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일:분황사 중문지 치미1.jpg]] [[https://news.naver.com/main/read.nhn?oid=001&aid=0010347889|사진 출처 : 연합뉴스 - 고대 장식 기와의 백미 '치미' 12점 한자리에]] [목차] == 개요 == [[신라]] [[경덕왕]] 대에 [[분황사]]에서 만든 [[한국]]의 [[치미]]. 현재 [[국립경주박물관]]에 소장 중이다.[* 원래는 분황사가 창건된 634에 제작된 것이라고 서술되어 있었으나, 755년 분황사를 다시 중수할때 중문을 새로 지었다는 기록이 있고 치미의 전반적인 양식이 [[경주 월지 치미]]같은 통일신라 치미와 매우 유사한 양식을 지니고 있어 이 시기에 제작되었다는 사실이 더 맞아 보인다.] == 내용 == || [[파일:분황사 중문지 치미2.jpg|width=290]] || [[파일:분황사 중문지 치미5.jpg|width=290]] || [[파일:분황사 중문지 치미3.jpg|width=290]] || |||||| [[https://blog.naver.com/ejhyun20/221379127242|사진 출처 : 치미, 하늘의 소리를 듣다]] || 높이 131.0cm. [[경상북도]] [[경주시]] [[분황사]]의 중문 터에서 발굴된 [[통일 신라]]시대의 [[치미]]로, [[신라]] [[경덕왕]] 14년 (755년) 분황사를 중수할때 함깨 중수된 중문에 사용된 치미다. [[치미]](짧尾)란 기와지붕의 용마루 양쪽 끝에 올리는 [[기와]]를 말하는데, 전통 목조건축에 사용된 장식부재이다. 분황사 중문지 출토 치미는 머리, 등, 몸체, 날개, 종대, 장식구 문양 등의 형태를 하고 있으며, 표면의 색상은 외측이 회흑색(dark gray)에 단면의 중앙은 회색(gray)이다. 전체 높이는 131 cm, 너비(측면/앞면/뒷면)는 각각 71.8 / 33.0 / 45.0 cm이다. 날개의 길이는 14.8~17.0 cm, 날개 너비는 4.5 cm, 종대 너비는 3.2 cm이다. 몸체 장식구의 모양은 화형보주문인데, 각각의 형태가 동일하고 점토끼리 뭉치면서 짓눌린 흔적이 있으므로, 별도로 틀을 제작하여 그 속에 점토를 채워서 만들었다고 추정한다. 배는 능형의 격자문이 새겨져 있는 타날판을 세운 후 점토띠를 쌓아올리면서 타날도구로 두드렸고, 제작된 몸체와 배를 결합하고 집합 단면에 홈을 내어 결합능력을 높였다. [[파일:분황사 중문지 치미4.jpg]] 2019년 9월 15일자 MBC [[선을 넘는 녀석들]] 방송에서 [[경주 월지 순금 장식]]과 함께 이 치미를 공개하여 인터넷 상에서 잠시 화제가 되기도 했다.[[https://lucyskitchen.tistory.com/2035|#]] 8세기 [[한국]]에서 만든 치미로, [[경주 월지 치미]] 등 다른 치미들과 함께 [[통일 신라]]의 토제 공예술을 연구하는 데 좋은 자료이다. [[분류:분황사]][[분류:신라의 공예]] [[분류:국립경주박물관 소장품]] [[분류:경주시의 문화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