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사건사고)] [include(틀:북한 관련 문서)] [Include(틀:북한 관련 뉴스/2023년)] [목차] == 1월 == * [[1월 1일]], [[북한]]이 동해상으로 단거리 탄도 미사일을 발사했다. [[2023년 북한 미사일 도발]] 문서 참조. * [[1월 5일]], 뉴스를 통해 [[12월 26일]] 북한 무인기가 본래 [[은평구]]부터 [[강북구]]까지 도심을 가로질러 비행했고 [[용산구]]까지 비행하지는 않았다고 [[국방부]]가 밝혔으나, 당초 [[국방부]]가 밝힌 것과 달리 '''무려 [[대한민국 대통령실]]이 있는 [[용산구]]까지 진입'''했다는 소식이 들리면서 많은 이들에게 충격을 주었다. [[https://youtu.be/_jgDCqwhjJw|#]] * 1월 16일, 북한이 [[대한민국]]의 [[K-POP]] 걸그룹 [[여자친구(아이돌)|여자친구]]의 노래 '[[FINGERTIP]]'을 표절한 노래를 공개했다. 해당 공연은 2023년 신년 축하 공연이다. [[https://www.youtube.com/watch?v=95nXB_P_5kA|#]] [[https://www.youtube.com/watch?v=TiYyiF4gB8w|#]] * 1월 19일, 네덜란드 [[종북]] 단체가 두 파벌로 갈라졌다고 NKNews가 보도했다. [[https://twitter.com/nknewsorg/status/1615786098382225421|#]] == 2월 == * 북한에서 날린 것으로 추정된 풍선이 대한민국 [[영공]]을 침범했다. 그러나 [[대한민국 국군]]에서는 이 풍선을 기상 관측용으로 추정하고 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56/0011423189?sid=100|#]]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21/0006615358?sid=100|#]]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123/0002296701?sid=104|#]] * 2월 6일 노동당 군사위 확대회의에서 "미싸일총국"이라는 새로운 조직의 깃발이 등장하였다. [[미싸일총국]] 문서 참조. * [[2023년 2월 8일 북한 열병식]]이 진행되었고, 신형 고체연료 대륙간탄도미사일이 등장하였다. 해당 미사일은 [[조선인민군 2023년 공개 ICBM]] 참조. * 2월 13일, 새로운 임무에 맞게 군기를 개정했다고 밝혔다. 그리고 그 군기가 2월 8일 열병식때 나왔었다고도 알렸다. 군기의 영문 번역어로 'flag'가 아닌 'colors'를 택했다. [[https://www.news1.kr/articles/4950903|#]] * 2월 14일, 군인 식량배급을 축소했다는 보도가 나왔다. 정부 고위 소식통을 인용한 것이다. [[https://www.donga.com/news/Politics/article/all/20230215/117887242/1|#]] * 2월 16일, 국방부는 북한을 '주적'이라 다시 명시한 〈2022 국방백서〉를 [[https://m.hani.co.kr/arti/politics/defense/1080003.html|발간했다.]] == 3월 == * 3월 7일, [[국가정보원]]이 국회 정보위원회를 통해 북한 관련 정세 평가를 내 놓았다. [[https://imnews.imbc.com/news/2023/politics/article/6461919_36119.html|#1]] [[https://www.newspim.com/news/view/20230307000959|#2]] * [[김주애]]는 둘째이며 첫째가 아들인 것으로 보인다. 셋째까지 있는 것으로 보인다. * 김주애 후계자설은 시기상조이다. '주애' 이름을 개명시켰다는 보도도 확인된 바 없다. * 북한의 식량난은 심각하나 북한 체제를 흔들 정도는 아니다. * 3~4월 중 [[정찰 위성]]을 탑재한 발사체나 고체연료 [[조선인민군 2023년 공개 ICBM|2023년 공개 ICBM]]를 시험발사할 수 있다. [[북한의 핵개발|추가 핵실험]]이 일어날 수도 있다. * 같은 날, [[2023년 북한의 대북 포사격 허위선동 사건|북한의 대북 포사격 허위선동 사건]]이 발생했다. * 3월 11일, 김정은이 중앙군사위를 주재했다. 군사적 조치를 언급하며 한미연합군사훈련에 발작하는 모습을 보여줬다. [[https://www.youtube.com/watch?v=a9XdRBNHqjc|#]] * 3월 12일, 북한이 황해남도 장연군에서 미상 탄도 미사일이 2발 발사하며 한미연합훈련 중 긴장감을 다시 조성하였다. [[https://view.asiae.co.kr/article/2023031409341644627|#]] * 3월 16일, 북한이 한일정상회담 당일 오전 평양국제비행장에서 화성-17형 대륙간탄도 미사일을 발사하였다. [[https://www.sp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63012|#]] * 3월 19일, 한미연합훈련이 반환점을 도는 가운데 북한이 다시금 탄도미사일을 발사하였다. [[https://www.munhwa.com/news/view.html?no=2023031901039921305006|#]] * 3월 28일, 대남타격용 [[전술핵]] 핵탄두 '화산-31' 10여 기를 공개하고, 핵무기 C4I체계 '핵방아쇠'를 소개했다. [[북한의 핵개발]] 문서 참조. * 윤석열 대통령은 당일 국무회의에서 통일부로 하여금 "단돈 1원도 퍼주지 말라"는 식으로 퍼주기식 대북지원을 중단하라고 지시했고, 북한인권보고서를 외부에 정식 발간한다고 밝혔다.[[https://m.yonhapnewstv.co.kr/news/MYH20230328019900641|#]] == 4월 == * 4월 10일, 노동당 중앙군사위원회 제8기 제6차 회의가 개최되었다. 대한민국이 그려진 대형 지도를 걸개에 걸어두고 세부적인 대남 타격 계획을 의논했다. 대놓고 남침을 선동하는 것으로, 김정은은 [[평택시]] 부근을 가리키며 뭐라고 하는 장면도 사진으로 보도됐다. 지도에 춘천과 여주에서 각각 남쪽으로 향하는 선이 특별히 표시된 것으로 보아 [[고속도로]] 위주로 남침 모의를 하는 듯.[* 북한은 대한민국 지명이 표시된 조악한 고속도로 이정표를 만들어놓고 훈련을 한 바 있다.] [[https://www.youtube.com/watch?v=D59bgC4Lcwc|#]] * 4월 15일, 북한 경비정이 NLL을 침범했다. [[https://www.youtube.com/watch?v=828FWsHFuyo|#]] * 4월 18일, 김정은이 [[국가우주개발국]]을 현지지도 하면서 군사정찰위성의 모식도와 그림 등을 흐림 처리해 공개했다. 발사 로켓인 가칭 [[은하-X]]에 대한 힌트도 보여주었다. * 한편, 이 날 경호원들이 검은 가방을 들고 있어 눈길을 끌었다. [[기시다 후미오 폭탄 테러 미수 사건]]에 괜히 김정은도 뜨끔해서 이렇게 경호를 강화한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https://www.youtube.com/watch?v=iM4e6wOnzsw|#]] == 5월 == * [[부르키나파소]]에서 북한 무기를 수입할 수 있다고 부르키나파소 [[이브라힘 트라오레]]의 발언이 나왔다. [[https://twitter.com/nknewsorg/status/1654316654317248513|#]] * 23일 [[전국교직원노동조합]] 강원지부장의 [[간첩]]활동 사건이 발생 하였다. * 5월 마지막 날인 5월 31일, 군용 정찰 위성인 [[만리경-1]]을 탑재한 우주발사체 [[2023년 북한 천리마-1 발사 사건|천리마-1을 발사]]했다. == 6월 == * 6월 7일, 대통령실은 능동적 대북전략 등을 담은 〈윤석열 정부의 안보전략〉을 [[https://m.yonhapnewstv.co.kr/news/MYH20230607023100641|공개했다.]] == 7월 == * [[6.25 전쟁]] 정전 70주년이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외무성|북한 외무성]]이 [[현정은]] 현대그룹 회장의 '입국'을 불허하였다. [[현대그룹]]은 [[금강산]]에서 [[정몽헌]] 회장의 20주기 추도식을 열 계획이었다. 현정은의 방북이 좌절된 것보다 북한이 대남담당 정부기관이 아닌 외교담당 정부기관이 발표한 것에 더욱 이목이 집중되었다. 정몽헌 회장 사후 북한이 현대그룹 관계자들의 추도식 개최와 방북을 불허한 것은 이번이 2번째다.[* [[금강산 관광]]이 중단됐던 2008년이나 [[이명박 정부]], [[박근혜 정부]] 때도 현대아산의 방북은 늘 허용했었다. 그만큼 남북관계가 심각하게 나빠졌다는 것을 보여주는 대목.] * 김여정이 미군 정찰기가 북한의 [[EEZ]]를 침범했다면서, 엄중한 상황을 경고 했다. [[https://www.mbn.co.kr/news/politics/4945219|#]] * 구체적으로 경북 울진 동쪽 270여㎞∼ 북한 강원도 통천 동쪽 430㎞ 해상 상공을 비행했다고 문제시한 것인데, [[https://twitter.com/stoa1984/status/1678427976365424642/photo/1|지도]]로 살펴보면, 황당한 문제제기이다. * 또한 대한민국을 통상의 용례인 '남조선'이 아닌 [[겹화살괄호]]([[문화어]]의 인용표)를 친 '《대한민국》족속'과 같이 표현하였다. 일반적으로 북한이 다른 나라의 국호를 사용할 때에는 인용부호를 쓰지 않는다는 주장도 있으나, 앞서 조평통의 축소와 외무성에서 현정은의 방북 문제를 다루었던 각종 정황들에 비추어, 서로 별개의 국가로 선을 긋기 시작한 것이라는 분석이 있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4057846|#]] 아직 명확히 밝혀진 바는 없고 추측만 난무하고 있으나 그간 북한의 행보와는 차이가 있기에 관심이 모이고 있다. 추후 북한 내부에서도 뜻을 잘 모른다는 보도가 있으나, 남한을 자신의 영토로 표기하는 식의 관행이나 '남조선 괴뢰' 라는 표현이 언급되지 않을 것이라는 예측도 부정되는 경향 때문에 한국 통일부는 2국가론은 과하다고 주장했다. [[한겨레]] 등이 인용한 북한에 온건한 인사까지 2019년 이후부터의 태도의 연장선일 따름이지, 공식적으로 두 국가를 인정하는 건 북한도 체제 정당성에 손상을 끼칠 정책이라 대화 의제로 올리지도 못할 주장이라고 했다. [[https://www.hani.co.kr/arti/politics/defense/1101405.html|#]] * 공동경비구역에서 견학 중인 [[2023년 주한미군 월북 사건|주한미군 한 명이 월북]]했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56/0011527616|#]] * [[열병식/북한]] 가운데 7월 27일 열병식 개최가 예상되는 가운데, 중국 대표단을 7.27. 자칭 전승기념일 행사에 초청했다. 코로나 시국 이후 첫 외빈 초청이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1/0004218265?sid=100|#]] 이어 [[세르게이 쇼이구]] 러시아 국방장관도 전승절 행사 참가차 북한을 방문한다는 소식이 전해졌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32/0003238492|#]] 열병식 하루 전 26일, [[무장장비전시회-2023]] 열렸으며, [[2023년 7월 27일 북한 열병식]]이 20시에 개최되었다. * 2023년 상반기 북중 무역 금액이 10억 달러를 돌파했다. == 8월 == * 8월 16일: 김영호 통일부장관은 '재중 억류 탈북민 강제송환 반대 기자회견 및 세미나'에서 중국 내 탈북민을 난민으로 규정하여 한국 입국 필요성을 피력했다.[[https://n.news.naver.com/article/001/0014133178?sid=100|#]] * 8월 17일 5시 38분부터 6시 37분 사이, 미 정찰기가 북한의 경제수역을 불법침입했다며 추격기를 출격시켰고, 앞으로 미 정찰기에 대응하기 위해 신형 반항공미싸일을 탑재한 군함을 상시 전개한다고 밝혔다. * 8월 18일: 법무부는 법무연수원 용인분원에 있던 북한인권기록보존소를 정부과천청사로 다시 이전시켜 정상화를 표명했다. * 8월 22일, 코로나19 사태로 인해 3년 7개월 간의 항공편이 중단되었던 북한-중국간 항공편이 재개되었다. [[지재룡]]으로 추정되는 인물도 식별되었다. [[https://www.youtube.com/watch?v=VQPZ21Z6h1k|#]] 항저우 아시안 게임을 앞두고 다른 중국행 노선도 복구될 수 있다고 한다. * 8월 29일, 로동신문은 8월 27일 북한 해군절을 맞이하여 김정은이 해군사령부를 방문하였다고 보도했다. * 김정은은 해군에 [[전술핵]]을 실전 배치할 것을 시사하였다. * 김정은은 [[인용표]]를 친 대한민국 용어를 사용해 가며 한미일 군사 연합 훈련을 비난하였다. 동시에 자신의 나라가 세 면이 바다로 둘러싸인 나라라서 해군이 중요하다고 하며 남한이 자신의 영토라는 주장이 신문에 실리고, 조국통일을 성취하기 위한 혁명 전쟁 준비를 하겠다는 표현이 2017년 이후 부활했다. [[http://www.minplus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14060|#]] * 만찬에서는 각종 미사일 모형들이 등장했으며, 김주애를 포함한 김씨 일가가 스페인식 햄(이베리코 하몬)을 즐기는 모습이 보도되었다. [[https://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7325241&plink=ORI&cooper=NAVER|#]] [[https://twitter.com/ColinZwirko/status/1696321217773572207|#]] == 9월 == * 9월 4일, 국정원은 러시아 국방장관 [[세르게이 쇼이구]] 방북 당시, [[조선인민군 해군]]과의 합동 해상 훈련을 제안했다고 밝혔다. [[https://www.rfa.org/korean/in_focus/nk_nuclear_talks/nkrussia-09042023093926.html|#]] * 9월 11일, 김정은의 방러가 공식화되었다. [[북러정상회담#2023년]]을 참조할 것.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4186006|#]] * 9월 27일, 신원식 국방부장관 후보자는 인사청문회에서 관계 부처들을 설득해 9.19 군사합의 효력 정지를 추진하겠다고 언급했다. [[https://news.kbs.co.kr/news/mobile/view/view.do?ncd=7784099|#]] * 9월 29일, 국방부는 나날히 심해지는 북한의 도발에 대응하고자 대북확성기 재개를 준비하기 시작했다. [[https://n.news.naver.com/article/448/0000429678?sid=100|#]] == 10월 == * 북한이 항저우 아시안 게임 여자 축구 중계에서 대한민국을 '''[[괴뢰]]'''라고 표기했다. [[https://www.seoul.co.kr/news/newsView.php?id=20231002500098|#]] * 2023년 10월 24일 오전 7시경 일가족 4명이 목선을 타고 동해 NLL을 넘어 [[속초]] 외옹치항 인근에서 귀순했다. [[https://www.chosun.com/national/national_general/2023/10/24/MNL2EUICZRFCRBO4LPDWBAWX5E/?utm_source=naver&utm_medium=referral&utm_campaign=naver-news|#1]]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201897|#2]] [[https://v.daum.net/v/20231025030501853|#3]] [[https://v.daum.net/v/20231025174650193|#4]] == 11월 == * 북한이 [[중거리 탄도 미사일]] 고체연료 실험을 하였다.[[https://n.news.naver.com/article/056/0011603058?sid=100|#]] * 한국이 북한의 위성발사에 대한 대응으로 [[9.19 남북군사합의]] 1조 3항의 효력정지를 발동하자 북한은 전면 파기로 맞불을 놓았다. == 12월 == [[분류:북한 관련 뉴스]][[분류:김정은 시대]][[분류:윤석열 정부]][[분류:2023년/사건사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