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2021년 공개]][[분류:SLBM]][[분류:북극성 미사일]][[분류:준중거리 탄도 미사일]] [include(틀:북한의 미사일 전력)]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24FA2 10%, #FFF 10%, #FFF 12%, #ED1C27 12%, #ED1C27 88%, #FFF 88%, #FFF 90%, #024FA2 90%, #024FA2)" '''{{{+3 북극성-5}}}'''[br][[북한|[[파일:북한 국기.svg|height=15]]]] [[북한|{{{#fff 북한}}}]] [[북극성 미사일|{{{#fff 북극성 미사일}}}]]의 한 종류}}} || ||<-2>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북극성-5형.jpg|width=100%]]}}}|| ||<-2> 2021년 1월 14일 [[조선로동당 제8차대회]] 기념 [[열병식/북한|열병식]]에서 공개 모습 || || {{{#024fa2 '''북한 명칭'''}}} ||'''《북극성-5》형'''[* [[조선신보]]에서 이렇게 표현함([[https://archive.is/uH4qQ|#]])] 혹은 '''《북극성-5ㅅ》''' || || {{{#024fa2 '''국방백서 표기'''}}} ||북극성-5ㅅ || || [[KN 코드|{{{#024fa2 '''KN 코드'''}}}]] ||없음[* 실제 발사가 이루어지지도, 실전배치가 이루어지지도 않았기 때문에 아직 미부여.] || || {{{#024fa2 '''최대사거리'''}}} ||3,000km 이하[* 추정치이다.]|| || '''길이''' ||10.35m[*UN 출처: UN [[안보리]] 보고서 S/2021/777 부록 18-2-3 [[https://www.securitycouncilreport.org/atf/cf/%7B65BFCF9B-6D27-4E9C-8CD3-CF6E4FF96FF9%7D/S_2021_777_E.pdf|PDF 링크]]]~11.6m[*ONN 오스트리아 기반 연구소 ONN의 측정, [[https://opennuclear.org/publication/emerging-capabilities-unflown-slbms-dprk|해당 보고서]]] || || '''지름''' ||2m[*UN]~2.05m[*ONN] || || '''단 수''' ||2단[*UN] || [목차] [clearfix] == 개요 == [[북한]]의 고체연료 [[SLBM|잠대지]] [[중거리 탄도 미사일]]로 2021년 열병식에서 공개되었다. == 상세 == 2020년 10월 10일[* 북한의 당 창건 75주년 기념일] [[북극성-4]]가 공개된 데에 이어 불과 3개월만에 추가로 공개한 SLBM이다.북극성-4보다 직경이 더 커진 것으로 보인다. 북극성-4 공개 당시에는 육군의 호위 병력들이 수송차량에 함께 있었으나 북극성-5 공개 시에는 배치되지 않았다. 이처럼 새 SLBM을 공개하는 것은, 이미 개발이 끝난 여러 SLBM들을 하나씩 공개하는 것일수도 있지만, 단순히 북극성-3이나 북극성-4 모형을 크기만 키운 것일 수도 있다. 따라서 실제 진위여부는 SLBM 시험발사를 봐야 알 것이다. 다만 일부 매체에서는 다탄두 SLBM을 예상하기도. [[https://www.yna.co.kr/view/AKR20210115027151504?input=1195m|#]] 하는데 가능성이 낮다. 공개 직전 열린 [[조선로동당 제8차대회]]에서 김정은이 '''핵추진 미사일 잠수함'''([[SSBN]]) 개발을 선포했는데 이 핵잠수함에 탑재될 미사일로 확실시된다. [[38노스]]의 마이클 앨만 연구원은 미국의 [[UGM-73 포세이돈]] SLBM과 유사한 형상으로 분석하고, 2단 고체 추친체로 3,000km의 사정거리를 가질 것으로 추즉했다. [[https://www.38north.org/2021/01/north-koreas-newest-submarine-launched-ballistic-missile-same-as-the-old-one/|#]] 이후 [[자위-2021]] 행사에도 등장했다. 이 때 처음 공개된 [[KN-23#s-8|KN-23 개량 단거리 SLBM]]이 실제 발사된 것이 특기할 만 한 사항이다. 즉 [[북극성-4]]와 북극성-5의 시험발사만 남은 것이다. 물론 아직 북극성-4도 발사가 이루어지지 않은 상황이기는 하다. 한편 이 때, 전시된 북극성-5 앞에 탄두로 추정되는 사진이 함께 포착되었다.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북극성-5 탄두 관련 주기.png|width=100%]]}}} || || 행사 당시 각종 미사일과 안내판 || 이후 2022년 [[국방백서]]에서 [[준중거리 탄도 미사일]]로 규정되었다. == 2022년 12월 엔진시험과의 연관성 ==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2022년 12월 고체 엔진 시험.jpg|width=100%]]}}} || || 고체 엔진 시험의 모습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2022년 12월 공개 고체 엔진.jpg|width=100%]]}}} || || 엔진 시험장을 참관하는 김정은 || 2022년 12월 15일, 북한은 동창리 [[서해위성발사장]]에서 고체 연료 엔진 시험을 성공시켰다. 출력은 ICBM급은 거뜬히 넘기는 140톤포스에 이른다. 사진속에 등장한 미사일 동체 모양 구조물 등으로 보아, 이 날 시험한 엔진이 사실상 북극성-5 내지는 [[북극성-4]], [[조선인민군 2022년 공개 SLBM]]용 엔진으로 평가된다. 김동엽 교수는 이 미사일의 엔진으로 평가했다. [[https://www.khan.co.kr/politics/defense-diplomacy/article/202212161636001|#]] 류성엽 연구위원도 SLBM 용 엔진으로 평가했다. [[https://www.youtube.com/watch?v=g0b42zyS088|#]] == 모형설 == 다른 북한 무기들처럼 모형설이 제기되었다. UN [[안보리]] 보고서에 따르면 한 구성국가에서 목업임을 주장했다고 한다. [[https://undocs.org/S/2021/777|보고서의 p.11]] (실제 존재하는 미사일은 따로 잘 있고) 열병식에 목업을 내세웠다는 것이 포인트가 아니라, 대외적으로 북한이 [[북극성-4]]-[[북극성-5]]-[[조선인민군 2022년 공개 SLBM]]로 매 년 SLBM을 내보이고 있는 상황인데 이것들이 모두 개별 모델로 운용되고, 실현화될지에 대한 근본적인 의문 제기이다. == 둘러보기 == [include(틀:북한의 핵·WMD 위협과 대한민국의 대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