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북한의 대외관계)] [include(틀:호주의 대외관계)] || [[파일:북한 국기.svg|width=100%]] || [[파일:호주 국기.svg|width=100%]] || || [[북한|{{{#fff '''북한'''}}}]] || [[호주|{{{#fff '''호주'''}}}]] || [목차] == 개요 == [[북한]]과 [[호주]]의 관계. 북한과 호주는 1974년 수교하였다가 1975년 단교하였고, 2000년 다시 정식 외교관계를 수립하였다.[* 이 해에 북한은 영국, 이탈리아, 캐나다 등 몇몇 서방 주요 국가들과 외교관계를 수립하였다.] 북한과 호주는 그저 수교만 했을뿐 실질적으론 냉담한 관계인데, 이는 호주가 대한민국의 중요한 우방으로 우호관계가 지속되고 있으며 한반도 유사시 뉴질랜드와 함께 대한민국을 지원하겠다고 선언한 것과도 무관치 않다. 실제로 호주군은 6.25 전쟁 때 [[주한영연방군]]의 일원으로 대한민국을 위해 참전까지 했으며, 현재도 한미연합훈련에 종종 참가중이다. == 역사적 관계 == === 21세기 === [[http://me2.do/x70qBdag|한반도 유사 시 뉴질랜드와 함께 대한민국을 돕겠다고 약속했으며]], 한미 연합훈련에 참가하여 유사시 호주군을 미군과 함께 한반도에 전개시키는 시나리오를 대비하고 있다. 호주도 북한 제재에 나서고 자국민의 북한 여행을 금지시켰다.[[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hm&sid1=104&oid=022&aid=0003179340|#]] [[김일성 종합대학]]에서 석사과정중인 20대 호주인이 평양에서 거주하며 북한에 관한 여러 소식들을 서방 언론에 기고하기도 하였으나, 2019년 6월 돌연 연락이 끊겨 2019년에도 행방이 묘연한 상태이였다. [[https://news.v.daum.net/v/20190627115044347|#]] 하지만 호주정부와 중재자로 나선 스웨덴 정부의 협상으로 '''2019년 7월 4일'''석방되었다. 현재는 일본에서 아무일 없이 잘 살고 있다고 한다.[[https://www.yna.co.kr/view/AKR20190705033751009|#]] == 대사관 == 주북한 호주대사는 주 대한민국 호주 대사가, 주 호주 북한대사는 주 인도네시아 북한대사가 겸임을 하고있으며, 평양에서의 호주의 영사업무는 주 북한 스웨덴 대사관에서 대행해주고 있다. 한편 미국에서는 [[버락 오바마]] 정권 시절 북한에 대한 정보 접근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북한과 외교관계를 수립한 호주에 북한 주재 대사관 설치를 요청한 바 있으나, 호주 정부는 실익이 없다고 판단하여 대사관 설치를 거절하였다는 소식이 [[도널드 트럼프]] 정권 이후 전해졌다.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7/09/18/0200000000AKR20170918059000093.HTML?input=1195m|#]] == 여담 == 대포동 미사일의 사정권은 [[싱가포르]]와 호주가 들어간다. 정확히는 호주 북부 다윈까지 사거리가 닿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공교롭게도 이 지역은 [[https://en.wikipedia.org/wiki/Darwin,_Northern_Territory#US_military_presence|미 해병대 기지가 위치한 지역]]이다.] == 관련 문서 == * [[북한/외교]] * [[호주/외교]] * [[대국관계일람/아시아 국가/동아시아 국가]] * [[대국관계일람/오세아니아 국가]]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호주/외교, version=68, paragraph=4.2, title2=한호관계, version2=153, paragraph2=4)] [[분류:북한의 대국관계]][[분류:호주의 대국관계]][[분류:나무위키 외교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