만 블랙비틀은 별다른 특징이 없음에도 저런 수치를 가지게 된 것이 의외인 점. ][* 다만, 지우 엔진 시절 두 유니크 카트바디는 모두 '''핸들링 수치가 다른 수치에 비해 온갖 쟁쟁한 깡패 하드웨어 X엔진 카트바디가 판치는 현재와 비교해도 압도적일 정도로 높았다.''' 그 수치는 1125로, X엔진의 파츠 시스템으로 따지면 '''유니크 핸들 25'''에 해당하며, 추가 강화와 파츠 장착으로 저기서 더 높일 수도 있었다. 블랙비틀 X의 독보적인 핸들 수치는 이 점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이며, 아르테미스 X의 경우는 히페리온 X의 카피본이다보니 아르테미스 9때의 스탯 특성을 반영치 못한 것일 수 있다. 히페리온 X 자체가 X엔진 최초 유니크 카트바디이다 보니 어느정도 성능 책정에 조심스러웠을 수도 있고.] * JIU 엔진 시절의 [[블랙비틀 9]]을 되돌아보면 그 당시 압도적인 원탑 성능으로 출시되긴 하였으나, 국민 카트인 [[멘티스 9]], [[골든 스톰 블레이드 9]]이나 얼마 후에 출시된 [[아르테미스 9]]에 의해 금방 묻히게 된 안타까운 전례가 있었다. 이 상황이 X 엔진에서도 이어질지는 의문.[* 하지만 X 엔진에서는 블랙비틀과 아르테미스의 관계가 뒤집혔다. 블랙비틀 9의 다소 아쉬운 성능에 죽빵을 후려갈기며 완벽한 1대장으로 군림했던 아르테미스 9와 달리, 히페리온 X와 동일한 성능인데다가 완전 희귀한 한정판 카트인지라 평가가 썩 곱지는 않은 아르테미스 X에 비해 블랙비틀은 X 엔진 황혼기에 맞춰 나온 카트바디인만큼 성능 자체는 현 1대장과 무리없이 비벼볼 수 있는 정도는 되게 나왔기 때문이다. 관건은 이렇게 나오고 나서 얼마나 빨리 V1 엔진에게 묻히는가 일 것이다.] * 여담으로 [[블랙비틀 9]]은 한국 카트라이더 및 JIU 엔진에서 '''처음'''으로 출시된 유니크 등급 카트바디인데 X 엔진에서는 '''[[코튼 V1]]보다도 늦은 후반부중의 후반부'''에 출시된 유니크 등급 카트바디이다. 유니크 등급에 있어서 JIU 엔진의 처음과 X 엔진의 끝을 장식한 라인업이라는 점이 주목할 만하다. 이와는 반대로 아르테미스는 JIU 엔진에서는 후반부를 장식했던 반면, X엔진에서는 [[히페리온 X]]와 함께 최초로 나온 유니크 X엔진 카트바디의 역할을 맡게 되었다는 것도 재밌는 점이다. * 전작인 [[블랙비틀 9]]이 첫 유니크 등급이었던 만큼 카트라이더 커뮤니티 등지에서 "블랙비틀 X 언제 나와요?" 하는 이야기가 잊을 만하면 언급되었을 정도로 후속 엔진에 대한 관심이 매우 큰 카트바디 중 하나였는데, 결국 현실화되었다. 다른 카트 바디들도 생각해보면 멘티스와 쉐퍼도 그렇고, 제작진들도 전 엔진인 JIU 엔진에서 반응이 좋고 네임 밸류가 있었던 카트 바디들을 인지하고 있으며 그래도 늦게나마 출시해줘서 다행이라는 반응이 있다. 이는 나중에 V1 엔진에서도 <멘티스 V1>, <쉐퍼 V1>, <아르테미스 V1>, <블랙비틀 V1>이란 이름으로 이어져갈 수 있는 가능성 또한 있을 수 있겠다. * 카트 바디의 디자인에 대한 이야기도 꽤 많다. JIU 엔진과는 다르게 X 엔진에서의 블랙비틀은 앞쪽 외관이 [[파라곤 9]]이랑 사실상 판박이급이다. [[파라곤 X]]가 오히려 이런 디자인이어야 되지 않았었나 싶을 정도로 비슷한 수준. 파라곤 말고도 블리츠, 제노, 소닉 등 다른 카트 바디들의 디자인도 조금씩 혼합한 모습을 띄기도 하였으며 어떤 이들은 [[블랙 마크 Z7-R|블랙 마크 Z7]]과 비슷한 느낌이 든다고도 한다. 그래도 부정할 수 없는 점은 블랙비틀 X는 X 엔진 중에서 디자인이 굉장히 잘 뽑힌 축에 속한다는 것이다. X 엔진이 그동안 디자인에서 혹평을 받은 카트바디가 많다는 점을 생각해보자.[* 대표적으로 [[코튼 X]]나 [[파라곤 X]]. 전반적으로 JIU 엔진 때보다 뚱뚱해지고 못생겼다는 평가가 많았다.] 실제로 커뮤니티에서도 '간지 난다'. 'JIU 엔진 시절의 감성은 살짝 없어졌어도 멋있게 뽑힌 것 같다' 라는 반응이다. * 이름이 비슷한 블랙 마크 Z7과는 달리 카트바디 이름에 띄어쓰기가 적용되지 않았다. 이는 전작 [[블랙비틀 9]]과 동일한 부분. * [[히페리온 X]]과 [[아르테미스 X]]부터 [[유니크 파츠 X]], [[크로노스 X]]에 이어 블랙비틀까지 출시하게 됨에 따라 유니크 카트바디 시리즈는 2대만 출시된 JIU 엔진과는 다르게 X 엔진에서는 5대까지 나온 후 마무리를 짓는 줄 알았지만 나중에 [[골든 파라곤 X]]가 유니크 등급으로 출시되었다. * 차량 뒷부분이 [[홍기 9]]와 닮았다는 반응도 있다. *전체적으로 [[람보르기니/콘셉트 카#s-34|람보르기니 V12 비전 그란투리스모]]의 외형과 매우 닮았다. * 재미있게도 블랙비틀을 지급하는 이벤트인 카트랜드 이벤트와 블랙마크 Z7을 닮았다고 평가가 오가는데 블랙비틀 X의 디자인은 과거 서울랜드에 포토존으로 활용된적 있는 블랙마크 Z7을 연상케 한다. 블랙마크 쪽은 엄연히 포토존 시설에 불과했으나 놀이공원에 전시된 검은색 레이싱 머신이라는 점이 겹친다. == 둘러보기 == [include(틀:유니크 스피드 시리즈)] == 관련 문서 == * [[크레이지레이싱 카트라이더/카트바디]] * [[블랙비틀 9]] [[분류:크레이지레이싱 카트라이더/카트바디]][[분류:2021년 출시된 카트바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