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不要不急線 }}} [목차] == 개요 == [[일본 제국|일제]]가 [[태평양 전쟁]]을 벌이면서 군수공장 인입선/주요간선 개량을 위해 레일이 필요해지자 지정한 노선. 불필요한 [[복선]] 구간을 [[단선]]화하거나, 아예 뜯어가서 [[폐선]]했다. 한국의 많은 [[철도 동호인]]들이 '레일을 녹여 무기를 만들기 위해' 철도를 폐선했다고 알고 있으나, 불요불급선으로 지정된 철도노선이 폐선된 것은 '''선로를 재활용해'''[* 당시 주요 간선철도의 경우는 오히려 전쟁 전보다 수요가 많았다. 병력과 물자수송 때문. 이런 상황에서 [[뻘짓|한쪽에선 레일을 녹이고 다른쪽에서 레일을 만드는 짓은]] 낭비였다.] 군수공장 인입선 부설이나 주요 간선 개량을 진행하기 위함이었다. 실제로 이 시기 경부선 복선화와 경의선 일부구간 복선화가 완료되었으며, [[https://cafe.naver.com/korailslr/83524|관련 문건]]도 남아 있다. [[통영대전고속도로]]의 경우는 그 노선 그대로 태평양 전쟁 당시 철도 계획이 있었으나 철을 조달하고자 예산을 삭감해 버렸다. 불요불급선은 지정 당시에는 전황이 나아질 경우 철거한 노선을 다시 복구해서 운행할 계획이었으나, 결국 일제가 패망하며 일본 내에서도 일부 구간이 복구되었을 뿐 대부분의 노선이 폐선되거나 단선화되었고[* 이후 철도회사 자체사업으로 복구, 재개통된 노선이 있기는 하다.], 한국에서는 이렇게 일시적으로 철거된 노선이 거의 모두 완전 폐선 처리되며 해당 계획이 이루어지지 못했다. 광복 후 1967년에 [[경북선]] [[점촌역|점촌]]-[[예천역|예천]] 구간이 복구된 것이 유일한 사례다. == 목록 == === [[대한민국]] === * [[안성선]]: [[장호원역|장호원]]~[[안성역|안성]] 구간. 이후 1989년 [[천안역|천안]]~[[안성역|안성]] 구간이 폐지되며 역사속으로 사라졌다. 현재는 [[중부내륙선]] [[감곡장호원역]]이 종점인 장호원 근교를 지나간다. * [[경북선]]: [[점촌역|점촌]]~[[안동역|안동]] 구간, 이후 복구작업을 통해 1966년 재개업하나 노선이 [[점촌역|점촌]]~[[예천역|예천]]~[[영주역|영주]]로 변경되면서 [[점촌역|점촌]]~[[예천역|예천]] 구간만 부활하고 [[예천역|예천]]~[[안동역|안동]] 구간은 온전히 사라졌다. [[점촌안동선]]이 옛 경북선의 선형을 따라 계획 중이다. * [[전남선]]: [[광주역|광주]]~[[담양역|담양]] 구간. [[광주송정역|송정리]]~[[광주역|광주]] 구간은 현재도 [[광주선]]이라는 이름으로 남아있으며, 현재 이 노선을 사실상 계승하게 되는 [[달빛고속철도]]가 계획중에 있다. * [[금강산선]]: [[창도역|창도]]~[[내금강역|내금강]] 구간. [[철원역|철원]]~[[창도역|창도]] 구간은 화물 수송용으로 남아있었으나, [[한국전쟁]]으로 인해 노선 대부분이 피해를 입고 결정적으로 노선이 [[군사분계선]]과 [[비무장지대]]를 가로지르게 되면서 완전히 역사속에 남게되었다. 통일 후에나 복원을 검토할 수 있지만, 환경문제가 있어서 가능성은 극히 낮다. === [[대만]] === * [[핑둥선]]: 린번~[[팡랴오역|퍙랴오]] 구간 * [[신베이터우 지선#s-3|신베이터우선]]: 전 구간 (베이터우 ~ 신베이터우)[* 본선인 [[단수이선]]을 해안가로 연장하기 위해 레일을 해체후 재활용했다. ] === [[일본]] === [[고텐바선]]과 [[산구선]]등의 [[일본국유철도]] 노선 및 [[도부 철도]], [[케이한 전기철도]], [[한큐 전철]] 등의 [[사철(철도)|사철]]과 [[강삭철도]], [[케이블카]] 등이 지정되었다. 현재 폐선된 구간이 많으므로 자세한 목록은 [[https://ja.wikipedia.org/wiki/不要不急線|여기]]를 참조하자. [[분류:한국의 철도]][[분류:일본의 철도]][[분류:나무위키 철도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