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4 {{{#000000 '''브리지워터 어소시에이츠'''}}}}}}[br]{{{+1 {{{#000000 '''Bridgewater Associates'''}}}}}} || ||<-2> [[파일:bridgewater.gif|width=50%]] || || {{{#000000 '''국가'''}}} ||[[미국|[[파일:미국 국기.svg|width=28]] 미국]] || || {{{#000000 '''설립일'''}}} ||[[1975년]] || || {{{#000000 '''업종명'''}}} ||[[헤지펀드]] || || {{{#000000 '''창업자'''}}} ||[[레이 달리오]] || || {{{#000000 '''대표자'''}}} ||데이비드 맥코믹 ^^(CEO)^^ || || {{{#000000 '''본사'''}}} ||[[미국]] [[코네티컷 주]] 웨스트포트 || || {{{#000000 '''상장여부'''}}} ||[[비상장기업]][* LP (유한책임투자자)] || || {{{#000000 '''고용인원'''}}} ||1500명 || [목차] [clearfix] == 개요 == [[브리지워터 어소시에이츠]]는 미국의 전설적인 투자자 [[레이 달리오]]가 1975년에 창립한 미국 헤지펀드이다. [[연기금]], [[대기업]], [[재단]], [[정부]]등 거대 기관 투자자들이 주요 고객이며, [[글로벌 매크로]] 전략을 주로 사용한다. 세계에서 가장 규모가 큰 헤지펀드로, 2020년 4월 기준 1380억 달러 (한화 약 160조 원)의 자산을 운용중이다. == 역사 == [[1975년]] 레이 달리오가 [[뉴욕증권거래소]]에서 쌓은 원자재 트레이딩을 바탕으로, [[뉴욕주]]에 위치한 자신의 아파트에서 설립했다. 초기에는 기관 투자자들의 미국의 환율 및 이자율 리스크를 자문사업을 시작했다. 하지만 이후, [[맥도날드]], [[나비스코]]와 같은 미국 대기업들에게 경제적 자문을 제공하는 회사로 초점을 바꾸게 된다. [[1981년]] 회사의 규모가 커지자 [[코네티컷주]] 웨스트포트로 본사를 옮기게 된다. [[1987년]] 세계은행의 오초아 브리엠브루크가 500만 달러를 투자금을 위탁함으로서, 헤지펀드 업계에 뛰어들게 된다. 아후, [[코닥]], [[로에스]]등의 자금을 받고 환율을 기반으로한 헤지펀드를 공시적으로 출범해 운용하기 시작한다. [[2005년]], 세계에서 가장 큰 헤지펀드가 되었다. 레이 달리오가 이끄는 브릿지워터는 [[세계금융위기]]를 무려 1년 전에 예측하고 금융위기에 대응하여 큰 명성을 얻었다. 세계금융위기 당시 전세계 금융회사가 파산하던 중에도 브릿지워터는 2009년, 2010년에 막대한 투자 수익률을 올렸다. 2010년 브릿지워터가 올린 수익은 [[구글]], [[아마존닷컴]], [[이베이]]를 합친 액수보다 크다. == 투자방식 == 브리지워터는 [[레이 달리오]]를 필두로 글로벌 매크로 전략을 사용한다. 글로벌 매크로 전략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하자면 전 세계 경제를 바탕으로, 금리, 채권수익률, 채권가격, 주가지수, 환율, 중앙은행의 통화정책 등등 복합적인 것들이 상호작용을 하면서 일종의 경제 사이클을 형성한다는 이론에서 파생된 전략이다. 즉 달리오는 전세계의 경제는 비슷하게 움직이며, 이 모든 것들은 하나의 신용(부채)주기(Debt Cycle)를 형성한다고 보았다. == 규모 == 세계 최대 규모의 헤지펀드답게 어마어마한 규모를 자랑한다. 2020년 4월 기준 1380억 달러의 자산을 운용중에 있으며, 이는, 세계 2위 헤지펀드인 [[르네상스 테크놀로지스]]보다 280억 달러 (한화 약 32조원) 많다. 창업자 [[레이 달리오]]는 세계적인 부호로, 개인재산은 무려 169억 달러 (한화 약 19조원)으로 [[세계 부자 순위]] 100위권 내에 위치한다. 번외로, 세계에서 가장 많은 연봉을 받은 헤지펀드 TOP 20중에서 브리지워터 출신이 무려 3명이다. [[분류:미국의 기업]][[분류:자산운용사]][[분류:1975년 설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