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희왕]]의 최상급 싱크로 몬스터 카드. [include(틀:크로우 호건 덱 관련 문서)] [include(틀:유희왕 5D's 시그너 드래곤)] ||<#000000><:>'''{{{#!html블랙 페더 드래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Black Feather Dragon.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날개 변화.jpg|width=100%]]}}}|| ||<:><#000000>{{{#FF0000 검은 질풍이여! 숨겨진 마음을 그 날개에 나타내어라! 싱크로 소환! 날아올라라, '''{{{#!html블랙 페더 드래곤!!!}}}'''[br]黒き疾風よ!秘めたる思いをその翼に現出せよ!シンクロ召喚!舞い上がれ、'''{{{#!htmlブラックフェザー・ドラゴン!}}}'''}}}[* 120화에서는 앞부분을 '검은 선풍이여!(黒き旋風よ!)'라고 하였다.]|| ||<:><#000000>{{{#FF0000 검은 회오리바람! 칠흑 같은 날개에 네 뜻을 마음껏 펼쳐라! 싱크로 소환! 날아올라라, '''{{{#!html블랙 페더 드래곤!}}}''' - 한국판}}}|| [목차] == 원작 == [[파일:external/img2.wikia.nocookie.net/329px-BlackWingedDragon-JP-Anime-5D.pn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싱크로=, 효과=, 한글판명칭=블랙 페더 드래곤, 일어판명칭=ブラックフェザー・ドラゴン, 영어판명칭=Black-Winged Dragon, 속성=어둠, 레벨=8, 공격력=2800, 수비력=1600, 종족=드래곤족, 소재=튜너 + 튜너 이외의 몬스터 1장 이상, 효과1=이 카드의 전투 이외로 발생하는 자신에게로의 데미지를\, 그 데미지의 수치만큼 이 카드의 공격력을 내리는 것으로 무효로 할 수 있다. 1턴에 1번\, 이 카드의 효과로 내린 이 카드의 공격력을 원래 수치로 되돌릴 수 있다. 또한 이 때\, 상대 필드 위에 존재하는 모든 몬스터의 공격력은 되돌린 수치만큼 내린다.)] [[유희왕 5D's]]에서 [[크로우 호건]]이 사용하는 시그너 드래곤. 스토리상 크로우의 친구 [[로버트 피어슨]]의 에이스 몬스터였는데, "아픔을 등진 피어슨을 자신과 동일시하고 그에게 나타났다."라는 식으로 해석하고 있다.[* 끼워맞추기지만 원래는 [[루드거 고드윈]]이 소지해야했던 시그너 드래곤이 얘였는데, 그 루드거가 다크 시그너가 되어버린 탓에 블랙 페더 드래곤이 원래의 파트너가 아닌 피어슨에게 갔던 것인지도 모른다.] BF는 전부 이 친구가 크로우에게 물려준 것으로 블랙 페더 드래곤 역시 이 친구의 유물이지만, 크로우조차 어디 있는지 모르는 상태. [[Black Bird|블랙 버드]]를 살펴보던 브루노는 블랙 버드의 특정 부분에 접근이 허용되지 않는 부분이 있다며 의아해 한다.[* 이 부분은 설정붕괴에 가까운 것이, 공공기관인 시큐리티 서버도 능숙하게 해킹하는 유세이와 브루노가 고작 D휠의 접근불가 부분 하나를 파헤치지 못했다. 크로우의 D휠이니까 깊게 파헤치지 않았을지도 모르지만…] 그러다가 95화에서 안에 숨겨져 있던 이 카드가 모습을 드러냈는데, 이 때 다른 시그너의 문양이 반응했다. 해제 시에 암호로 나온 문자는 'certified(증명됨)'. 그리고 크로우는 블랙 페더 드래곤으로 [[볼가]]의 [[블러드 메피스트]]를 약화시키고 그대로 발라버린다. 공격명은 '''노블 스트림(Noble Stream).''' 데미지 무효 효과명은 '''데미지 드레인(Damage Drain).''' 공격력 감소 효과명은 '''블랙 버스트(Black Burst).''' 데미지 방어 효과를 쓸때마다 연출상 날개의 깃털이 하나씩 (4장의 날개에서 하나씩 물들기에, 정확히는 4장씩) 검게 물들어 가는데, 이는 '검은 날개 카운터'를 의식한 연출인 듯 하다. 덤으로 원작의 효과는 [[라이트 앤드 다크니스 드래곤]]과 비슷한지라, 공격력을 못 내리면 효과 데미지를 못 막을 것 같다(…). 처음 등장했을 때 크로우가 상당히 열받았는지 몰라도[* 사실 피어슨은 볼가와 크로우, 두 사람의 친구였는데 그런 친구를 죽인 것도 모자라서 그 친구의 유품마저 노리고 있으니, 크로우가 열받지 않을 리 없다.] 세트한 카드를 패로 돌리는 것으로 묘지에서 특수 소환 할 수 있는 [[BF-정예의 제피로스]]의 효과를 무한히 사용하여 공격력을 0까지 내리는데 OCG 효과였다면 말 그대로 원턴킬도 가능한 수준이었다. (실제로도 사용 가능하지만 듀얼 중 1번만 발동 가능.) 다섯번째로 크로우가 다크 시그너와의 싸움으로 시그너로 각성했고 블랙 패더 드래곤이 시그너 드래곤으로 되었다. 효과 데미지를 막고 이를 역으로 이용하는 효과는 WRGP에서 유용하게 사용될만한 효과지만 정작 본편에서는 팀 카타스트로프전 이후로는 영 신통치 않은 샌드백 신세만 당했다. 팀 카타스트로프전 때도 마지막에는 카운터 함정 [[중력붕괴]]의 코스트로 묘지로 보내졌다. 그러나 136화에서 검은 날개 카운터의 효과를 발동해 유세이의 필드에 [[스카레드 노바 드래곤]]과 [[슈팅 스타 드래곤]]을 다시 불러내는 데에 결정적인 역할을 수행했다. 근데 여기서 느닷없이 OCG 효과로 바뀌었다.[* 이미 팀 라그나로크 전에서 OCG 효과로 바뀌었다. [[https://youtu.be/t4-Y4Ccryx4|극신황 토르의 효과 대미지를 받아내면 공격력 800이 줄어야 하는데, 내려간 공격력은 700이었다]]. 검은 날개 카운터 쌓았다고 말만 안 했지 사실상 OCG처럼 효과 대미지 무효화 회수 × 700이 감소한 격.] 148화에서 주인인 크로우에게 '귀여운' 블랙 페더 드래곤이라고 불리는 와중에 오류가 있었는데, [[시계신 라치온]]의 효과 데미지를 무효화하지 않았다. 일단 로그상의 오류라고 볼 수 있지만, 이후 [[라이프 스트림 드래곤]]으로 유세이의 라이프가 2000이 되었기 때문에 이 오류가 승패에 관여하지는 않았다. === 설정 === 모든 [[시그너]] 드래곤 중에서 유일하게 탄생 경위가 불분명하다.[* [[스타더스트 드래곤]], [[레드 데몬즈 드래곤]], [[블랙 로즈 드래곤]], [[고대 요정 드래곤]]은 모두 [[후도 박사]]가 모멘트를 봉인하기 위한 열쇠로 개발한 카드들이며, [[라이프 스트림 드래곤]]은 세이비어 드래곤 마냥 [[붉은 용]]의 힘으로 듀얼 중에 카드 자체가 새롭게 창조되었다.] 일단 붉은 용의 표식도 반응을 하므로 시그너 드래곤인 것에는 틀림이 없으나, 관련 설정이 다소 애매한 부분이 있다. 이에 대해 좀 더 설명을 해보자면, [[잭 아틀라스]]가 [[보머(유희왕)|보머]]의 연락을 받아 나스카 지상화 구역으로 간 후, 그곳에서 [[홍련의 악마의 종]]과 듀얼을 할 때 보머가 10000년 전에 있던 붉은 용과 지박신의 싸움 대해 설명을 하는데, 이 때 최강의 지박신과 맞서 싸우는 드래곤 중에 이 카드가 있었다. 그런데 2기에서 [[루카(유희왕)|루카]]가 꿈으로 본 5000년 전 다크 시그너와의 싸움에서는 이 카드의 모습은 없었고 대신 [[라이프 스트림 드래곤]]이 있었다. 즉 5000년 전 다크 시그너와의 싸움에서는 이 카드가 부활하지 못했고, 10000년 전 싸움에서는 라이프 스트림 드래곤이 부활하지 못했다는 것. 그 이유에 대해서는 작중에서 설명되지 않는다. 이런 식으로 불필요하게 설정이 꼬인 것은 원래 루아가 다크 시그너와의 싸움 도중에 시그너로 각성할 예정이었으나 [[어른의 사정]]으로 크로우를 어거지로 끼워넣었고, 정작 원래 시그너가 될 예정이였던 루아의 떡밥은 5기까지 가서야 부랴부랴 수습했기 때문이다. == OCG == [include(틀:유희왕/OCG/6기 부스터 팩 커버 카드)] [[파일:ブラックフェザー・ドラゴン.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싱크로=, 효과=, 한글판명칭=블랙 페더 드래곤, 일어판명칭=ブラックフェザー・ドラゴン, 영어판명칭=Black-Winged Dragon, 속성=어둠, 레벨=8, 공격력=2800, 수비력=1600, 종족=드래곤족, 소재=튜너 + 튜너 이외의 몬스터 1장 이상, 효과1=①: 자신이 효과 데미지를 받을 경우\, 대신에 이 카드에 검은 날개 카운터를 1개 놓는다., 효과2=②: 이 카드의 공격력은\, 이 카드의 검은 날개 카운터의 수 × 700 내린다., 효과3=③: 1턴에 1번\, 이 카드의 검은 날개 카운터를 전부 제거하고\, 상대 필드의 앞면 표시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여 발동할 수 있다. 그 상대 몬스터의 공격력은 제거한 검은 날개 카운터의 수 × 700 내리고\, 내린 수치만큼의 데미지를 상대에게 준다.)] [[빛나는 어둠]]의 커버 카드로 등장. 효과 자체는 원작보다 강화되었는데, 효과 데미지를 잔뜩 쌓아도 상대 몬스터의 공격력을 이 카드의 공격력만큼 내리는 것이 고작인 원작과 달리, 이쪽은 카운터를 쌓기 때문에 공격력을 낮출 수 있는 수치가 더 높고, 상대에게 효과 데미지를 역으로 되돌려주는 것도 가능하다. 이름에 [[BF(유희왕)|블랙 페더]]가 들어가 있지만, 블랙 페더의 서포트 카드들은 전부 '''[ruby(BF, ruby=블랙 페더)]'''라는 이름이 붙은 몬스터를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이 카드는 서포트를 '''전혀 받을 수 없다.''' 영어판에서도 Black'''-'''Winged Dragon이라는 식으로 중간에 하이픈을 넣어 'Blackwing' (BF(블랙 페더)의 영어판 표기) 관련 서포트를 받지 못하게 해 두었다. ①의 효과에 의해 자신에게 오는 효과 데미지를 없애는 것이 가능하다. 효과 데미지 위주의 전략을 사용하는 덱에게는 위협적인 효과로, [[체인 스트라이크]] 등의 강력한 카드도 무사히 넘길 수 있다. 이 효과는 강제 효과로 반드시 데미지 대신 검은 날개 카운터를 쌓아야 한다. 그러나 ②의 효과에 의해, 검은 날개 카운터가 쌓일수록 공격력이 낮아진다는 문제가 있다. 큰 효과 데미지에 모든 것을 거는 상대에게는 위협적인 카드지만, [[트릭스터(유희왕)|트릭스터]] 마냥 작은 데미지를 여러 번 주면서도 전투 능력이 아예 없지는 않은 덱을 상대할 때에는 이 효과로 약체화되어 파괴당하기 쉽다. 검은 날개 카운터 자체는 자신의 공격력과 무관하게 계속 쌓을 수 있어서 더 내려갈 공격력이 없어도 효과 데미지는 막는다. 이렇게 쌓인 검은 날개 카운터를 활용하는 것이 ③의 효과로, 상대 몬스터를 약체화시키고 내려갔던 공격력도 복구하면서 큰 데미지를 줄 수 있다. 의도적으로 자신에게 카운터를 잔뜩 쌓지 않는다면 보통은 700~1400 정도 약체화/데미지가 한계. 내린 공격력만큼의 데미지를 주는 것이므로 카운터가 아무리 많아도 대상 몬스터의 공격력만큼의 데미지가 최대다. 기본적으로는 효과 데미지를 주는 카드에 대한 대책으로 사용할 만한 카드지만, 효과 데미지 위주의 덱 자체가 그리 많지 않은데다 그 용도 외에는 그다지 쓸모가 없는 레벨 8 싱크로 몬스터인 이 카드를 엑스트라 덱에 자리를 내서 투입하고 필요할 때 소환하는 것은 그리 효율이 좋다고 말하기는 어렵다. 때문에 사용하고자 한다면 자신이 효과 데미지를 받는 카드를 채용하여 자신이 받는 페널티를 줄이면서 상대에게 데미지를 주는 방식으로 적극적으로 효과를 살려야 한다.[* 가장 좋은 예는 [[바이스 광대]]. 예를 싱크로 소재로 하면 그 턴 종료 시까지 공격력이 2000 오르지만 대신 2000데미지를 받아야하는 디메리트가 있는데, 블랙 페더 드래곤에게 쓰면 디메리트가 카운터 1개 올라 4800으로 오른 공격력이 700 정도 내려가는 걸로 끝이다. 심지어 그 카운터로 상대 몬스터 약체화+700데미지도 가능하다.] 이름에 "BF(블랙 페더)"가 들어가는 것이 아닌데다 효과 역시 범용성이 낮아 [[BF(유희왕)|BF]] 덱과의 상성이 좋은 편은 아니었으나, OCG 오리지널 지원이 속속 등장하여 충분히 채용할 만한 카드가 되었다. 특히 [[다크윙 블래스트]]의 BF 카드들은 블랙 페더 드래곤을 직접 지정하거나 검은 날개 카운터를 이용하는 등 이 카드의 사용을 적극적으로 유도하고 있다. 남풍의 아우스테르의 효과를 이용하면 1턴에 큰 효과 데미지를 주어 게임을 끝내는 것도 가능한 수준으로 화력 또한 크게 향상되었다. 현재 BF에서 주로 무뢰의 바타의 효과로 덱의 BF를 덤핑하면서 소환되어 람사의 샤멀, 정예의 제피로스의 효과 대미지를 대신 받아주다가 적당한 때에 레벨 1 튜너랑 튜닝을 해서 [[염마룡 레드 데몬 어비스]]로 퍼미션을 챙기거나 레벨 2 튜너랑 튜닝을 해서 [[비스테드 디스 파테르]]의 소재로 쓰인 다음 묘지에서 싱크로 튜너랑 같이 [[블랙 페더 어썰트 드래곤]]의 특수 소환 소재로 제외되며 일을 마친다. 기존의 BF에서 BF 지원을 못 받아서 버려진 카드였지만 애니메이션 주연인 [[크로우 호건]]의 에이스 카드인 점과 OCG 역사상 가장 축복받은 속성과 종족인 어둠 속성 드래곤족인 것에 의하여 현재는 [[염마룡 레드 데몬 어비스|강력한]] [[블랙 페더 어썰트 드래곤|싱크로]] [[비스테드 디스 파테르|몬스터]] 3장의 소재로 잘 이용되는 것을 보면 역시 앞날은 모르는 일. 태그 포스 시리즈에서는 [[디바인(유희왕)|디바인]] 대신 사이킥족 덱을 쓰는 듀얼 아카데미아 버전의 [[이자요이 아키]]의 스토리를 진행하는데 거의 필수요소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 카드의 유무에 따라 난이도가 상당히 차이나기 때문에 보통은 아키의 스토리를 하기 전에 크로우의 스토리를 하게 된다. 미묘한 성능 탓인지 태그 포스 스페셜에는 노멀로 나온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국가''' || '''기타사항''' || || [[빛나는 어둠]] || TSHD-KR040 || [[울트라 레어]][br][[얼티밋 레어]][br][[홀로그래픽 레어]] || 한국 || 한국 최초수록 || || [[듀얼리스트 팩]] [[크로우 호건|크로우]]편 || DP11-KR016 || [[슈퍼 레어]] || 한국 || || || [[다크윙 블래스트]] || DABL-KRS01 || [[프리즈마틱 시크릿 레어]] || 한국 || || || [[빛나는 어둠|THE SHINING DARKNESS]] || TSHD-JP040 || [[울트라 레어]][br][[얼티밋 레어]][br][[홀로그래픽 레어]] || 일본 || 세계 최초수록 || || [[듀얼리스트 팩]] [[크로우 호건|크로우]]편 || DP11-JP016 || [[슈퍼 레어]] || 일본 || || || [[다크윙 블래스트|DARKWING BLAST]] || DABL-JPS01 || [[프리즈마틱 시크릿 레어]] || 일본 || || || [[빛나는 어둠|The Shining Darkness]] || TSHD-EN040 || [[울트라 레어]][br][[얼티밋 레어]][br][[홀로그래픽 레어]] || 미국 || 미국 최초수록 || || 2010 Collectors Tins || CT07-EN002 || [[시크릿 레어]] || 미국 || || || [[듀얼리스트 팩|Duelist Pack]]: [[크로우 호건|Crow]] || DP11-EN016 || [[슈퍼 레어]] || 미국 || || == 관련 문서 == * [[현익룡 블랙 페더]] * [[BF(유희왕)]] * [[듀얼리스트 팩]] * [[시그너]] * [[블랙 페더 어썰트 드래곤]] [각주] [[분류:유희왕/OCG/드래곤족]][[분류:유희왕/OCG/싱크로 소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