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일:분청사기 철화어문 병1.jpg|width=400]] || [[파일:분청사기 철화어문 병2.jpg|width=400]] || || [[파일:분청사기 철화어문 병3.jpg|width=400]] || [[파일:분청사기 철화어문 병4.jpg|width=400]] || [목차] == 개요 == 粉靑沙器鐵畵魚紋甁. [[조선]] [[세조(조선)|세조]]~[[성종(조선)|성종]] 시기에 [[공주]] 학봉리 [[계룡산]] 가마에서 만들어진 한국의 철화 [[분청사기]]군. 현재 [[호림박물관]], [[국립중앙박물관]] 등에 다수가 소장되어 있다. == 내용 == 계룡산 분청(鷄龍山粉靑)이라고도 부른다. [[대한민국]] 사적 제333호인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063729&cid=40942&categoryId=33542|공주 학봉리 요지]]는 조선 세조의 명으로 처음 창설되어 성종 초기까지, 15세기 후반부터 16세기 초반까지 존립하였던 관립 분청사기 가마터였다. 이 곳에서는 자신들만의 특이한 물고기 문양을 전용으로 사용한 도자기 브랜드를 만들어왔는데 이를 계룡산 분청이라 칭한다. 성종 때부터 한국의 분청사기가 몰락하였기 때문에 실질적인 제작은 대부분 세조 시기에 이루어졌다. 대부분은 병 모양이지만 아래와 같이 다른 형태를 한 도자기도 있다. 위와 마찬가지로 모두 계룡산 도요지에서 만들어진 계룡산 철화분청이다. [[파일:분청사기 철화연지조어문 장군.jpg]] 분청사기 철화연지조어문 장군. 국립중앙박물관 [[파일:분청사기철화어문장군.jpg]] 분청사기철화어문장군. 오사카시립동양도자미술관 조선 세종~세조 시기에 화려하게 꽃피웠던 한국의 분청사기 문화를 연구하는데 중요하게 여겨진다. 1996년에 [[뉴욕]] 크리스티 경매에서 분청사기 철화어문 병 1점이 42만달러(3억3천만원)에 낙찰된 적이 있다.[[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4&oid=001&aid=0004123676|조선백자 크리스티 경매서 63억원에 낙찰]] 1990년대 기준으로 세계 도자기 역사상 미국 경매 사상 최고액을 기록한 것은 17세기 초 조선시대 백자 철용문 항아리로 당시 7백65만달러(63억4천만원)이고, 두번째는 조선 세조때 만들어진 한국의 청화백자 접시로 1994년 당시 3백8만달러(25억5천만원)에 낙찰되어 세계 1~2위 경매가를 한국의 조선시대 도자기가 석권하고 있다. == 외부 링크 == * [[https://blog.naver.com/hi-story21/221277325103|큐레이터의 국립중앙박물관 산책22 : 분청사기, 대충과 무위의 경계에 서다]] *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3&oid=112&aid=0000085064|헤럴드 : 꼭 봐야 할 국립박물관 유물-분청사기철화어문병]] * [[https://blog.naver.com/binna1012/220045317238|분청사기에서 유유히 헤엄치고 있는 물고기 한마리 - 분청사기철화어문병]] * [[http://slowblog.tistory.com/6|「분청사기철화어문병」에 대한 소고]] * [[http://www.koreantk.com/ktkp2014/motif/motif-view.view?motifCd=T000000000280|한국전통지식포탈 : 전통문양-물고기무늬/분청사기철화어문병]] * [[https://tour.gimhae.go.kr/07doye/08_03.jsp?tail2=03&seq=46|김해분청 : 분청사기철화어문병]] * [[http://blog.daum.net/_blog/hdn/BgmFrame.do?blogname=bohurja&articleno=5254&id=bohurja|분청사기 주요 가마터 : 공주 학봉리 가마(15세기 중엽~16세기 초)]] [[분류:조선의 도자기]][[분류:호림박물관 소장품]][[분류:국립중앙박물관 소장품]][[분류:서울특별시의 문화재]][[분류:공주시의 문화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