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메이저리그]] [목차] == 소개 == [[파일:external/mlb.mlb.com/0904royals1280_drvm8hk7_r6su6v0z.jpg|width=100%]] 2014년에 난공불락의 모습을 보인 [[캔자스시티 로열스]]의 불펜투수 3명을 지칭하며 생겨난 말. [[1985 월드 시리즈|1985년의 월드시리즈 우승]], 그리고 프랜차이즈 스타이자 명예의 전당 멤버 [[조지 브렛]]의 은퇴 이후 기나긴 암흑기에 들어간 캔자스시티는 이들과 함께 2014년부터 비상하기 시작했다. 사실상 캔자스시티와 경기를 하며 6회까지 뒤지고 있었다면 거의 진 것과 다름이 없는 셈이다. 2014년의 1기 멤버는 [[켈빈 에레라]] - [[웨이드 데이비스]] - [[그렉 홀랜드]]로, 포스트시즌에서 이들은 합작으로 40.1이닝 5자책점, 평균자책점 1.12를 기록했다. [[파일:external/blogs.jccc.edu/RoyalsMetsJS-11-2-2015-0578.jpg|width=100%]] 2015년 초까지만 해도 좋은 모습을 보이던 그렉 홀랜드가 갑작스럽게 부상을 당해 [[부상자 명단]]에 올랐기 때문에 홀랜드 대신 [[라이언 매드슨]]이 들어와 2기 켈빈 에레라 - 라이언 매드슨 - 웨이드 데이비스로 멤버의 재편이 이루어졌다. 다만 포스트시즌에서 매드슨이 흔들리며 루크 호체바 - 켈빈 에레라 - 웨이드 데이비스로 다시 가동되었다. 포스트시즌 35이닝 1자책점, 평균자책점 0.26을 기록하며 마침내 [[2015 월드 시리즈|월드시리즈 우승]]을 해냈다. 당연히 마지막 아웃카운트는 웨이드 데이비스의 몫. == 이후 == * 그렉 홀랜드: 2015년 9월 [[토미 존 서저리]]를 받으며 아웃되었고, 2016시즌까지 통째로 날리게 되었다. 이에 따라 재정이 넉넉치 못한 캔자스시티는 홀랜드를 방출하기로 결정했고, 홀랜드는 2017시즌은 1년 6M의 단기 계약을 맺은 [[콜로라도 로키스]]에서 뛰게 되었다. 어느 정도 재기에 성공한 모습을 보여준 결과, 2018시즌 개막 직전인 3월 29일에 1년 14M의 계약을 맺으며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로 이적했다.그러나 세인트루이스에서는 이전과 정 다른 모습만 보이며 방출되었고 [[워싱턴 내셔널스]]와 계약을 맺었다. 그리고 워싱턴에서 반등을 했고 그 바탕으로 [[애리조나 다이아몬드백스]]와 단년 계약을 했으나 부진하면서 재계약에는 실패했고 결국 친정팀인 캔자스시티와 마이너계약을 맺으면서 다시 복귀했다. 이후 어느 정도 반등하는 모습을 보여주며 재계약을 맺었다. * 웨이드 데이비스: 2016시즌이 끝나고 [[시카고 컵스]]와의 1:1 트레이드로 이적했다. 트레이드 상대는 [[호르헤 솔레어]]. 2017시즌에는 컵스에서 좋은 활약을 했고, 이후 3년 52M의 FA 계약을 맺으며 2018시즌부터는 앞서 그렉 홀랜드가 뛰었던 콜로라도 로키스에서 보내게 되었다. 하지만 전년도부터 불안요소가 보이기 시작했던 차에 자타공인 투수의 무덤 [[쿠어스 필드]]로 가다보니 2년 간 저지른 블론세이브만큼의 블론을 한 시즌만에 저지르는 등 고전했다. 2019시즌에는 5월 부터 마구잡이로 맞아나가기 시작하더니 결국 평균자책점이 8.65에 육박했고 시즌 후반에는 하이로 디아즈, [[스캇 오버그]]에게 마무리 자리를 내주고 말았다. 2020시즌에는 평균자책점 20점대를 기록하고 방출되었고 시즌 종료 후 캔자스시티와 마이너계약을 맺으며 친정팀으로 복귀했고, 이후 개막전 로스터에 포함되었다. * 캘빈 에레라: 꾸준히 캔자스시티에서 활약하다가 2018년 6월 18일 [[워싱턴 내셔널스]]와의 1:3 트레이드로 이적했다. 트레이드 상대는 마이너리그 내야수 [[켈빈 구티에레즈]], 외야수 블레이크 퍼킨스, 투수 요하네스 모렐이다. 이적후 부상과 부진이 겹쳤으나 [[시카고 화이트삭스]]와 2년 계약을 맺는데 성공했다. 그러나 구속 저하로 인해 시즌 내내 부진했다. == 비슷한 사례 == * 메이저리그 한 팀에서 활약한 불펜투수 3명의 원조격인 조합은 1990년 [[신시내티 레즈]]의 놈 찰튼 - [[롭 디블]] - [[랜디 마이어스]]로 구성된 '내스티 보이스' 트리오이다. 내스티 보이즈는 1989년 NBC에서 방영했던 범죄 액션 드라마 제목에서 따온 이름이며 이들 모두 파이어볼러라서 '내스티 보이스'라는 별명이 붙었다. 이 중 놈 찰튼과 랜디 마이어스는 좌투수다. [[https://www.youtube.com/watch?v=VEhHyJDW4Kw|#]] * 2001년 [[시애틀 매리너스]]를 아메리칸 리그 서부지구 우승으로 이끈 불펜진 트리오인 아서 로즈(좌투)와 [[제프 넬슨]], 그리고 마무리 대마신 [[사사키 카즈히로]]가 있다. 이들은 90년 신시내티 레즈의 내스티 보이스를 본따 뉴 내스티 보이스라 불렸다. 이 세 불펜진과 함께한 2001년은 2021년 까지 매리너스의 마지막 포스트시즌 진출 시즌으로 남아있었다. * 2005년 [[한신 타이거즈]]에는 [[제프 윌리엄스]](「J」eff Wiliams), [[후지카와 큐지]](「F」ujikawa Kyuji), 쿠보타 토모유키(「K」ubota Tomoyuki)로 구성된 [[존 F. 케네디|JFK]] [[JFK(한신)|트리오]]가 있다. 한신을 [[센트럴리그]] 우승으로 이끈 원동력이었지만 [[2005년 일본시리즈]]에서 제대로 쓰이지 못 하고 만다. * 캔자스시티의 성공으로 불펜 야구가 다시 떠오르게 되어 2016년 [[뉴욕 양키스]]의 [[델린 베탄시스]] - [[앤드류 밀러]] - [[아롤디스 채프먼]]이라는 어마무시한 3대장이 새롭게 탄생하였다. 하지만 양키스는 채프먼과 밀러를 각각 [[시카고 컵스]], [[클리블랜드 인디언스]]에 내주고 유망주를 영입함으로서 결국 양키스의 3대장은 한 시즌도 못가고 해체되었다. 시즌이 끝나고 채프먼은 다시 돌아오기는 했다. * 2016년 클리블랜드 인디언스의 포스트시즌에서 불펜 3대장이 나왔는데 [[브라이언 쇼(야구)|브라이언 쇼]] - [[앤드류 밀러]]- [[코디 앨런]]으로 이어지는 트리오가 위력을 발휘했고, 세 불펜의 힘을 앞세워 월드시리즈에 진출에 성공한다. * 2018년 [[밀워키 브루어스]]에서 [[조시 헤이더]]가 급부상하면서 조시 헤이더 - [[코리 크네블]] - [[제레미 제프리스]]로 이어지는 불펜 트리오가 엄청난 활약을 하면서 결국 이 해 막판까지 이어진 치열한 경쟁 끝에 중부지구 우승을 하고 NLCS까지 진출했다. 이후 크네블, 제프리스의 부진으로 해체되었으나 2020년 신인왕 수상자 [[데빈 윌리엄스]]의 등장으로 2021년 [[브래드 박스버거]] - 데빈 윌리엄스 - 조시 헤이더 트리오가 완성되었다. * 2018년 [[보스턴 레드삭스]]의 월드시리즈 우승에는 [[조 켈리]], [[라이언 브레이저]], [[맷 반스(야구선수)|맷 반스]]의 활약이 컸다. 특히 월드시리즈 이전까지 18.2이닝 동안 3실점(2자책)만 허용하면서 [[네이선 이오발디]]와 함께 뒤를 든든히 책임졌다. * 위의 보스턴과 비슷한 사례로, 2021년 [[애틀랜타 브레이브스]]의 월드시리즈 우승에는 [[A.J. 민터]], [[타일러 마첵]], [[윌 스미스(1989)|윌 스미스]] 좌완 불펜 3인방의 활약이 컸다. 정규시즌에는 마첵을 제외 불안한 편이었지만, 포스트시즌에서는 그야말로 이 셋이 애틀랜타의 불펜을 난공불락의 요새로 만들었다. 민터는 WS 5차전을 제외 무너지지 않았다. 마첵은 NLCS 6차전의 3연속 삼진으로 애틀랜타의 NL 우승에 결정적인 순간을 남겼으며, 스미스는 포스트시즌 내내 단 한번도 실점하지 않았다. * 2013년 [[넥센 히어로즈]]에는 [[조상우]] - [[한현희]] - [[손승락]]의, 일명 조한손 트리오가 있었다. 2016년 손승락이 롯데로 이적하면서 해체되었다. * 그 외 문서화된 투수 조합은 위의 분류:투수진을 참고. [[분류:투수진]][[분류:캔자스시티 로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