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털파리과]][[분류:익충]] ||<-2> '''{{{#fff {{{+1 붉은등우단털파리}}}}}}'''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러브버그 짝짓기.jpg|width=100%]]}}} || || '''{{{#000 학명}}}''' || ''' ''Plecia longiforceps'' '''[br]Duda, 1934 || ||<-2> {{{#000 '''분류'''}}} || || [[생물 분류 단계#계|{{{#000 '''계'''}}}]] ||[[동물|동물계]](Animalia) || || [[생물 분류 단계#문|{{{#000 '''문'''}}}]] ||[[절지동물문]](Arthropoda) || || [[생물 분류 단계#강|{{{#000 '''강'''}}}]] ||[[곤충강]](Insecta) || || [[생물 분류 단계#목|{{{#000 '''목'''}}}]] ||[[파리목]](Diptera) || || [[생물 분류 단계#과|{{{#000 '''과'''}}}]] ||털파리과(Bibionidae) || || [[생물 분류 단계#과|{{{#000 '''아과'''}}}]] ||우단털파리아과(Pleciinae) || || [[생물 분류 단계#속|{{{#000 '''속'''}}}]] ||[[러브버그|우단털파리속]](''Plecia'') || || [[생물 분류 단계#종|{{{#000 '''종'''}}}]] ||'''붉은등우단털파리'''[br](''P. longiforceps'') || [목차] [Clearfix] == 개요 == '''붉은등우단털파리'''는 털파리과 우단털파리속에 속하는 [[곤충]]으로, 성충이 된 이후에는 암수가 함께 붙어 다니면서 비행하거나 먹이를 먹고, 밤에는 여러 차례 긴 시간 짝짓기를 하는 것이 특징이다. 2022년 수도권 대량발생 문제로 이슈화되기 전까지는 국내에 보고되지 않았으며, Plecia속의 털파리류를 통칭하는 '[[사랑벌레]]'라는 이름으로만 불리다 2023년에 '붉은등우단털파리'라는 국명이 붙었다. == 국내 발견과 보고 == 당초 미국종인 플레시아 니악티카(''P. nearctica'')나 자생종인 [[계피우단털파리]](''P. japonica'')로 언론에 보도되었지만, [[국립생물자원관]]의 유전자 분석에 의하면 그동안 한국에 알려지지 않은[* 우리나라에 서식한다고 보고된 적 없는 미기록종이지만 '새로 나타난 종'이라는 의미는 아니다. 국내 생태계에 자생했으나 사람 눈에 띄지 않았을 수도 있기 때문이다.] '미기록종'인 것으로 나타났으며,[[https://n.news.naver.com/article/437/0000304851?sid=102|#]] [[https://doi.org/10.1093/jipm/pmac026|논문]]을 통해 [[https://n.news.naver.com/article/001/0014014494?sid=102|중국 남부와 대만, 오키나와에 분포하던 붉은등우단털파리(''Plecia longiforceps'') 종으로 밝혀졌다.]] 플레시아 니악티카는 북미에만 분포하며, 계피우단털파리와는 속부터 다르다. === [[2022년]] 대한민국 [[수도권(대한민국)|수도권]] 북서부 발생 === [youtube(PPjm6Iqp8VA)] [[2022년]] 7월 초, [[인천광역시]], [[경기도]] [[고양시]] 및 [[서울]] 북서부에 위치한 [[은평구]], [[서대문구]], [[마포구]], [[용산구]] 인근에 개체수가 폭증했다. 정확한 이유는 불명이지만 [[장마]]로 인해 급격하게 습해진 기후와 [[북한산]] 등 인근에 산이 많고 [[불광천]], [[홍제천]], [[창릉천]]과 같은 대형 하천을 끼고 있는 지역 특성 때문으로 추정된다. 은평구 봉산에서는 이전에도 [[대벌레]]가 대량으로 발생했던 적이 있었다. 붉은등우단털파리의 경우도 [[2020년]]부터 여름철에 많이 출몰했지만 [[2022년]]을 기점으로 그 개체수가 더욱 증가했다. 교미를 하며 날아다니는 특유의 기묘한 모습에서 오는 혐오감과 미관상의 이유로 지역 주민들은 방역을 호소했다. 이에 [[2022년]] [[7월 2일]] [[은평구청]]은 블로그와 은평알림톡을 통해 긴급 방역을 실시했다고 구민들에게 전했다.[[https://blog.naver.com/eunpyeonggu/222797402498|#]] [[마포구청]]도 블로그를 통해 긴급방역중임을 알렸다.[[https://blog.naver.com/prmapo77/222798538433|#]] [[2022년 중부권 폭우 사태]]와 겹쳐 방역을 해도 빗물에 [[살충제]]가 씻겨나가 효과가 미미하다고 한다. 또한 건조한 날씨와 햇빛에 약해 자연 소멸되는데 계속되는 장마로 인해 흐리고 습기가 많아 많은 개체가 부화했다. [[https://news.jtbc.joins.com/html/749/NB12064749.html|#1]] [[https://imnews.imbc.com/replay/2022/nwdesk/article/6384531_35744.html|#2]] [[https://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6808984|#3]] 가장 심한 [[은평구]]에서는 지역 주민들의 불만이 특히 가중되었다. 길가에 붉은등우단털파리의 시체가 쌓여있으며, ATM 부스나 버스 내부에도 진을 치고 있는 모습을 쉽게 발견할 수가 있다. 길을 걷다 보면 몸 어딘가에 붉은등우단털파리가 앉아 있어서 불쾌감을 유발하는 상황도 속출했다. 집중방역과 여러번 비가 내린 결과 대다수의 개체들이 사라진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이러한 이상기후가 지속적으로 유지될 경우 다시 대량발생할 확률은 높다. === [[2023년]] 대한민국 [[수도권]] 발생 === [youtube(h7DW8MEHoBk)] 2023년 6월경부터 붉은등우단털파리가 다시 나타나기 시작했다. 더운 날씨와 잦은 비로 인한 습기 때문으로 추측된다. 그리고 2023년에는 수도권 전역에서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https://www.yna.co.kr/view/AKR20230624043800004|#]] 2023년 6월 현재 서울특별시 대부분의 행정 구역에서 확인되었다. 작년과 마찬가지로 인천 지역에도 출몰하여 일대에 비상이 걸렸다고 하며, 민원도 10건이 들어온 상황이라고 한다. 경기도 광명시, 고양시, 부천시, 시흥시, 오산시 등지와 수도권과 근접한 충청남도 천안시에서도 대량 출몰하고 있다. * 2023년 여름이 되어 작년처럼 [[https://naver.me/FQI0upVm|은평, 마포 고양 등지에서 목격담이 나왔다.]] * 서울 성동구 금호동에서도 매우 많이 발견되고 있다. * 서울 관악구에서도 많이 발견되고 있다. * 서울 중구, 을지로 일대에서도 다수 개체가 날아다니는 것이 목격되었다. * 6월부터는 서울 서대문구 홍은동, 강북구 등지에서도 수 백 마리씩 발견되고 있다. * 6월 20일 기준, 김포시 사우동, 북변동, 걸포동 등지에서 적게는 수십마리, 많게는 수 백마리씩 발견된다 * 6월 23일 기준, 서울 강서구 가양동과 그 바로 옆동네인 염창동에서도 많이 발견되고 있다. * 6월 25일 기준, [[https://n.news.naver.com/article/032/0003231857?sid=102|인천 남동구 인천대공원 및 인근 아파트 단지에서 발견되고 있다.]] * 6월 25일 기준, 부천시 역곡 부근에서 매우 많이 발견되고 있다. * 6월 28일 기준, 서울 도봉구에도 출몰하기 시작했다. * 6월 29일 기준, 경기도 양주시에도 발견되고 있다. * 6월 30일 기준, '''충청남도 천안시의 몇몇 가구에서도''' 발견되었다. * 7월 1일 기준, 서울 광진구에서 주택침입 및 건물 기둥에 달라붙기 시작했다. * 그러나 원체 짧은 수명과 6월 말부터 시작된 [[2023년 여름 한반도 폭우 사태|장마]]의 영향으로 인해 7월 초순에는 거의 자취를 감춘 듯하다.[[https://www.yna.co.kr/view/AKR20230724114800004?input=1195m|#]] --대신 이번에는 [[모기|진짜 해충]]의 수가 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