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시애틀 매리너스/로스터)] ---- ||
'''{{{#c4ced4 브라이언 우의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5> '''{{{#c4ced4 [[시애틀 매리너스|{{{#c4ced4 시애틀 매리너스}}}]] 등번호 33번}}}''' || || [[저스티스 셰필드]][br](2019~2022) || {{{+1 →}}} || '''{{{#ffffff 브라이언 우[br](2023~)}}}''' || {{{+1 →}}} || 현역 ||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매리너스우.png|width=100%]]}}} || ||<-2> '''시애틀 매리너스 No.33''' || ||<-2> '''{{{#fff {{{+2 브라이언 우}}}[br]Bryan Woo}}}''' || || '''본명''' ||브라이언 조셉 우[br]Bryan Joseph Woo || ||<|2> '''출생''' ||[[2000년]] [[1월 30일]] ([age(2000-01-30)]세) || ||[[캘리포니아|캘리포니아 주]] [[오클랜드]]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 [include(틀:국기,국명=홍콩)] || || '''학력''' ||[[캘리포니아 폴리테크닉 주립대학교]] || || '''신체''' ||188cm / 92kg || || '''포지션''' ||[[투수]] || || '''투타''' ||[[우투우타]] || || '''프로입단''' ||[[2021 MLB 신인드래프트|2021년 드래프트]] 6라운드 (전체 174번, [[시애틀 매리너스|SEA]]) || || '''소속팀''' ||[[시애틀 매리너스]] (2023~) || || '''계약''' ||1yr / $720,000 || || '''연봉''' ||2023 / $720,000 || || '''SNS''' ||[[https://www.instagram.com/bwoo.2/|[[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5]]]] |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BJW002, 크기=20)] || [목차] [clearfix] == 개요 == [[시애틀 매리너스]] 소속 우완 투수. == 선수 경력 == 알라메다 고등학교에서 3학년 때 8승 2패에 평균자책점 1.25로 압도적인 투구력을 발휘했고, [[캘리포니아 폴리테크닉 주립대학교]]로 진학했다. 하지만 대학 시절에는 부상으로인해 좋은 성적을 내지 못했다. 2021 MLB 신인드래프트에서 6라운드로 지명되었고, 31만 8,200달러의 계약금에 사인하며 프로 선수로의 첫걸음을 내딛었다. === [[시애틀 매리너스]] === 입단 직후 팔꿈치 인대가 파열되어 [[토미 존 수술]]을 받게 되었다. 2022시즌 시작 전에 팀 내 유망주 순위 14위에 이름을 올렸다. 2022시즌 동안 루키, 싱글A 하이싱글A 레벨에서 1승 4패, 평균자책점 4.11을 기록했다. 시즌이 끝난 후에는 애리조나 가을리그에 참가해 5경기 동안 2승, 평균자책점 0.84의 뛰어난 성적을 거뒀다. ==== 2023 시즌 ==== AA에서 ERA 2.05의 준수한 성적을 거두고 있던 중 6월에 메이저리그로 콜업되었다. 기간으로 따지면 마이너리그를 '''단 1년'''만 뛰고 빅리그에 데뷔한 것이다.[* [[로비 레이]]의 부상으로 신인 [[브라이스 밀러]]를 올렸는데 이번엔 [[마르코 곤잘레스]]까지 부상을 당하며 어쩔 수 없이 급하게 올리게 되었다.] 6월 3일 [[텍사스 레인저스]]전 선발 등판으로 빅리그 데뷔전을 치렀는데, 텍사스 타선이 워낙 강해서 그랬는지 2이닝 7피안타 1볼넷 4K 6실점으로 빅리그의 쓴맛을 맛보며 패전 투수가 되었다. 6월 10일 [[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전 선발로 빅리그 두번째 등판을 하였는데 4이닝 4피안타 1볼넷 7K 2실점을 기록하며 나름 괜찮은 투구를 선보였다. 7월 3일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전 6이닝 2실점. 탈탈 털린 첫 경기를 제외하면 매 경기 2실점 이하로 꾸준하다. 하지만 젊은 신인 투수의 이닝을 급격히 늘릴 수 없다는 구단의 방침 하에 조만간 마이너리그로 내려 이닝 보호를 할 예정이라고 한다. 토미 존 수술을 받은 강속구 투수라 부상 위험도가 높기도 하고. 그러나 [[마르코 곤잘레스]], [[에머슨 핸콕]] 등 선발 투수 대체자들이 모두 시즌아웃됐고 우가 던질 수밖에 없는 상황이 되면서 시즌을 완주하게 되었다. == 플레이 스타일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브라이언우포심패스트볼.gif|width=100%]]}}} || || '''포심 패스트볼'''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브라이언우싱커.gif|width=100%]]}}} || || '''싱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브라이언우컷패스트볼.gif|width=100%]]}}} || || '''컷 패스트볼'''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브라이언우슬라이더.gif|width=100%]]}}} || || '''슬라이더'''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브라이언우체인지업.gif|width=100%]]}}} || || '''체인지업''' || '''Scouting grades: Fastball: 60 | Slider: 50 | Changeup: 50 | Control: 50 | Overall: 50''' 2023 시즌 기준으론 직구 일변도의 투수다. 전체 투구 중 [[패스트볼]]이 72%이며, 이는 80이닝 이상 투수 중 리그 1위다.[* 포심 47%, 싱커 25%, 커터 15% ] 빅리그 콜업이 너무 빨라 마이너리그를 짧게만 뛰면서 변화구를 연마할 시간이 부족했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이렇게 단조로운 레퍼토리임에도 95마일 안팎의 이 패스트볼이 피안타율 2할대 초반의 강력한 구종이라 빅리그에서 9이닝당 탈삼진 9개를 넘기며 활약했다. 슬라이더, 체인지업 등의 변화구도 지금 당장의 완성도는 낮지만 미래에 플러스 구종으로 발전할 가능성이 있다는 평가를 받는다. 프로 입단 후 토미존 수술을 받았고 대학 시절에도 많은 이닝을 던져본 적이 없기 때문에 내구성에 대한 검증이 필요하다. == 연도별 성적 == ||<-18>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파일:MLB 로고.svg|width=35]]]] {{{#FFFFFF '''브라이언 우의 역대 MLB 기록'''}}} || || 연도 || 팀 || G || W || L || S || HLD || IP || ERA || H || HR || BB || HBP || SO || WHIP || ERA+ || fWAR || bWAR || || 2023 || [[시애틀 매리너스|SEA]] || 18 || 4 || 5 || 0 || 0 || 87⅔ || 4.21 || 75 || 13 || 31 || 7 || 93 || 1.209 || 96 || 1.0 || 0.6 || ||<-2>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MLB]] 통산'''[br](1시즌) || 18 || 4 || 5 || 0 || 0 || 87⅔ || 4.21 || 75 || 13 || 31 || 7 || 93 || 1.209 || 96 || 1.0 || 0.6 || == 여담 == * 보통 중국계 성은 Wu를 쓰는데 Woo라고 쓰는 것 때문에 [[한국계]]가 아니냐는 관심을 받고 있다. 구글 자동검색에도 'bryan woo korean'이 뜬다. 하지만 이후 밝혀지길, 아버지 Clayton Woo가 [[중국]]계 미국인이라고 한다. Wu가 아닌 것은 큰 일이 아니다. 애초에 외국어 유래의 성을 어떻게 표기하고 읽는지는 새로 정착한 나라 사람들과 이민자 본인의 마음이고, 특히 역사적으로 이민자들의 새 터전 역할을 해온 미국은 자신의 성에서 스펠링을 빼서 쉽게 바꾸거나 다르게 부르는 것이 매우 흔하다. [* 가령 [[스티븐 콜베어]]처럼 Colbert라는 아일랜드 성씨를 그의 아버지가 그냥 감자 기근의 기억에서 벗어나고 싶어 프랑스식 이름 코베어로 부르자고 해서 코베어로 부르는 경우도 있다.] [각주] [[분류:미국의 야구 선수]][[분류:2000년 출생]][[분류:2023년 데뷔]][[분류:오클랜드 출신 인물]][[분류:캘리포니아 폴리테크닉 주립대학교 출신]][[분류:우완 투수]][[분류:우투우타]][[분류:시애틀 매리너스/현역]][[분류:중국계 미국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