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동명의 2022년 개봉 한국 영화, rd1=브로커(영화))] [목차] == 개요 == {{{+1 broker, [[仲]][[介]][[人]]}}}[* 중개인.] 도매상처럼 소비자와 판매자 간의 거래를 중개하는 중간 상인이다. 그러나 이들은 '''상품을 직접 제공하거나 구매하지 않는다.''' 일반적인 중개상은 판매자에게서 상품을 구매하여 소비자에게 판매한다. 반면 브로커는 [[유통]] 과정에서 구매자, 판매자 사이에서 서로에 대한 '''[[정보]]만 판매한다.''' 한편 대리점과의 차이점도 들 수 있는데 대리점은 구매자 혹은 판매자 중 한 쪽을 대표하는 입장이지만 브로커는 구매자와 판매자 간의 거래를 중개하는 매개인이다. == 한국에서의 부정적 뉘앙스 == 한국에서는 [[범죄 조직]]과 수요자를 중개해주고 [[수수료]]를 챙기는 사람이라는 의미로 쓰이고 있다. 예를 들어 병역 브로커, [[승부조작]] 브로커, 장기 밀매 브로커, 금융 브로커 등등이 있다. 북한에는 아예 [[탈북]]을 시켜주는 브로커가 있다. 이는 대한민국 언론이나 수사기관에서 이런 범죄를 저지르는 중개인을 굳이 '브로커'라고 부르고 있기 때문이다. [[뇌물죄]], [[알선수재죄]], [[변호사법]] 제111조 위반죄에서 자주 사용된다. 반면 앞서 말한 합법적인 중개인은 [[상법]]상에 중개상이라는 용어가 있다. 좀 속되게는 [[일본어 잔재론]]에서 파생된 '나까마'(仲間)라고도 한다.(원래는 직역하면 [[동료]]라는 뜻이다) [[합법적 병역 브로커]]라는 신조어도 있는데, 일반적인 병역 브로커가 불법으로 [[병역비리]]를 알선하는 사람이라는 점에서 착안하여 병역 면제 혜택이 걸린 국제경기(주로 올림픽)에서 뛰어난 활약을 펼쳐 동료들의 병역 면제에 큰 공로를 세운 선수를 지칭하는 의미로도 쓰인다. 대표적으로 [[이승엽]]이 있다. 이러한 불법적인 일을 해결하는 해결사를 영어로는 [[픽서]]라고 부르기도 한다. 본래 브로커에 해당하는 한국어인 [[거간꾼]]이라는 단어가 있었으나 부정적 뉘앙스가 너무 강해 현재는 정치계에서 거의 멸칭으로만 쓰이고 있다. == 세부 업종 == '''특정 상품을 원하지만 판매자를 모르는 구매자, 특정 상품을 제공할 수 있지만 구매자 정보를 모르는 판매자, 이 두 사람만 존재한다면 어떤 업종이든 브로커가 존재한다.''' * 인력 파견, 인력 소개 * [[헤드헌터]] * [[인력사무소]] * 스포츠팀에도 브로커가 존재하는데 자기네 팀이 평가전을 치를 때 어떤 팀과 평가전을 치를지를 결정하고 그 팀의 브로커를 만나서 상호 경기 시간을 조율하는 역할을 한다. * [[결혼정보회사]] * [[링크드인]] * [[전문직]] 브로커 * 의사들과 환자들을 연결해주는 브로커들도 있다.[[https://www.pressian.com/pages/articles/121066|#]] * 변호사에게 사건을 수임해주거나 아예 자신이 사건을 영업해서 떼어다가 변호사들에게 던져주고 이득을 챙기는 법조 브로커들도 있다.[[https://m.lawtimes.co.kr/Content/Article?serial=93717|#]] 법률시장의 30~40%가 브로커 통해 사건 수임이 이루어진다고 보고되는데, [[변호사]]들에게서 조사된 통계다. * [[관세사]] Customs broker * [[금융]] 상품 중개사 * [[주식]] 중개인 (stock broker) * [[부동산]] 중개인 (real estate broker) * 중고 상품 중개사 * [[중고차]] 딜러 * [[중고나라]] * [[당근(플랫폼)|당근]] == 북한에서의 브로커 == [include(틀:관련 문서, top1=대북송금)] 북한에서 브로커는 주로 [[대북송금]]과 [[탈북]]을 전문적으로 중개하는 브로커이다. [[북중국경]] 지형을 잘 알고 [[한국어]]가 가능한 [[조선족]]들이 주로 브로커로 활동한다. 북한 선교를 위해 중국 내 기독교 목사들이 탈북 브로커로 활동하기도 하며, 대표적으로 [[갈렙선교회]]가 있다. 보통 탈북민을 북한에서 [[중국]]으로 넘겨주는 도강 브로커[* 북한 사람으로 보통 밀수꾼도 겸한다.], 중국에서 중국-[[동남아시아]] 국경지역으로 데려가주는 브로커, 동남아시아에서 [[태국]]까지 데려다 주는 브로커로 분업하는 것이 일반적인 절차이다. 먼저 탈북해 한국에 정착한 가족이 돈을 지불하고 제대로된 브로커와 연결시켜준다면 탈북 후 몇주 안에 태국 난민수용소에 도착하여 한국행 비행기를 탈 수 있지만, 아무런 준비 없이 무작정 강을 넘어 중국으로 들어온 북한 여성들은 중국인에게 발견되면 신고를 받고 북송되거나 [[인신매매]]로 중국 노총각에게 팔리는 경우가 대다수다. 남성의 경우는 매매혼으로 팔릴 수조차 없기 때문에 북송 당할 위험이 더 크다. 탈북 브로커비는 2000년대 후반 ~ 2019년까지는 1인당 대략 300~400만 원 수준이었지만, 2020년 이후로 중국의 감시와 단속이 강해지면서 2,000만 원으로 급상승하였고 코로나 봉쇄 이후로는 '''1억 원'''을 요구하는 사례도 생겼다. 코로나 봉쇄 이후로 북한과 중국 모두 국경의 철조망을 증축하고 경비를 강화했기 때문에 [[북중국경]]을 통한 탈북은 사실상 불가능해졌다. 송금 브로커는 한국에 정착한 [[북한이탈주민]]들이 북한에 남아있는 가족들에게 [[대북송금|돈을 송금]]하는 것을 중개한다. 이들은 중국 전화기를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송금이 아니더라도 한국과 연락을 주고 받을 수 있는 전화 브로커의 역할도 겸한다. 보통 [[북중국경]] 부근에는 중국 통신사의 전파가 닿기 때문에 중국인 명의로 개설된 [[대포폰]]를 밀수해 사용하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북중국경 부근에 한해서는 국제전화를 통해 한국과 북한 사이에서도 실시간 통화가 가능하다. 북한 내륙일지라도 북한의 가족이 북한 휴대폰을 가지고 있다면, 브로커가 중국 휴대폰(한국-브로커)과 북한 휴대폰(브로커-북한 가족)을 가까이 둬서 휴대폰끼리 대화하는 방법으로 한국과 실시간 통화가 가능하다. 다만 이 경우 북한 내 통화는 실시간 도청이 될 수 있기 때문에 대화에 조심해야 한다. 북중국경 지역일지라도 전화는 아무도 없는 야산으로 올라가서 해야 한다. 거주지 근처는 [[보위부]]가 상시 전파 감지 장비를 켜놓고 감시와 도청을 하기 때문이다. 북한측 브로커는 현금[* 주로 위안화]을 받아 북한 가족에게 전달하는데, 만약 북한 가족이 내륙에 살고 있으면 직접 찾아가 가족들을 국경 쪽으로 데려와야 한다. 문제는 [[보위부]]가 탈북민 가족의 일거수일투족을 감시하고 있으며, 브로커가 찾아온다는 걸 역이용해 탈북민 가족에게 함정수사를 한다는 점이다. 이를 잘 아는 북한 가족들은 진짜 브로커가 왔어도 보위부 스파이로 의심해 문전박대하기 일쑤이며 브로커는 의심을 해소하기 위해 사전에 탈북민에게 알아둔 가족들만 아는 비밀을 대기도 한다. 이렇게 감시를 피해 가족을 [[북중국경]] 쪽으로 데려오면 전화 통화를 시키고 사진을 찍어 돈이 잘 전달되었음을 인증한다. 북한에서의 브로커 활동은 거의 목숨을 내놓고 하는 것과 다름이 없다. 북한 정권이 인신매매범[* 실제로 북한 여성을 일자리 알선을 미끼로 속여 중국 남성들에게 팔아먹는 사례도 빈번하다.]이나 남조선과 내통한 간첩 혐의를 씌워 [[정치범수용소/북한|정치범수용소]]행이나 사형당할 확률이 높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하는 이유는 당연히 '''돈'''. 보통 브로커가 챙기는 송금 수수료가 30%이고 코로나 봉쇄 이후로 북한 정권의 감시와 통제가 심해져 위험 부담 때문에 수수료가 50%에 달하게 되었다. 한번 송금할 때마다 수십~수백만 원씩 벌 수 있으니 북한에서는 엄청나게 큰 돈이기 때문이다. 2010년대 중반 이후 중국에서도 [[스마트폰]]이 상용화되고 카메라 성능도 좋아짐에 따라 [[위챗]]이 주로 사용된다. 위챗을 통해 영상통화도 가능해졌고 한국에 있는 탈북민들에게 가족의 사진과 편지, 동영상도 전송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대용량 파일 전송도 가능해져서 북한 내부 문서가 사진으로 유출되어 대북소식통으로 이용되기도 하고 [[https://www.dailynk.com/%EC%9C%84%EC%B1%97-%EC%84%A4%EC%B9%98-%E5%8C%97%EC%A3%BC%EB%AF%BC-%EC%99%B8%EB%B6%80%EC%99%80-%ED%86%B5%ED%99%94%ED%95%98%EA%B3%A0-%EC%98%81%EC%83%81%EB%B3%BC-%EB%95%8C-%EC%9C%A0%EC%9A%A9/|한국 드라마와 영화가 유입되는 경로로도 이용되고 있다.]] [[https://www.dailynk.com/%EC%9C%84%EC%B1%97-%ED%86%B5%ED%95%B4-%EC%9E%90%EC%97%B0%EC%8A%A4%EB%9F%BD%EA%B2%8C-%EB%8C%80%ED%99%94-%E5%8C%97-%EB%B3%B4%EC%9C%84%EB%B6%80-%EC%88%98%EB%B2%95%EC%97%90-%E5%8D%97%ED%83%88%EB%B6%81/|물론 보위부도 손놓고 가만히 있는 건 아니다.]][[https://www.dailynk.com/20230802-1/|#]] 2020년 코로나 사태 이후로, [[북중국경]] 지역에서 대대적인 봉쇄와 함께 [[보위부]]가 집중 단속을 벌여 브로커의 90%가 사라졌다고 한다. 브로커 수가 급감하고 처벌 수위가 강해져 40~50%로 급등한 송금 수수료가 2023년에도 내려갈 기미가 보이지 않는다고 한다.[[https://www.rfa.org/korean/news_indepth/nktransfermoney-11232023094056.html|#]] == 관련 문서 == * [[되팔기]] [[분류:영어 단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