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1856년 출생]][[분류:1920년 사망]][[분류:클라겐푸르트 출신 인물]][[분류:슬로베니아계 오스트리아인]][[분류:오스트리아의 인물]][[분류:오스트리아-헝가리제국군/군인]][[분류:제1차 세계 대전/군인]] [include(틀:1차세계대전기의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군 장성급 장교)] |||| '''{{{#191919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군 7대 장군참모장[br]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군 육군 보병대장[br]{{{+1 블라시우스 폰 셰무아}}}[br]Blasius von Schemua}}}''' ||||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Blaž_Schemua.jpg|width=100%]]}}} || || 이름 ||'''Blasius Edler von Schemua'''^^[[독일어|{{{#191919,#fff 독일어}}}]]^^[br]블라시우스 에들러 폰 셰무아[* [[국립국어원]]의 외래어 표기 용례대로는 '폰셰무아'로 표기한다. [[게르만어]]권 인명의 전치사 및 관사는 뒤 요소와 붙여 적도록 하고 있다.][br]'''Blaž Žemva'''^^[[슬로베니아어|{{{#191919,#fff 슬로베니아어}}}]]^^[br]블라셰 솀바 || || 출생 ||[[1856년]] [[1월 2일]][br][[파일:오스트리아 제국 국기.svg|height=15]] [[오스트리아 제국]][br]{{{-2 [[파일:케른텐 공국 국기.svg|height=12]] [[케른텐 공국]] [[클라겐푸르트]]}}} || || 사망 ||[[1920년]] [[11월 21일]](향년 64세)[br][[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height=15]] [[오스트리아 제1공화국|오스트리아 공화국]][br]{{{-2 [[클라겐푸르트]]}}} || || 복무 ||[[파일: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국기.svg|width=23]]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군]][br]{{{-2 (1874년 ~ 1915년)}}} || || 최종 계급 ||제국 [[파일: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육군 병과대장 계급장.svg|width=35px]] [[육군]] [[병과대장|보병대장]][br]{{{-2 (General der Infanterie)}}} || || 주요 참전 ||[[제1차 세계 대전]][br][[동부 전선]] || [목차] [clearfix] == 개요 == '''블라시우스 폰 셰무아'''는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군인]]이다. == 생애 == [[슬로베니아]] 출신의 [[오스트리아 제국]] 장교의 [[차남]]으로 태어났다. 그 후 [[테레지아 육군사관학교]]를 졸업한 셰무아는 [[1891년]]까지 군사 정보국에서 복무하다가 장군참모부로 소속을 옮긴다. 그 후 [[중장]]까지 진급한 블라시우스 폰 셰무아는 [[프란츠 콘라트 폰 회첸도르프]] 장군참모장이 [[프란츠 페르디난트|프란츠 페르디난트 대공]]과 갈등을 일으키다 결국 해임되자 [[1911년]] [[12월 3일]], 후임 장군참모장으로 임명되었다. 장군참모장에 있는 동안 군대의 확장을 강화했고 [[헬무트 요하네스 루트비히 폰 몰트케|소(小) 몰트케]]와의 독일사령부와 협동을 꾀했다. [[1912년]] [[12월 12일]], 콘라트가 장군참모장으로 다시 복귀하면서 제16군단의 사령관이 되었다. [[1913년]] [[11월 4일]]에 셰무아는 [[병과대장|보병대장]]으로 진급했다. [[제1차 세계 대전]]이 터지자, [[모리츠 아우펜베르크 폰 코마로프]]휘하의 제4군소속으로 제2군단에 합류하였고, 코마로프 전투에 참가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눈에 띄는 활약을 보여주지 못한 셰무아는 [[1914년]] [[9월]] 사령관 자리에서 물러나 요한 폰 키르히바흐와 교체되었다. 그휴 향토 방위군의 사령관을 맡았고 [[1915년]] [[3월 23일]] 퇴역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