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불후의 명곡)] [include(틀:불후의 명곡 방영 목록)] [목차] == 최고, 최다 == || '''부문''' ||<-2> '''이름''' || '''비고''' || ||<|3> '''최고점''' || '''1위''' || [[민우혁]][* 참고로 400회 특집은 판정단이 1000명이었다. 따라서 방송에서 언급한 대로 해당 특집에서 출연자들이 세운 점수는 최고점 기록으로 치지 않는다] || 449점 || || '''2위''' || [[알리(가수)|알리]] || 447점 || || '''3위''' || [[임태경]] || 446점 || ||<|3> '''최다 우승트로피''' || '''1위''' || [[정동하]] || 16개 || || '''2위''' || [[알리(가수)|알리]] || 14개 || || '''3위''' || [[포레스텔라]] || 13개 || ||<|3> '''최다 1부+최종 우승''' || '''1위''' || [[정동하]] || 18회[* 18회 중 4회는 1부 우승이며, 4회의 1부 우승 중 2회만 트로피를 받았다. 2015년 중순부터 1부 우승자도 트로피를 받는 것으로 바뀌었다.] || || '''2위''' || [[알리(가수)|알리]] || 16회[* 16회 중 4회는 1부 우승이며, 4회의 1부 우승 중 2회만 트로피를 받았다.] || || '''3위''' || [[포레스텔라]] || 13회 || || '''최다연승''' ||<-2> [[임태경]], [[성훈(1980)|성훈]], [[민우혁]] || 7연승[* 이제는 룰이 바뀌면서 깨질 수 없는 기록이 되었다.1,2부 출연진들이 아예 별개가 되면서 전부 꺾어도 6연승이 한계이기 때문. 심지어 6연승도 1년에 딱 한번 7명이 경연하는, 상반기 왕중왕전때나 노려볼 수 있다. 평소에는 6명씩 나오기 때문.] || || '''첫대결 최고점''' ||<-2> [[김조한]] || 429점 || || '''1번 가수 최고점''' ||<-2> [[포레스텔라]] || 428점 || ||<|2> '''440점대 여러번''' ||<-2> [[서문탁]] || 442점, 443점 || ||<-2> [[정동하]] || 441점[* [[인순이]]와의 듀엣 기록], 443점[* 보이스퍼와의 콜라보] || || '''아이돌 최고점''' ||<-2> [[남우현]], [[산들]][* [[안세하]]와의 듀엣 기록] || 439점 || || '''아이돌 최다우승''' ||<-2> [[산들]], [[ATEEZ]], [[김재환(가수)|김재환]] || 4회 || ||<|3> '''최저점수로 우승''' || '''1위''' || [[신용재]] || 380점 || || '''2위''' || [[듀에토]], [[린(가수)|린]] || 382점 || || '''3위''' || [[조우종]]&[[이현우(가수)|이현우]] || 383점 || || '''최고령 전설''' ||<-2> 故 작곡가 손석우 || (당시)95세 || || '''최연소 전설''' ||<-2> [[정동하]]([[부활]]) || (당시)32세 || || '''최고령 출연자''' ||<-2> [[송해]] || 88세 || || '''최연소 출연자''' ||<-2> [[김태연(2012)|김태연]] || 8세 || || '''최고령 우승자''' ||<-2> [[강부자]] || 75세 || || '''최연소 우승자''' ||<-2> [[김태연(2012)|김태연]] || 8세 || || '''최다 점수차 승리''' ||<-2> [[박재범]] || 114표차 || || '''최다 점수차 우승''' ||<-2> [[정동하]] || 105표차 || || '''최고 승률''' ||<-2> [[윤민수]] || 17승 1패(94%) || || '''최다 올킬''' ||<-2> [[김경호]] || 3회[* 돌팔매, 아시아의 불꽃, 영암 아리랑] || || '''5연승 이상 여러번''' ||<-2> [[정동하]], [[허각]], [[민우혁]], [[김경호]], [[곽동현]] || 2회[* 정동하는 6연승, 6연승. 허각과 곽동현은 5연승, 5연승. 민우혁은 7연승, 5연승. 김경호는 6연승, 5연승][* 올킬과는 따로 분류한다. 올킬임에도 5연승이 안 되는 경우가 있으며, 또한 5연승 이상이라고 해서 반드시 올킬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 특히 지금과는 룰이 달라 1부 우승자가 2부 출연자들과 계속 대결했던 과거에는 5연승을 넘겼음에도 올킬이 아닌 경우가 종종 있었다.] || || '''최다 경연곡''' ||<-2> [[내 사랑 내 곁에]]([[김현식]]) || 8회[* [[임정희]]를 시작으로 [[김진호]]([[SG워너비]]), [[정동하]], [[허각]], [[유미]]&[[김용진(1982)|김용진]], [[에일리]], [[알리]],[[황치열]]이 선곡했다. [[정동하]]가 [[비처럼 음악처럼]]을 선곡했을 당시 [[내 사랑 내 곁에]]가 아주 조금 삽입되기도 하였으나, 선곡했다고 하기엔 너무 짧아서 횟수 집계에선 제외하였다.] || ||<|3> '''첫 출연 최고기록''' || '''1위''' || [[거미(가수)|거미]][* 김종서와 같은 회차에 출연했고 김종서가 기록을 깨자마자 거미가 바로 신기록을 깬 것이다.] || 445점 || || '''2위''' || [[김종서(가수)|김종서]], [[소향]], [[박서진(1995)|박서진]] || 442점 || || '''3위''' || [[JK김동욱]], 윤희정 || 438점 || || '''최저 점수로 승리''' ||<-2> 존박, f(x) 루나 || 289점 || || '''왕중왕전 최다 우승''' ||<-2> [[포레스텔라]] || 6회 || == 올킬 == || '''{{{#white 순번}}}''' || '''{{{#white 이름(득표수)}}}''' || '''{{{#white 회차}}}''' || '''{{{#white 비고}}}''' || || 1 || '''[[허각]]''' (419) || 2013년 12월 21일 '''[[윤상(가수)|윤상]]''' 편 [[불후의 명곡/2013년#s-51|우승]] || 최초 올킬 || || 2 || '''[[정동하]]''' (418) || 2015년 12월 26일 '''기네스 특집''' 편 [[불후의 명곡/2015년#s-52|우승]] || || || 3 || '''[[김경호]]''' (421) || 2016년 4월 16일 '''작사가 김동찬''' 편 [[불후의 명곡/2016년#s-16|우승]] || 역대 1번가수 최고점 경신 || || 4 || '''[[테이]]''' (437) || 2016년 12월 31일 '''2016 왕중왕전 2부''' [[불후의 명곡/2016년#s-53|우승]] || 최초 왕중왕전 올킬 우승 || || 5 || '''서지안''' (417) || 2017년 1월 21일 '''조운파''' 편 [[불후의 명곡/2017년#s-3|우승]] || || || 6 || '''[[김조한]]''' (429) || 2017년 8월 5일 '''리차드 막스''' 편 [[불후의 명곡/2017년#s-31|우승]] || 역대 첫대결 최고점 경신 || || 7 || '''[[김경호]]''' (405) || 2018년 4월 21일 '''조용필''' 편 1부 [[불후의 명곡/2018년#s-16|우승]] || 최초 올킬 2번 달성, 최초의 4승 올킬 || || 8 || '''[[벤(가수)|벤]]''' (723) || 2019년 4월 20일 '''김연자''' 편 [[불후의 명곡/2019년#s-16|우승]] || 판정단 1000명, 첫 올킬 여성가수 || || 9 || '''[[듀에토]]''' (382) || 2019년 6월 22일 '''김진룡''' 편 [[불후의 명곡/2019년#s-25|우승]] || 역대 2번째로 낮은 점수 우승, 역대 가장 낮은 점수 올킬, 첫 그룹 올킬가수 || || 10 || '''육중완밴드''' (407) || 2019년 12월 7일 '''JYP''' 편 2부 [[불후의 명곡/2019년#s-49|우승]] || || || 11 || '''민우혁''' (402) || 2020년 2월 1일 '''하춘화&현철''' 편 1부 [[불후의 명곡/2020년#s-5|우승]] || || || 12 || '''[[김경호]]&[[곽동현(가수)|곽동현]]''' (413) || 2020년 2월 8일 '''하춘화&현철''' 편 2부 [[불후의 명곡/2020년#s-6|우승]] || 최초 올킬 3번 달성(김경호), 2주 연속 올킬로 우승자가 탄생, 최초로 한 특집에서 두번의 올킬이 나옴 || || 13 || '''[[곽동현(가수)|곽동현]]''' || 2020년 6월 27일 '''리틀 스타''' 특집 편 [[불후의 명곡/2020년#s-25|우승]] || 최초 연속 출연 올킬 달성, 최초로 점수가 밝혀지지 않은 올킬 || || 14 || '''진해성''' || 2021년 3월 27일 '''트로트 전국체전 리벤지 특집 2부''' [[불후의 명곡/2021년#s-13|우승]] || 첫 출연 올킬, 500회 || || 15 || '''[[포레스텔라]]''' || 2021년 12월 25일 '''2021 왕중왕전 2부''' [[불후의 명곡/2021년#s-49|우승]] || || || 16 || '''[[이은미]]&[[서도밴드]]''' || 2022 오 마이 스타 특집 2부 [[불후의 명곡/2022년#s-3|우승]] || || || 17 || '''[[김재환(가수)|김재환]]''' || 2022년 03월 26일 '''아티스트 김창완''' 편 2부 [[불후의 명곡/2022년#s-11|우승]] || 포레스텔라와 공동우승했으나 포레스텔라는 올킬 우승이 아니기에 제외 || || 18 || '''[[김기태(가수)|김기태]], [[서은광]]''' || 2022년 06월 25일 '''아티스트 백지영''' 편 [[불후의 명곡/2022년#s-24|우승]] || 최초 공동 올킬. 16번의 포레스텔라와는 달리 두 사람 모두 1, 2번이므로 올킬에 해당함. || || 19 || '''[[서문탁]]''' || 2022년 09월 03일 '''아티스트 임재범''' 편 [[불후의 명곡/2022년#s-34|우승]] || || || 20 || '''[[바다(가수)|바다]]''' || 2023년 02월 25일 '''작사가 故박건호''' 편 [[불후의 명곡/2023년#s-8|우승]] || || || 21 || '''[[김다현(트로트 가수)|김다현]]''' || 2023년 03월 25일 '''어리다고 얕보지 마''' 특집 [[불후의 명곡/2023년#s-12|우승]] || 전유진과의 공동우승이나, 김다현이 1번이므로 올킬로 기록. || || 22 || '''[[김조한|김조한]] & [[뮤지|뮤지]] & [[한해|한해]]''' || 2023년 09월 16일 '''기억의 노래''' 특집 [[불후의 명곡/2023년#s-37|우승]] || || == 동점 == || '''{{{#white 순번}}}''' || '''{{{#white 이름(득표수)}}}''' || '''{{{#white 회차}}}''' || '''{{{#white 비고}}}''' || || 1 || '''[[임태경]],[[태민]]''' (376) || 2012년 3월 3일 '''박춘석''' 편 [[불후의 명곡/2012년#s-8|동점]] || 최초 동점 || || 2 || '''[[문명진]],[[바다]]''' (392) || 2014년 1월 4일 '''The Rival''' 특집 [[불후의 명곡/2014년#s-1|동점]]|| 최초 공동 우승 || || 3 || '''[[장미여관]],[[이세준]]''' (409) || 2014년 3월 1일 '''3.1절''' 특집 [[불후의 명곡/2014년#s-9|동점]] || || || 4 || '''[[양파]],[[김연지]]''' (423) || 2016년 10월 22일 '''김장훈''' 편 [[불후의 명곡/2016년#s-43|동점]] || 동점 중 최고점, 두 번째 공동우승 || || 5 || '''[[군조(가수)|군조]]&지숙,[[Wanna One]]''' (423) || 2017년 8월 23일 '''DJ DOC''' 편 [[불후의 명곡/2017년#s-34|동점]] || 동점 중 최고점, 세 번째 공동우승 || || 6 || '''[[JK김동욱]],[[몽니(밴드)|몽니]]''' (420) || 2019년 1월 12일 '''봄여름가을겨울''' 편 [[불후의 명곡/2019년#s-2|동점]] || 네 번째 공동 우승 || || 7 || '''스바스바,[[테이]]''' (392) || 2019년 5월 25일 '''하중희''' 편 [[불후의 명곡/2019년#s-21|동점]] || || || 8 || '''[[백청강]],[[HYNN]]''' (393) || 2020년 1월 11일 '''장욱조''' 편 [[불후의 명곡/2020년#s-2|동점]] || || || 9 || '''[[최진희]],[[김범룡]]''' (421) || 2020년 1월 18일 '''전설이 노래하다''' 특집 [[불후의 명곡/2020년#s-3|동점]] || 2주 연속 동점 || || 10 || '''[[조명섭]],정수연''' || 2020년 4월 11일 '''주현미''' 편 2부 [[불후의 명곡/2020년#s-15|동점]] || 5번째 공동우승, 무관중 녹화, 점수 비공개 || || 11 || '''[[김호중]],[[신유]]''' || 2020년 8월 15일 '''진성&강진''' 편 [[불후의 명곡/2020년#s-32|동점]] || 무관중 녹화, 점수 비공개 || || 12 || '''[[알리(가수)|알리]] & 카다시바,[br][[한해]] & 프라임킹즈''' || 2021년 12월 11일 '''불후와 함께 춤을''' 특집 [[불후의 명곡/2021년#s-47|동점]] || 점수 비공개 || || 13 || '''[[김재환(가수)|김재환]],[[포레스텔라]]''' || 2022년 03월 26일 '''아티스트 김창완''' 특집 [[불후의 명곡/2022년#s-11|동점]] || 점수 비공개, 6번째 공동우승[br]이를 통해 김재환은 동점을[br]두 번 경험한 유일한 가수가 되었다. || || 14 || '''[[김기태(가수)|김기태]],[[서은광]]''' || 2022년 06월 25일 '''아티스트 백지영''' 특집 [[불후의 명곡/2022년#s-24|동점]] || 점수 비공개, 7번째 공동우승[br], 최초 공동 올킬 || || 15 || '''[[김다현(트로트 가수)|김다현]],[[조유진]]''' || 2023년 03월 25일 '''어리다고 얕보지 마''' 특집 [[불후의 명곡/2023년#s-12|동점]] || 점수 비공개, 8번째 공동우승[br] || || 16 || '''[[이지훈|이지훈]],[[몽니]]''' || 2023년 04월 23일 '''뮤지컬 디바 최정원''' 편 [[불후의 명곡/2023년#s-16|동점]] || 점수 비공개[br] || || 17 || '''[[팝핀현준]]&[[양동근]],[[크라잉넛]]''' || 2023년 09월 09일 '''김수철''' 편 [[불후의 명곡/2023년#s-36|동점]] || 점수 비공개[br] || [[분류:불후의 명곡]][[분류:명예의 전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