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브리티시 챔피언스 시리즈 명예의 전당)] ||<-3> '''1972년 영국 올해의 말[br]QIPCO 브리티시 챔피언스 시리즈 명예의 전당 헌액마'''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brigadiergerard.jpg|width=100%]]}}} || ||<-2> 이름 || Brigadier Gerard || ||<-2> 출생 || [[1968년]] [[3월 5일]] || ||<-2> 죽음 || [[1989년]] [[10월 29일]] (21세) || ||<-2> 성별 || 수컷 || ||<-2> 털색 || 갈색 (Bay) || ||<-2> 아비 || 퀸즈 후사르 (Queen's Hussar) || ||<-2> 어미 || 라 파이바 (La Paiva) || ||<-2> 외조부 || 프랭스 슈발리에 (Prince Chevalier) || ||<-2> 생산자 || 존 L. 히슬롭 || ||<-2> 마주 || Mr & Mrs. 존 L. 히슬롭 || ||<-2> 조교사 || 딕 헌 (뉴마켓) || ||<-2> 성적 || 18전 17승 (17-1-0-0) || ||<-2> 총상금 || 253,024.70 파운드 || ||<|4> 주요 우승 || G1 || 2,000 기니 스테이크스 (1971)[br]서식스 스테이크스 (1971)[br]챔피언 스테이크스 (1971, 1972)[br][[이클립스 스테이크스]] (1972)[br][[킹 조지 6세 & 퀸 엘리자베스 스테이크스]] (1972) || || G2 || 세인트제임스 팰리스 스테이크스 (1971)[br]굿우드 마일 스테이크스 (1971)[br]퀸 엘리자베스 2세 스테이크스 (1971, 1972)[br]로킨지 스테이크스 (1972)[br]프린스 오브 웨일스 스테이크스 (1972) || || G3 || 웨스트베리 스테이크스 (1972) || || 그룹제 이전 || 워싱턴 싱어 스테이크스 (1970)[br]미들 파크 스테이크스(1970) || ||<-2> 주요[br]수상 || 영국 올해의 말 (1972) || ||<-2> 타임폼 || 141 (1971), '''144''' (1972) || [목차] [clearfix] == 개요 == 영국의 경주마. 20세기 영국에서 조교된 최고의 경주마로 평가받는 명마. 2021년 신설된 브리티시 챔피언스 시리즈 명예의 전당에 같이 헌액된 동세대의 [[밀 리프]]와의 우열은 영국 올드 경마 팬들의 오랜 논쟁거리다. 경주마명은 [[아서 코난 도일]]이 쓴 소설의 주인공 준장 제라르[* 프랑스인이기 때문에 제라르가 맞지만 영국 식인 제라드로 발음된다.]에서 유래했다. == 혈통 == || 1대 || 2대 || 3대 || ||<|4>퀸즈 후사르[br]{{{-2 Queen's Hussar}}}[br]{{{-2 1960}}}||<|2>마치 패스트[br]{{{-2 March Past}}}[br]{{{-2 1950}}}||페티션[br]{{{-2 Petition}}}|| ||마르실렛[br]{{{-2 Marcelette}}}|| ||<|2>조조[br]{{{-2 Jojo}}}[br]{{{-2 1950}}}||빌모린[br]{{{-2 Vilmorin}}}|| ||페어리 제인[br]{{{-2 Fairy Jane}}}|| ||<|4>라 파이바[br]{{{-2 La Paiva}}}[br]{{{-2 1956}}}||<|2>프랭스 슈발리에[br]{{{-2 Prince Chevalier}}}[br]{{{-2 1943}}} [[프랑스|[[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5px]]]]||프린스 로즈[br]{{{-2 '''Prince Rose'''}}}|| ||슈발레리[br]{{{-2 Chevalerie}}}|| ||<|2>브레이즌 몰리[br]{{{-2 Brazen Molly}}}[br]{{{-2 1940}}}||호루스[br]{{{-2 Horus}}}|| ||어데어[br]{{{-2 Adare}}}|| ||<-3>* 페어 트라이얼(Fair Trial) S4×S4 12.5%[br]* 페어웨이(Fairway) S5×S5×S5 9.375%|| 부마 퀸즈 후사르는 21전 7승, 1963년 서섹스 스테이크스 등 현재의 G1에 해당하는 2개 경주에서 승리했고 종마로서는 큰 인기가 없어 오랫동안 250 파운드의 종부료에 멈춰있었다. 브리거디어 제라드의 활약으로 1972년 영국 & 아일랜드 리딩 사이어에 올랐고 이 후 모계 조상으로서 더 유명한 하이클리어(Highclere,1971)[* 8전 3승, 1974년 1000 기니, 디안상(프랑스 오크스) 우승마. 모계 후손으로는 1989년 영국 클래식 2관마인 내슈완(Nashwan)등 명마들이 있고 일본의 대표 모계 후손으로 [[딥 임팩트(말)|딥 임팩트]]가 있다.]도 배출했다. 모계 5대모는 24전 22승(2착 2회), 1904년 암말 3관, 데뷔 후 15연승 등의 기록을 남긴 명마 프리티 폴리(Pretty Polly)다. 프리티 폴리의 모계 5대 손으로 14전 8승, 1952년 풀 데세 드 풀랭 우승마 게르상[* 1961년 [[샤다이 그룹]]에서 수입해 일본에서 종마로 활동하며 1969년 일본 리딩 사이어에 올랐다. 아일랜드에서 종마로 있던 중에 구입해서인지 영국식 발음인 거샌트(ガーサント)로 등록되었다.](Guersant), 모계 6대 손으로 14전 9승, 1960년 클래식 2관마 세인트 패디(St. Paddy,1957)가 있다. == 생애 == === 데뷔 전, 1970년 2세 === 영국의 경마 잡지 편집장이었던 존 L. 히슬롭은 어렸을 때 조교 조수로 피터 길핀(Peter Gilpin) 밑에서 일했는데 그가 맡은 명마 프리티 폴리에 대해 많은 이야기를 듣고 언젠가 그 후손을 소유하고 싶어했다고 한다. 그렇게 프리티 폴리의 모계 3대 손인 브레이즌 몰리를 500파운드에 구입했고 그 자마인 라 파이바는 미승리마였다. 히슬롭은 라 파이바를 당시 영국 왕실 소유의 목장 에저튼 스터드(Egerton stud)에 예탁했고 근처 목장의 마이너 종마였던 퀸즈 후사르와 교배 시켜 브리거디어 제라드를 얻었다. 브리거디어 제라드는 16.5 핸드(약 167.6cm)의 비교적 큰 체구에 균형잡힌 마체로 성장했고 기성도 좋았다고 전해진다. 조교사 딕 헌[* 위에서 나온 하이클레어, 내슈완도 조교했으며 브리티시 챔피언스 시리즈 명예의 전당에 오른 데이주르(Dayjur) 또한 대표 조교마다.], 주전 기수 조 머서[* 영국 통산 2810승, 주요 기승마 - 브리거디어 제라드, 하이클레어, 크리스(Kris), 르 모스(Le Moss) 등.](Joe Mercer)로 데뷔 전에는 이미 실적이 있는 경주마들이 나와 5마리 중 4번 인기였으나 5마신 차 압승을 거두고 연승을 시작 2세 시즌을 4전 전승으로 마치며 당시 자키 클럽의 프리 핸디캡에서 프랑스의 2세 경주 5승을 포함 7전 전승의 마이 스왈로(133), 마이 스왈로에게 패한 6전 5승의 [[밀 리프]](132)에 이어 131파운드로 3번째 평가를 받았는데 이 해 삼관마 [[니진스키 2|니진스키]]의 2세 프리 핸디캡이 131이니 이 들이 얼마나 높은 평가를 받았는지 알 수 있다. === 1971년 3세 === 1971년 첫 경주는 클래식 초전인 2000 기니스였다. 2세 3강의 위세 덕분에 겨우 6마리가 출주, 밀 리프는 1번 인기를 받았고 마이 스왈로, 브리거디어 제라드가 2, 3번 인기, 니진스키의 전형제 동생 민스키가 4번 인기로 나와 마이 스왈로가 선두로 나서고 바로 뒤를 밀 리프가 따라 붙었다. 3펄롱을 남긴 지점에서 밀 리프가 속도를 내며 마이 스왈로와의 일기토가 시작되는 듯 했다. 그러나 밀 리프에 2 마신 정도 후방에 있던 브리거디어 제라드가 기수 조 머서의 신호에 단숨에 가속해 안쪽으로 달려 밀 리프에 3마신 차 승리를 거두었다. 밀 리프와 마이 스왈로의 기수들이 모두 완패를 인정할 정도로 압도적인 승리였다. 부마와 조부마 모두 마일 이내의 경주에서 활약했기 때문에 브리거디어 제라드는 더비에 나가지 않고 마일 노선을 선택, 중마장인 경기에서는 약간의 차이로 이겼지만 굿우드 마일에서는 10마신, 퀸 엘리자베스 에서는 [[딕터스]]에 8마신 차 압승으로 연승을 이어갔고 3세 마지막 경주 챔피언 스테이크스는 지금까지 가장 긴 거리인 10펄롱에 중마장으로 고전했지만 머리 차로 승리하며 3세 시즌을 5전 전승으로 마쳤다. 그 해 [[킹 조지 6세 & 퀸 엘리자베스 스테이크스]]와 [[개선문상]]에서 승리하며 6전 5승을 거둔 밀 리프와 함께 타임폼 141파운드의 평가를 받았다. === 1972년 4세 === 1972년에도 연승을 이어갔고 특히 10펄롱으로 거리를 늘려 결착을 바란 밀 리프와 이클립스 스테이크스에서 맞붙을 것으로 예상되었다. 그러나 밀 리프는 말 인플루엔자에 걸렸었고 대회 준비 중 다시 발열을 일으켜 결국 대결은 성사되지 못한 가운데 브리거디어 제라드는 역시 약한 중마장에서 고전했지만 승리한다. 이어진 [[킹 조지 6세 & 퀸 엘리자베스 스테이크스]]는 커리어 최장 거리인 12 펄롱의 도전으로 작년 세인트 레저 스테이크스 우승마인 동기 파널(Parnel), 리버맨[* 미국산, 프랑스의 경주마. 8전 5승, 1972년 풀 데세 드 풀랭상(프랑스 2000 기니), 이스파앙상으로 G1 2승. 종마로서 1980, 81년 프랑스 리딩 사이어에 올랐으며 [[나리타 타이신]]의 조부마다.](Riverman)을 2, 3착으로 내리며 승리, 여기까지 15연승을 내달리며 [[리보(말)|리보]]의 기록 16연승에 다가갔다. 16연승이 걸린 경기는 벤슨 앤 허지스 골드컵(Benson and Hedges Gold Cup, 현 인터내셔널 스테이크스)이었고 주요 상대는 그해 엡섬 더비마 [[로베르토(말)|로베르토]]와 더비 2착의 라인골드[* 영국의 경주마. 17전 9승, 1973년 개선문상 등 G1 3승.](Rheingold)였다. 로베르토는 전 경주인 아이리시 더비에서 12착으로 부진했으나 이 경주에서 로베르토의 마주이자 당시 [[피츠버그 파이어리츠]] 구단주였던 존 갤브리스(John Galbreath)는 특별히 미국의 대표 기수 브라울리오 배자[* 파나마 출신의 미국 기수로 통산 4,013승, 1976년 미국 경마 명예의 전당에 헌액 되었다. 주요 기승마 - 벅패서(Buckpasser), 그로스타크(Graustark), 닥터 페이거(Dr. Fager), [[액 액(말)|액 액]], 샤토게이(Chateaugay), 아츠 앤드 레터스(Arts and Letters), 풀리시 플레저(Foolish Pleasure) 등.]를 불렀는데 여기에는 도주 운영에 강점을 가진 미국 기수를 기용해 승부 수를 띄운 것이었다. 그때까지 주로 후방 대기였던 로베르토는 배자 기수와 함께 하이페이스로 도주, 브리거디어 제라드는 평소 페이스를 유지하며 쫓았지만 거리는 어느 이상 좁혀지지 않고 머서 기수가 결국 포기하는 단계에 이르렀다. 로베르토는 레코드를 세우며 3마신 차 역사적인 승리를 이루었고 브리거디어 제라드는 3착 라인골드와는 10마신 차 2착을 기록했다. 연승 행진으로 더 브리거디어(The Brigadier)라고 불리며 영국 최고 인기 경주마였던 브리거디어 제라드의 패배로 영국 경마 팬들에게 로베르토는 악역 취급받았다. 이 경기 2주 후에는 [[밀 리프]]가 조교 중 심각한 부상을 일으켜 결국 은퇴하게 되어 둘의 대결을 기다리던 영국 팬들을 낙담시켰다. 이 후 작년과 같은 일정으로 나온 퀸 엘리자베스 2세 스테이크스와 챔피언 스테이크스에서 2연패에 성공하며 커리어를 마쳤다. 이 해 타임폼에서 당시 145으로 1위 였던 시 버드[* 프랑스의 경주마. 8전 7승 (2착 1회), 1965년 더비 스테이크스, [[개선문상]] 등 현 G1급 5승.](Sea-Bird,1962)에 1파운드 차이로, 튜더 민스트럴[* 영국의 경주마. 10전 8승 (2착 1회), 1947년 2000 기니스 등 현 G1급 3승.](Tudor Minstrel,1944)과 공동 2위인 144파운드를 받았다. 그 해 레이스고어스 클럽(Racegoers' Club)이 실시한 1972년 영국 올해의 말(British Horse of the Year) 투표에서 최초의 40표 만장일치로 선정되었다. == 종마 활동 == 태어난 곳인 뉴마켓의 에저튼 스터드에서 종마로 활동하며 G1 우승마 둘을 배출하기는 했지만 기대에는 못 미쳤다. 브리거디어 제라드는 1989년에 죽었고 뉴마켓의 스윈포드 패덕스(Swynford Paddocks) 정원에 안치되었다. == 경주 성적 == {{{#!wiki style="word-break:keep-all;" || 경주일 || 경마장 || {{{#!wiki style="min-width: 130px" 경기명}}} || 등급 || {{{#!wiki style="min-width: 80px" 트랙}}} || 인기 || 착순 || 기수 || 1착마[br](2착마) || ||<-9> 1970년 {{{-1 (2세)}}} || || 6.24 || 뉴베리 || 버크셔 스테이크스 || || 잔디 5f || 4 || '''1착''' ||<|4> 조 머서 || (메이지 도츠) || || 7.2 || 솔즈베리 || 샴페인 스테이크스 || || 잔디 6f || 1 || '''1착''' || (개스턴 어게인) || || 8.15 || 뉴베리 || 워싱턴 싱어 스테이크스 || || 잔디 6f || 1 || '''1착''' || (코미디 스타) || || 10.1 || 뉴마켓 || 미들 파크 스테이크스 || || 잔디 6f || 3 || '''1착''' || (머미스 펫) || ||<-9> 1971년 {{{-1 (3세)}}} || || 5.1 || 뉴마켓 || '''2,000 기니 스테이크스''' || '''G1''' || 잔디 1m || 3 || '''1착''' ||<|6> 조 머서 || ([[밀 리프]]) || || 6.15 || 애스컷 || 세인트제임스 팰리스 스테이크스 || G2 || 잔디 8f || 1 || '''1착''' || (스파클러) || || 7.28 || 굿우드 || '''서식스 스테이크스''' || '''G1''' || 잔디 1m || 1 || '''1착''' || (파어웨이 선) || || 8.28 || 굿우드 || 굿우드 마일 스테이크스 || G2 || 잔디 1m || 1 || '''1착''' || (골드 로드) || || 9.25 || 애스컷 || 퀸 엘리자베스 2세 스테이크스 || G2 || 잔디 1m || 1 || '''1착''' || ([[딕터스]]) || || 10.16 || 뉴마켓 || '''[[챔피언 스테이크스]]''' || '''G1''' || 잔디 1m 2f || 1 || '''1착''' || (레어러티) || ||<-9> 1972년 {{{-1 (4세)}}} || || 5.20 || 뉴베리 || 로킨지 스테이크스 || G2 || 잔디 1m || 1 || '''1착''' ||<|8> 조 머서 || (그레이 미라지) || || 5.29 || 샌다운 || 웨스트베리 스테이크스 || G3 || 잔디 1m 2f || 1 || '''1착''' || (밸리핫) || || 6.20 || 애스컷 || 프린스 오브 웨일스 스테이크스 || G2 || 잔디 1m 2f || 1 || '''1착'''[br][*레코드] || (스파클러) || || 7.8 || 샌다운 || '''[[이클립스 스테이크스]]''' || '''G1''' || 잔디 1m 2f || 1 || '''1착''' || (골드 로드) || || 7.22 || 애스컷 || '''[[킹 조지 6세 & 퀸 엘리자베스 스테이크스]]''' || '''G1''' || 잔디 12f || 1 || '''1착''' || (파널) || || 8.15 || 요크 || [[인터내셔널 스테이크스|벤슨 앤드 헤지스 골드컵]] || '''G1''' || 잔디 10f 110y || 1 || {{{#blue 2착}}} || [[로베르토(말)|로베르토]] || || 9.23 || 애스컷 || 퀸 엘리자베스 2세 스테이크스 || G2 || 잔디 1m || 1 || '''1착'''[br][*레코드] || (스파클러) || || 10.14 || 뉴마켓 || '''챔피언 스테이크스''' || '''G1''' || 잔디 1m 2f || 1 || '''1착''' || (리버맨) ||}}} [include(틀:2000 기니 스테이크스,grade=G1)] [include(틀:이클립스 스테이크스,grade=G1)] [include(틀:킹 조지 6세 & 퀸 엘리자베스 스테이크스,grade=G1)] [include(틀:챔피언 스테이크스,grade=G1)] ---- [include(틀:퀸 엘리자베스 2세 스테이크스,grade=G2)] [include(틀:프린스 오브 웨일스 스테이크스,grade=G2)] [[분류:경주마/영국 생산]][[분류:경주마/영국 조교]][[분류:종마/영국]][[분류:1968년 출생/경주마]][[분류:팔라리스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