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일:분청사기 철화 넝쿨 무늬 항아리1.png|width=400]] || [[파일:분청사기 철화 넝쿨 무늬 항아리2.jpg|width=400]] || || [[파일:분청사기 철화 넝쿨 무늬 항아리3.png|width=400]] || [[파일:분청사기 철화 넝쿨 무늬 항아리4.png|width=400]] || [목차] == 개요 == 粉靑沙器鐵畫唐草文壺. [[조선]] [[세조(조선)|세조]]~[[성종(조선)|성종]] 시기에 [[공주]] 학봉리 [[계룡산]] 가마에서 만들어진 한국의 철화 [[분청사기]]군. 현재 [[국립중앙박물관]] 등에 소장되어 있다. == 내용 == [[공주]] 학봉리 [[계룡산]] 가마에서 만들어진 계룡산 분청의 일종이다. [[대한민국]] 사적 제333호인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063729&cid=40942&categoryId=33542|공주 학봉리 요지]]는 조선 세조의 명으로 처음 창설되어 성종 초기까지, 15세기 후반부터 16세기 초반까지 존립하였던 관립 분청사기 가마터였다. 성종 때부터 한국의 분청사기가 몰락하였기 때문에 실질적인 제작은 대부분 세조 시기에 이루어졌다. 이 항아리들은 당시 계룡산 가마에서 만들어낸 양산형으로, 몸체 하부에는 내화백토(耐火白土)를 바른 흔적이 그대로 남아 있어서 이 항아리들은 갑(匣)에서 구운 상품(上品)이라기 보다는 포개서 번조한 대량생산품이었음을 알 수 있다. 600여년 전 만들어진 한국의 분청사기 군으로 특히 힘찬 붓놀림을 통한 문양이 예술적으로 인정받는다. 당시 세조와 성종 초기에 무수히 많은 양을 만들었으며 현재도 남아있는 유물이 굉장히 많다. 국립중앙박물관 한 곳에만 약 10여종이 보관 중이다. == 외부 링크 == *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2213118&cid=51293&categoryId=51293|e뮤지엄 : 분청사기 철화 넝쿨 무늬 항아리]] *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2213709&cid=51293&categoryId=51293|e뮤지엄 : 분청사기 철화 넝쿨 무늬 항아리]] *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2213873&cid=51293&categoryId=51293|e뮤지엄 : 분청사기 철화 넝쿨 무늬 항아리]] == 국립중앙박물관 == * [[http://www.museum.go.kr/site/main/relic/search/view?relicId=668|분청사기 철화 넝쿨 무늬 항아리]] >철화 안료를 써서 무늬를 나타낸 분청사기는 충남 공주 학봉리 계룡산 일대에 가마터가 집중되어 있어 일명 ′계룡산 분청′이라고 한다. 이 항아리는 짙은 갈색을 띠는 철화 안료로 넝쿨무늬를 나타냈다. 끊어질 듯 유연하게 이어지는 힘찬 붓 놀림이 매우 예술적이다. * [[http://www.museum.go.kr/site/main/relic/search/view?relicId=1266|분청사기 철화 넝쿨 무늬 항아리]] * [[http://www.museum.go.kr/site/main/relic/search/view?relicId=4259|분청사기 철화 넝쿨무늬 항아리]] * [[http://www.museum.go.kr/site/main/relic/search/view?relicId=6261|분청사기 철화 넝쿨무늬 항아리]] * [[http://www.museum.go.kr/site/main/relic/search/view?relicId=16841|분청사기 철화 넝쿨 무늬 항아리]] * [[http://www.museum.go.kr/site/main/relic/search/view?relicId=6263|분청사기 철화 넝쿨 무늬 항아리]] [[분류:조선의 도자기]][[분류:국립중앙박물관 소장품]][[분류:서울특별시의 문화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