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일:attachment/kewmetal_20100227205718_12408057_1.jpg|width=400]] [목차] 원제는 <[[불꽃의 전교생]]>(炎の転校生) <[[불꽃의 전학생]]>으로 부르기도 한다. == 개요 == [[시마모토 카즈히코]]의 히트작. 원작은 만화로, 1983년부터 1985년까지 소학관의 [[소년 선데이]]에서 연재. 총 12권과 6권짜리 와이드판이 있다. 만화도 매니악한 팬이 있지만 애니메이션이 더 유명한 편이다. 연재 당시 인기가 많았다고 하며 시마모토 말로는 "내가 인기 만화가였던 건 이 작품이 유일하다." 라고 한다. 작가의 경험을 바탕으로 한 [[아오이 호노오]]에 나온 비하인드에 의하면 학원물을 그리고 싶은데, 학교를 일일이 묘사하기 힘들어서[* 지금이야 [[스케치업]] 같은 걸로 배경을 그리기 수월해졌지만, 이 당시에는 전부 수작업으로 그려야 했는데, 학원물에 경우 주인공이 반에 들어가는 장면만 해도 똑같은 책상과 의자를 여러개 그려야 한다.] 고민하던 중 [[링에 걸어라]]라는 만화가 '''등장인물들이 전부 학생인데 학교가 안 나온다'''는 사실에 영감을 얻고 학교를 등장시키지 않고도 열혈과 러브 코미디를 소화할 수 있는[* 학교 교문을 들어가자마자 링이 있고 거기서 싸우는게 주 내용이니 교실을 그릴 필요가 없고, 싸움의 보상이 히로인과의 사랑이니 러브 코미디 전개를 넣을 수도 있다.] 학원물 단편을 그렸고, 이를 기반으로 지금의 불꽃전학생이 만들어졌다고 한다. 그래서 학교의 운동장이나 교정은 자주 나오지만 교실을 보기가 매우 힘들다. 국내에는 와이드판이 2006년에 <불꽃전학생>이란 제목으로 정발되었지만, 시기나 인지도 상의 문제가 있었는지 금방 절판되어 사라졌다. 사실상 국내에는 이 불꽃의 전학생을 따라한 야겜인 [[불꽃의 임신 전학생]]보다 인지도가 밀리는 수준으로. 심지어 포털 검색어 순위에서도 밀린다. 2017년에 [[넷플릭스]]에서 속편격인 실사 드라마 불꽃전학생 REBORN을 제작했다. [[쟈니스 사무소]]의 아이돌을 대거 투입해서 지금은 검색하면 이 드라마만 나온다. 불꽃의 임신 전학생같은 괴작의 제목이 이 만화의 패러디이다. == 줄거리와 특징 == 노보루라는 학생이 시합을 통해 뭐든지 소유할 수 있는 약육고교로 전학을 오게되고, 여학생 유카리를 둘러싼 권투시합을 벌이는 등의 소동을 시작으로 차츰 다른 부나 학교와 싸워나간다는 내용이다. [[파일:attachment/b0044740_512b031e54388.jpg]] 작품의 특징은 [[열혈]]과 기존 열혈물의 패러디다. 시마모토 카즈히코의 작품들 자체가 그렇듯 혈기 넘치는 소년 학원 배틀 만화물에 대한 패러디와 개그를 미칠듯한 포스로 쏟아낸다. 노보루의 필살기인 국전(國電)펀치[* 우리나라에서는 국철펀치로도 알려져 있는 필살기로 타키자와 노보루가 전철을 보고 만든 필살기이다.]만큼이나 황당한 내용이 작품 끝까지 이어진다. == 등장인물 == * 타키자와 노보루: 성우는 [[세키 토시히코]]. 주인공. 자주 직장을 옮기는 아버지 덕에 전교를 밥먹듯이 하는 학생으로 등교 첫날 지각생으로 착각 당하거나 난데없이 라이벌이 생기는 등 배틀도 밥먹듯이 하는 열혈 소년. 선량하고 정의로운 성품도 지니고 있어 황당한 교칙과 교사들에 맞서다 보니 어느새 거대한 교육계의 음모를 파괴하는 주인공의 길을 걷게 된다. ~~하지만 그 선량함이 약간 위선으로 변질되는 스토리도..~~ 코드명은 불꽃 전학생. 필살기는 타키자와 킥, 노보루 국전 펀치 등. 격투가 아닌 스포츠용 필살기도 있다. 특이하게 머리띠를 목에 두르고 있는데 이건 훗날 스트리트 파이터 시리즈의 [[마코토(캡콤)|마코토]]가 오마주한다. * 타카무라 유카리: 성우는 [[히다카 노리코]].[* 타키자와가 전학오자마자 주번 죠노우치가 지각이라며 막아서고, 타키자와는 "선생님이 1교시 시작 직전에 오라고 해서 늦게왔다"고 해명하자 죠노우치가 '''"그럼 넌 선생이 죽으라면 죽을거냐!!"'''라며 얼토당토않은 정신공격을 하다가 마지막에 '''"선생님이 히다카 노리코랑 결혼하라면 할거냐!!"''' 라는 대사를 한다(..).] 히로인. * 이부키 사부로: 성우는 [[겐다 텟쇼]]. 일본에서는 '마음에 선반을 만들어라!' 라는 대사가 유명하다. * 죠노우치 코이치: 성우는 [[하야미 쇼]]. * 이부키 소노지로: 이부키 사부로의 큰형. 채찍을 주무기로 쓴다. * 이부키 이치방: 이부키 사부로의 아버지. 페이크인 듯 아닌 듯 애매한 최종보스. 타키자와 노보루의 성장을 본의 아니게 돕게 되는 스승 포지션. 그리고 작중 최고의 사랑을 가슴에 품은 싸나이 순정남. 과거 헤어지게 된 아내와 사부로를 그리워 하며 오랜 세월 동안 각고의 노력과 관리를 통해 젊은 시절의 모습을 유지해왔는데 그 이유가 사내 가슴을 절절히 울린다. "10년 동안 나는 이 건강한 몸을 계속 유지해 왔다. '''너의 어머니가 언제라도 나를 알아볼 수 있도록!"''' 아버지가 자신과 어머니를 버린 것이라 믿으며[* 어머니가 괴로워할까봐 정확한 이유를 물어보지 않았다.], 자신을 "사랑이 없는 남자"라고 여겨왔던 사부로는 이 말을 듣고 폭풍 감화되어 "사랑의 화신"을 자처하게 된다. == 애니메이션 == [[가이낙스]]에서 1991년에 출시. 애니메이션은 작품 초반의 이야기만 다루고 있다. 감독 및 총 작화감독은 [[니시지마 카츠히코]]. 캐릭터 디자인은 [[모리야마 유지]]. 기획과 각본은 [[오카다 토시오]] [* 오카다 토시오가 각본을 쓴 작품 중 유일하게 대필이 아니다.], 음악은 [[타나카 코헤이]]. 흥행은 망했지만 완성도는 매우 높아 가이낙스 팬들 사이에서 고가로 거래되며 입소문을 끌었으며 2014년 3월에 BD가 나왔다. TV 방영 안 하고 비디오 소프트로만 볼 수 있던 [[OVA]]란 게 있던 시절에 OLA(오리지널 레이저디스크 애니메이션)이라는 특수한 형식으로 출시되었다. 다른 매체 없이 [[LD]] 로만 발매된 것. 화질이야 좋았지만 크고 비싼 [[레이저디스크]]([[LD]])가 널리 보급될리가 없었고, 그런 작은 시장을 상대로 전용 애니메이션을 출시했으니 당연히 상업적으로는 망했다.가이낙스다운 정신나간 짓이었다고나 할까. 그래도 나중에 [[VHS]]용으로도 출시는 되었던 모양. [[호에로 펜|모에요 펜]]에서 시마모토는 애니가 나왔다고 해서 신나서 비디오 가게에 갔더니 "그 애니는 LD로만 나와서 없습니다." 라는 이야기를 듣고 "미쳤냐! 내 주변에 레이저 디스크 재생기를 가지고 있는 놈은 20명 중 1명 밖에 없어!" 라고 분노했다. 기획자인 오카다 토시오 말로는 오래 만들 애니메이션이 아니라고 생각해서 애초부터 초반부만 애니화해서 작품의 충격적인 세계관과 개그만 시청자에게 강렬하게 각인시키는 게 목적이었고 완결까지 애니화할 생각이 없었던 모양. 그리고 야한 게 있어야 팔린다면서 야한 묘사를 늘렸다고 한다. 이를두고 시마모토 카즈히코는 오카다가 제대로 애니화를 안 해줬다면서 한동안 오카다와 관계가 안 좋았다. [[호에로 펜]]에서 원작을 망치는 이상한 애니메이션 프로듀서로 내서 디스했을 정도. 미완의 애니메이션이지만 한 번 웃으면서 보기엔 괜찮다. 작화와 성우진도 엄청나게 뛰어나다. 오프닝 주제가는 [[시마모토 카즈히코]] 본인이 작사, 작곡했다. [[https://www.youtube.com/watch?v=Dvrn3BLvuzM|오프닝]]악기를 다루지는 못해서 BGM은 [[타나카 코헤이]]가 편곡했고 노래는 [[세키 토시히코]]가 불렀다.. 좋은 주제가가 안 떠오르자 [[오카다 토시오]]가 "시마모토는 머리 속에 음악 틀어놓고 작업할 것 같으니까 시마모토에게 작곡시키자. 라고 했다고. 시마모토는 "만화가한테 작곡을 시키다니 미친 놈들인가?!" 라고 하면서 직접 작곡했다고 한다. 2013년에는 [[https://www.youtube.com/watch?v=nYaUNzd78lc&t=77s|시마모토 카즈히로 작가 본인이 부른 버젼]]이 따로 공개되기도 했다. 시마모토 본인도 본 애니의 오리지널 캐릭터의 성우 역할로 출연했었는데, 이름은 '시마모토'. 출연분량도 쓸데없이 많다. 시마모토가 "저는 이런 말 안 합니다!" 라고 각본 수정을 요구해서 니시지마 감독이 당황했다고. 예고편만 시마모토 카즈히코의 대학 동창 [[안노 히데아키]]가 '열렬 우정 연출' 라는 직책명으로 연출했다. 예고편은 시마모토가 직접 녹음했는데 안노가 "네가 제일 뜨거우니까." 라고 하고 시켰다고. === 회차 목록 === ||
'''회차''' || '''제목''' || '''각본''' || '''콘티''' || '''연출''' || '''작화감독''' || || 제1화 || 鷹は舞い降りた!![br]매는 내려 앉았다!! ||<|2> [[오카다 토시오]] ||<|2><-2> 와타나베 스미오[* 애니메이션 감독 와타나베 스미오(渡辺純央)의 필명.][br](渡辺すみお) ||<|2> [[니시지마 카츠히코]] || || 제2화 || うなれ!必殺 国電パンチ!![br]울어라! 필살 국전 펀치!! || [[분류:일본 만화/목록]][[분류:일본 애니메이션/목록]][[분류:가이낙스]][[분류:주간 소년 선데이 연재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