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로스터)] ---- ||
'''{{{#FFFFFF 브랜든 드루리의 수상 경력 /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5> [[내셔널 리그|[[파일:MLB 내셔널 리그 로고.svg|width=20]]]] '''{{{#ffffff 2022년 메이저 리그 내셔널 리그 유틸리티 부문 실버 슬러거}}}''' || || 2022년 첫 수상 || → || '''브랜든 드루리[br]([[신시내티 레즈]] / [[샌디에이고 파드리스]])''' || → || [[코디 벨린저]][br]([[시카고 컵스]]) || ---- ||<-5> '''{{{#E3D4AD [[애리조나 다이아몬드백스|{{{#E3D4AD 애리조나 다이아몬드백스}}}]] 등번호 62번}}}''' || || 브렛 잭슨[br](2014) || {{{+1 →}}} || '''브랜든 드루리[br](2015)''' || {{{+1 →}}} || 잭 커티스[br](2016) || ||<-5> '''{{{#E3D4AD [[애리조나 다이아몬드백스|{{{#E3D4AD 애리조나 다이아몬드백스}}}]] 등번호 27번}}}''' || || [[앨런 웹스터]][br](2015) || {{{+1 →}}} || '''브랜든 드루리[br](2016~2017)''' || {{{+1 →}}} || [[와이엇 매티슨]][br](2020~2021) || ||<-5> '''{{{#ffffff [[뉴욕 양키스|{{{#ffffff 뉴욕 양키스}}}]] 등번호 29번}}}''' || || [[토드 프레이저]][br](2017) || {{{+1 →}}} || '''{{{#132448 브랜든 드루리[br](2018)}}}''' || {{{+1 →}}} || [[아데이니 에차바리아]][br](2018) || ||<-5> '''{{{#ffffff [[토론토 블루제이스|{{{#ffffff 토론토 블루제이스}}}]] 등번호 10번}}}''' || || [[이안 팜리]][br](2017) || {{{+1 →}}} || '''브랜든 드루리[br](2018)''' || {{{+1 →}}} || [[리즈 맥과이어]][br](2019~2020) || ||<-5> '''{{{#ffffff [[토론토 블루제이스|{{{#ffffff 토론토 블루제이스}}}]] 등번호 3번}}}''' || || [[지오 어셸라]][br](2018) || {{{+1 →}}} || '''브랜든 드루리[br](2019~2020)''' || {{{+1 →}}} || [[조나단 데이비스]][br](2021) || ||<-5> '''{{{#ffffff [[뉴욕 메츠|{{{#ffffff 뉴욕 메츠}}}]] 등번호 35번}}}''' || || [[트레버 힐덴버거]][br](2021) || {{{+1 →}}} || '''브랜든 드루리[br](2021)''' || {{{+1 →}}} || [[콜린 홀더맨]][br](2022) || ||<-5> '''{{{#FFFFFF [[신시내티 레즈|{{{#FFFFFF 신시내티 레즈}}}]] 등번호 22번}}}''' || || [[웨이드 마일리]][br](2020~2021) || {{{+1 →}}} || '''브랜든 드루리[br](2022)''' || {{{+1 →}}} || [[루크 메일리]][br](2023~) || ||<-5> '''{{{#fff [[샌디에이고 파드리스|{{{#fff 샌디에이고 파드리스}}}]] 등번호 17번}}}''' || || [[테일러 로저스]][br](2022) || {{{+1 →}}} || '''{{{#2f241d 브랜든 드루리[br](2022)}}}''' || {{{+1 →}}} || [[매튜 배튼]][br](2023~) || ||<-5> '''{{{#FFFFFF [[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FFFFFF 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 등번호 23번}}}''' || || [[아치 브래들리]][br](2022) || {{{+1 →}}} || '''브랜든 드루리[br](2023~)''' || {{{+1 →}}} || 현역 ||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에인절스드루리.jpg|width=100%]]}}} || ||<-2> '''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 No.23''' || ||<-2> '''{{{+2 브랜든 드루리}}}[br]Brandon Drury''' || || '''본명''' ||브랜든 셰인 드루리[br]Brandon Shane Drury || ||<|2> '''출생''' ||[[1992년]] [[8월 21일]] ([age(1992-08-21)]세) || ||[[오리건|오리건 주]] 그랜츠 패스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 || '''학력''' ||그랜츠 패스 고등학교 || || '''신체''' ||188cm, 104kg || || '''포지션''' ||[[유틸리티 플레이어(야구)|유틸리티 플레이어]][* 투수와 포수, 유격수와 중견수를 뺀 전 포지션의 소화가 가능한 유틸리티 플레이어다.] || || '''투타''' ||[[우투우타]] || || '''프로입단''' ||2010년 드래프트 13라운드 (전체 404번, [[애틀랜타 브레이브스|ATL]]) || || '''소속팀''' ||[[애리조나 다이아몬드백스]] (2015~2017) [br][[뉴욕 양키스]] (2018) [br][[토론토 블루제이스]] (2018~2020) [br][[뉴욕 메츠]] (2021) [br]'''[[신시내티 레즈]] (2022)''' [br][[샌디에이고 파드리스]] (2022)[br][[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 (2023~) || || '''계약''' ||2023 - 2024 / $17,000,000 || || '''연봉''' ||2024 / $8,500,000 || [목차] [clearfix] == 개요 == [[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 소속 내·외야 유틸리티 선수. == 선수 경력 == === 마이너리그 시절 === [[오리건 주]] 그랜트 패스의 그랜트 패스 고등학교를 나온 드루리는 2010년 [[애틀랜타 브레이브스]]에 지명된다. 그러나 2010년 루키리그에서 .198의 낮은 성적을 남겼다. 2011년 싱글 A로 승격되고선 타율 .347 출루율 .367 장타율 .525 8홈런의 성적을 기록하며 그야말로 싱글 A를 폭격해버렸다. 2012년 클래스 A에서는 다시 2할대의 타율을 기록하며 부진한 모습을 보였다. 결국 애틀랜타 브레이브스가 [[저스틴 업튼]]과 [[크리스 존슨(1984년 6월)|크리스 존슨]]을 [[애리조나 다이아몬드백스]]로부터 트레이드 영입할 당시 그 대가로 [[닉 아메드]], [[마틴 프라도]], 랜달 델가도와 함께 디벡스에 넘어가면서 팀을 옮기게 됐다. 트레이드 이후 디백스 산하에서도 클래스 A에서 활동했는데, 브레이브스 시절과 달리 다시 .302 .362 .500으로 타격 성적을 싱글 A 당시 수준으로 끌어올렸고, 그 다음 해에는 더블 A 무대에서 20홈런을 기록하며 타격에 눈을 떴음을 보여줬다. 2015년에는 트리플 A로 승격됐는데, AAA에서도 타격에 강점을 보이는 모습을 보였고, 마침내 메이저리그에 승격됐다. === [[애리조나 다이아몬드백스]] ===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brandon_drury_dbacks.jpg|width=100%]]}}} || 2015 시즌 후반에 메이저리그 무대에 올라 20경기 동안 타율 0.214, OPS .629, 2홈런 8타점의 성적을 남겼다. 마이너리그 무대에서 준수했던 타격 성적을 보여줬던 것과 달리 낮은 성적을 기록하며 마이너리그와 메이저리그 무대의 차이를 여실히 보여줬다. 그러나 이듬해인 2016년에는 여러 포지션을 넘나들면서 134경기 동안 활약했고, 타율 .282, OPS .786, 16홈런 53타점의 성적을 기록해 전년도보다 타격에 물이 올랐음을 보였다. 2017년부터는 포지션이 주전 2루수로 고정됐지만, 타율 .267, OPS .764, 13홈런 63타점으로 타점 수는 올랐지만 나머지 부문에서는 작년에 비해 못 미치는 성적을 남겼다. 다만 포지션이 고정된 덕인지 수비 실력은 성장했다는 평을 들으며 2년차 선수들이 흔히 겪는 [[소포모어 징크스]]를 거뜬히 피한 모습을 보였다. 다만 포스트시즌에서 .167의 타율을 기록하며 아쉬운 모습을 보였다. === [[뉴욕 양키스]] ===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drury.jpg|width=100%]]}}} || 2018 시즌 시작을 앞두고 [[뉴욕 양키스]] - [[탬파베이 레이스]] - [[애리조나 다이아몬드백스]] 간의 삼각 트레이드를 통해 양키스로 이적했다. 트레이드의 대가로 디백스는 [[스티븐 수자 주니어]]를 탬파베이로부터 받았다. 양키스에서는 [[스탈린 카스트로]]가 [[지안카를로 스탠튼]] 트레이드의 메인 칩으로 묶여 [[마이애미 말린스]]로 떠난 가운데 무주공산이 된 2루수 자리와 [[토드 프레이저]]가 [[뉴욕 메츠]]로 떠난 3루수 자리를 두고 경쟁할 모양이다. 그러나 양키스 시절은 문자 그대로 '''완벽히 망했다'''. [[미구엘 안두하]]와 [[글레이버 토레스]] 등에 밀린 모습을 보이며 단 18경기밖에 출전하지 못했고, 결국 타격 성적도 타율 .176, OPS .538, 1홈런 7타점을 기록하며 전년도와 비교했을 때 급락한 모습을 보였다. 결국 양키스와 [[토론토 블루제이스]]와의 [[J.A. 햅]] 트레이드에서 [[빌리 맥키니]][* 참고로 맥키니는 그가 겪은 총 3번의 트레이드에서 모두 굵직한 선수들과 엮였는데, 2014년 [[시카고 컵스]]와 [[오클랜드 애슬레틱스]] 간의 트레이드에서는 '''[[제프 사마자]]'''와 '''제이슨 하멜'''의 대가로 컵스로 넘어간 뒤, 다시 컵스와 [[뉴욕 양키스]] 간의 트레이드에서는 '''[[아롤디스 채프먼]]'''의 대가로 양키스에 넘어갔고, 이번 양키스와 토론토 간의 트레이드에서는 '''[[J.A. 햅]]'''의 대가로 블루제이스로 이적했다.]와 함께 토론토로 이적하게 됐다. === [[토론토 블루제이스]] ===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brandon_drury_bluejays.jpg|width=100%]]}}} || 두 번째 트레이드로 이적한 블루제이스에서도 이전보다 나아지지 못한 모습을 보였고, 심지어 왼손 부상까지 겪으면서 결국 8경기밖에 출전하지 못했다. 결국 토론토에서의 첫 시즌은 타율 .154, OPS .472, 3타점밖에 기록하지 못했고, 최종적으로 타율 .169, OPS .516, 1홈런 10타점의 성적을 남기며 메이저리그 데뷔 이후 최악의 한 해를 보냈다. 2019 시즌을 앞두고 토론토의 최고 유망주인 [[블라디미르 게레로 주니어]]를 제치고 일단 주전 3루수로 낙점됐다. 그러나 문제는 로스 앳킨스 단장이 이를 밝히며 게레로는 아직 MLB 수준이 아니라고 말한 탓에, 지난해 완전히 망했던 드루리와 마이너리그를 문자 그대로 폭격하고 있던 게레로의 성적이 비교되면서 [[시카고 컵스]]가 [[크리스 브라이언트]]에게 그랬던 것처럼 이은 또 다른 최고 유망주의 서비스 타임을 조절하려는 토론토 구단의 꼼수가 아니냐는 비판이 잇따랐다. 다만 토론토에서의 두 번째 시즌도 시원치 않은 모습을 보이고 있다. 4월 29일까지 25경기에 출전하며 타율 .219, OPS .681, 4홈런 8타점을 기록하며 여전히 부진에서 헤어나오질 못 하는 모습이다. 결국 [[블라디미르 게레로 주니어]]가 콜업되며 주전 3루수 자리마저 뺏겨 주전 2루수로 이동했다. 그러다 5월 25일자로 [[캐번 비지오]]가 콜업되며 다시 그에게 2루수 자리를 내줬고 그는 [[조나단 데이비스]], [[랜달 그리칙]]만이 남은 외야진에 합류했다[* 달튼 폼페이는 60일 부상자 명단에 등재돼있고, [[테오스카 에르난데스]], [[빌리 맥키니]], [[앤서니 알포드]] 세 명은 모두 AAA로 내려가 있었다. 이후 조나단 데이비스가 AAA로 내려간 대신 테오스카 에르난데스가 다시 합류했으나, 여전히 전업 외야수는 25인 로스터에 단 두 명만 있는 상황이었다가, [[루어데스 구리엘 주니어]]를 외야수로 이동시켰다.]. === [[뉴욕 메츠]] ===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메츠드루리.jpg|width=100%]]}}} || [[뉴욕 메츠]]와 마이너 계약을 맺었다. 5월 21일에 메이저 로스터에 합류했다. 10월 2일에 지명할당되었다. === [[신시내티 레즈]] ===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레즈드루리.jpg|width=100%]]}}} || 2022년 3월 신시내티와 마이너 계약을 맺고 개막 로스터에 합류했다. 개막전 애틀랜타를 상대로 3점 홈런을 때리는 등 좋은 출발을 하더니, 타격 포텐이 터진 모습을 보여주면서 커리어 하이를 새로 써내려가고 있다. 8월 1일까지 92경기 .274/.335/.520 20홈런 59타점 OPS+ 128로 신시내티의 주전 3루수이자 타선의 주축으로 활약중. === [[샌디에이고 파드리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샌디드루리.jpg|width=100%]]}}} || 2022년 8월 2일, 마이너 리그 유망주 빅터 아코스타를 내주는 조건에 [[샌디에이고 파드리스]]로 트레이드되었다. 8월 3일 [[콜로라도 로키스]]전에서 파드리스 데뷔전을 가졌고, 첫 타석부터 만루홈런을 쏘아 올리며 존재감을 과시했다. 8월 5일 원정 다저스전에 3루수로 선발 출전했으나 ⅓이닝만에 송구 실책, 실책으로 기록되지 않은 포구실책을 기록하며 4점을 내주는 빌미를 제공했다. === [[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에인절스공식합성드루리.jpg|width=100%]]}}} || 2022년 12월 20일, 에인절스와 2년 1,700만 달러의 계약을 맺었다. 시즌의 절반을 선발 2루수로 출전하며 작년에 버금가는 공격력을 기록하며 에인절스의 몇 안되는 알짜 영입이 되었다. == 플레이 스타일 == 먼저 타자로서의 드루리를 정리하면 최상급의 컨택 툴, 중상급의 파워 툴, 최하급의 선구안과 주루 툴로 요약할 수 있다. 타격은 컨택을 통해 2할 후반대의 타율을 기록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며, 홈런도 15~20개 정도는 쳐줄 것으로 기대할 수 있을 정도로 파워도 충분하다. 그러나 가장 큰 약점은 바로 주루로, 발의 빠르기는 어느 정도 되지만 정작 주루 센스가 매우 좋지 않은 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가 여러 팀을 옮겨 다니면서도 중용받을 수 있던 이유는 유틸리티 포지션이 가능하다는 점과 해당 포지션들에서 평균 이상의 수비를 해준다는 점이다. == 수상 내역 == * [[내셔널 리그]] 유틸리티 [[실버 슬러거]] (2022) == 연도별 기록 == ||<-19>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파일:MLB 로고.svg|width=35]]]] {{{#FFFFFF '''브랜든 드루리의 역대 MLB 기록'''}}} || || 연도 || 팀 || G || PA || H || 2B || 3B || HR || R || RBI || SB || BB || SO || AVG || OBP || SLG || OPS || fWAR || bWAR || || 2015 ||<|3> [[애리조나 다이아몬드백스|ARI]] || 20 || 59 || 12 || 3 || 0 || 2 || 3 || 8 || 0 || 2 || 8 || .214 || .254 || .375 || .629 || -0.2 || -0.2 || || 2016 || 134 || 499 || 130 || 31 || 1 || 16 || 59 || 53 || 1 || 31 || 100 || .282 || .329 || .458 || .786 || 0.1 || 0.0 || || 2017 || 135 || 480 || 119 || 37 || 2 || 13 || 41 || 63 || 1 || 28 || 103 || .267 || .317 || .447 || .764 || 1.8 || 1.4 || || 연도 || 팀 || G || PA || H || 2B || 3B || HR || R || RBI || SB || BB || SO || AVG || OBP || SLG || OPS || fWAR || bWAR || || 2018 || [[뉴욕 양키스|NYY]]/[[토론토 블루제이스|TOR]] || 26 || 86 || 13 || 4 || 0 || 1 || 4 || 10 || 0 || 7 || 20 || .169 || .253 || .260 || .516 || -0.6 || -0.5 || || 2019 ||<|2> [[토론토 블루제이스|TOR]] || 120 || 447 || 91 || 21 || 1 || 15 || 43 || 41 || 0 || 25 || 113 || .218 || .262 || .380 || .642 || -0.2 || -0.6 || || 2020 || 21 || 49 || 7 || 1 || 0 || 0 || 3 || 1 || 0 || 2 || 9 || .152 || .184 || .174 || .358 || -0.5 || -1.0 || || 연도 || 팀 || G || PA || H || 2B || 3B || HR || R || RBI || SB || BB || SO || AVG || OBP || SLG || OPS || fWAR || bWAR || || 2021 || [[뉴욕 메츠|NYM]] || 51 || 88 || 23 || 5 || 0 || 4 || 7 || 14 || 0 || 3 || 22 || .274 || .307 || .476 || .783 || 0.2 || 0.2 || || 연도 || 팀 || G || PA || H || 2B || 3B || HR || R || RBI || SB || BB || SO || AVG || OBP || SLG || OPS || fWAR || bWAR || || 2022 || [[신시내티 레즈|CIN]]/[[샌디에이고 파드리스|SD]] || 138 || 568 || 136 || 31 || 2 || 28 || 87 || 87 || 2 || 38 || 126 || .263 || .320 || .492 || .813 || 3.0 || 2.6 || || 연도 || 팀 || G || PA || H || 2B || 3B || HR || R || RBI || SB || BB || SO || AVG || OBP || SLG || OPS || fWAR || bWAR || || 2023 || [[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LAA]] || 125 || 523 || 127 || 30 || 3 || 26 || 61 || 83 || 0 || 25 || 136 || .262 || .306 || .497 || .803 || 2.5 || 1.9 || ||<-2>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MLB]] 통산[br](9시즌)''' || 770 || 2799 || 658 || 163 || 9 || 105 || 309 || 360 || 4 || 161 || 637 || .254 || .303 || .446 || .749 || 6.0 || 4.0 || [각주] [[분류:미국의 야구 선수]][[분류:1992년 출생]][[분류:2015년 데뷔]][[분류:조세핀 카운티 출신 인물]][[분류:내야수]][[분류:외야수]][[분류:우투우타]][[분류:애리조나 다이아몬드백스/은퇴, 이적]][[분류:뉴욕 양키스/은퇴, 이적]][[분류:토론토 블루제이스/은퇴, 이적]][[분류:뉴욕 메츠/은퇴, 이적]][[분류:신시내티 레즈/은퇴, 이적]][[분류:샌디에이고 파드리스/은퇴, 이적]][[분류: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현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