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flict Minerals [목차] == 개요 == [[콩고]]나 [[우간다]] 등 지역에서 [[전쟁]] 및 [[범죄]]를 동원하면서 생산되는 천연자원을 말한다. == 종류 == 현재 미국 분쟁광물법에 의한 분쟁광물은 아래 네 가지 종류의 광물을 일컫는다. 주로 산업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 [[탄탈럼]] (Tantalum) - 전기 회로에 사용되는 탄탈럼 콘덴서의 재료. 원광은 콜탄(Columbite-tantalite, coltan, 컬럼바이트, 즉 [[나이오븀]]과 탄탈석으로 이루어진 광물). * [[텅스텐]] (Tungsten) - 강한 합금의 성분인 텅스텐. 원광은 철망간중석(Wolframite). * [[주석(원소)|주석]] (Tin) - 청동의 성분인 금속. 원광은 석석(Cassiterite). * [[금]] (Gold) 위 네 가지 광물은 "the 3T's and Gold" 또는 3TG라고도 불린다. 이 중 탄탈럼은 분쟁지역의 매장량 비중도 높고, 탄탈럼 컨덴서는 요즘 소형 전자기기에 안쓰는 데가 없는 부품이라 넷 중에서도 가장 문제가 크다. 그리고... * '''[[다이아몬드]]''' (Diamond) - 일명 [[피의 다이아몬드]]. 수많은 분쟁지역의 사람들이 다이아몬드 때문에 고통스러워한다는 말은 절대 과언이 아니다. 항목 참조. * '''[[코발트]]''' - 법으로 정해진 규제를 받는 분쟁광물은 아니지만 생산과정에 [[아동노동]]등 비인간적 노동 문제가 있다. 코발트는 최근에 전기자동차나 스마트폰에 널리 쓰이는 [[리튬전지]]의 주요성분으로 수요가 급증하고 가격도 폭등한 광물로 [[콩고민주공화국]]이 전체 생산량의 절반을 차지하고 있다. 콩고에서 중국계 기업들이 소유한 코발트광산과 이를 사용하는 중국계 IT및 배터리 기업들이 코발트 광물의 채굴과 가공에 아동노동 등 인권문제를 일으키고 있다. == 사회적 문제 == 이들 지역에서 나는 광물의 사용을 국가차원에서 꺼리는 이유는 판매자금의 대부분이 반군으로 유입되고, 특히 광물 채취과정에서 인권유린과 아동노동력 착취, 성폭행 등의 사회적 문제가 거론되고 있기 때문이다. == 규제 == 풍부한 광물이 테러리스트들의 자금이 되는 것을 막고자, 미국과 유럽은 기업들의 분쟁광물 사용 금지 조치, 광물 원산지 의무표기 조치를 취하고 있다. 탄탈럼 등 일부 광물은 반도체에 빠지지 않는 필수 광물인데, 공급량이 제한되어 있다 보니 일부 기업은 콩고 반군들과 밀거래 및 원산지 세탁을 하기도 한다. 그래서 미국 정부가 제품에 들어간 광물의 원산지 확인을 요구하는 것이다. * [[http://www.intel.co.kr/content/www/kr/ko/corporate-responsibility/conflict-free-minerals.html|인텔의 분쟁광물 미사용]][* 참고로 인텔이 안 해서 욕먹는 cpu 솔더링의 원료 [[인듐]]은 주요 생산국이 중국 한국 캐나다 등 선진국이거나 적어도 분쟁지역과 전혀 무관한 지역들로, 분쟁광물이 아니다. 중국이 적성국인 미국과 일본을 상대로 조금만 수틀려도 [[희토류]]를 비롯한 광물들을 [[잠가라 밸브|볼모로 잡고 시비를 걸긴 하지만]], 어쨌든 '''[[인텔]]이 [[서멀 그리스|똥서멀]] 쓰는거랑 분쟁광물 안 쓰는 거는 관련이 없다''' 이 말이다.] * [[http://www.fki.or.kr/issue/global/View.aspx?content_id=1e62485c-ce40-48fe-9ed4-f6d1de4f6367|EU, 분쟁광물 사용 금지에 나서]] * [[http://www.sisapress.com/news/articleView.html?idxno=57415|‘분쟁 광물’ 규제에 속 타는 기업들]] == 더보기 == * [[피의 다이아몬드]] [[분류:금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