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0047a0 {{{+1 '''북광주 나들목'''}}}[br]{{{-2 '''北光州 나들목'''}}}[br]{{{-2 '''North Gwangju Interchange'''}}}}}}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8000 5%, #F0FFF0 0%, #F0FFF0 100%);" {{{#008000 '''북광주 요금소'''[br]{{{-2 North Gwangju Tollgate}}}}}}}}} || || [[고창JC|{{{#!html고창 방면}}}]][br][[장성JC]][br]← 11.7 km || [[파일:Expressway_kor_253.svg|height=23]][[고창담양고속도로|{{{#!html
고창담양선}}}]]'''{{{#fff {{{+1 5}}}}}}''' || [[대덕JC|{{{#!html담양 방면}}}]][br][[담양JC]][br]8.3 km → || ||<-3> [include(틀:지도, 장소=북광주IC, 너비=100%, 높이=225px)] || ||<-3> {{{#fff '''주소'''}}} || ||<-3> [[전라남도]] [[담양군]] 대전면 응용리 || ||<-3> {{{#fff '''관리기관'''}}} || || [[고창담양고속도로|{{{#fff 고창담양선}}}]] ||<-2> [[한국도로공사]] 광주전남본부 담양지사 || ||<-3> {{{#fff '''개통'''}}} || ||<-3> [[2006년]] [[12월 7일]] || ||<-3> {{{#fff '''접속도로'''}}} || ||<-3> [include(틀:노선번호/국도, n=13)]([[추성로]]) || [목차] [clearfix] == 개요 == '''[[고창담양고속도로]] 5번.''' [[전라남도]] [[담양군]] 대전면 응용리에 있는 [[고창담양고속도로]]의 [[나들목]]. 명칭은 소재지인 [[담양군]] 대신 근처 대도시인 [[광주광역시]]에서 유래했는데, 광주 시계와의 거리가 그리 멀지 않은데다[* 실제로 북광주IC에서 나와 1km 정도만 직진하면 바로 [[광주광역시]] [[북구(광주)|북구]]가 나온다.] 이 나들목이 위치한 대전면 일대가 광주 북구 생활권에 속하고, 하술하겠지만 실질적으로 나들목의 역할이 [[광주광역시]]로의 연결을 중심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이용 차량의 편의를 위해 [[담양군]] 대신 [[광주광역시|광주]]의 이름이 붙었다. 추성로를 경유해서 남쪽으로 내려가면 [[빛고을대로]]를 통해 [[광주광역시]]로 진입할 수 있다. 보통 본촌동, 양산동 등 광주 북부 지역 이동 차량이 많이 이용하지만, [[장성군]] 진원면, [[담양군]] 대전면으로 이용하는 차량들도 이용한다. == 역할 == 출퇴근과 주말에 [[호남고속도로]] 광주 구간 정체 시 [[대덕JC|대덕 분기점]]과 [[담양JC|담양 분기점]]을 이용하여 이 나들목으로 대부분 빠져나간다. 광주 시내로 진입하는 도로 사정이 불편했으면 첨단, 일곡, 양산지구로 향하는 차량만 이용했겠지만, [[추성로]]를 거쳐 [[빛고을대로]]로 접속하면 광주 시내 어디로 가도 불편함이 전혀 없다. 나들목을 나와 남쪽으로 이동해 월출지하차도로 진입하면 그대로 [[동림IC|동림 나들목]] 방향으로 이어지며[* 단, [[빛고을대로]] 월출지하차도 - [[동림IC|동림 나들목]] 구간은 자동차전용도로로 지정되어있지 않다. 지하차도와 고가도로를 통해 신호 없이 쭉 이어지긴 하지만 주행상 조심할 필요가 있다.], 여기서 [[호남고속도로]]로 재진입[* 물론 경로 선형상 광주 이외 지역으로 이동할 때는 북광주 나들목 - [[빛고을대로]] - [[동림IC|동림 나들목]] 루트를 이용할 일이 없다. [[동림IC|동림 나들목]]으로 재진입해서 광주 시계 안쪽 여타 나들목을 이용하려 할 때 생각 해볼 수 있는 경로.]하거나 계속 직진하여 [[상무지구]]나 [[유스퀘어]]로 갈 수 있다. 다만 실질적으로는 다른 도로가 많기 때문에 [[광주광역시]] 도심으로 들어가려고 이 나들목으로 진출하는 차량은 거의 없고, 대개 광주 북부 [[첨단지구]], 본촌동, 양산동 등으로 이동하는 차량이 많이 이용한다. 또한 많이 알려져 있지 않지만 5.18 국립묘지나 광주시립묘지, 영락공원 등의 추모, 성묘시설을 갈 때 가장 빠른 지름길이다. [[문흥JC|문흥 분기점]]이나 [[동광주IC|동광주 나들목]] 성묘객이나 추모객들로 막힐 경우에는 이 나들목으로 나와서 용전동과 효령동을 거쳐가는 우회방법이 있다. 그 외에는 나들목이 위치한 [[담양군]] 대전면 일대를 목적지로 하는 차량이 주로 이용한다. 담양 읍내를 목적지로 하는 차량은 이 나들목을 잘 이용하지 않는다.[* 이 나들목 기준으로 [[대덕JC|대덕 분기점]]에서 오는 차량들은 [[담양JC|담양 분기점]]에서 빠지기 때문에 말 할것도 없고, [[호남고속도로]] [[수도권(대한민국)|수도권]], [[대전광역시|대전]], [[전주시|전주]] 방면에서 오는 차량들은 [[내장산IC|내장산 나들목]]으로 빠져서 [[1번 국도]]와 [[15번 지방도]]로 올 수 있고, [[서해안고속도로]]타고 [[고창JC|고창 분기점]]에서 오는 차량들도 이 나들목 보다는 [[광주대구고속도로]] [[담양IC|담양 나들목]]으로 가는 게 더 나으며, 물론 이 나들목으로 내리는 게 거리상으로 빠르지만, 신호등이 있는 평면교차로이고 신호등들이 전부다 정상 작동이되기 때문에 오히려 고속도로로 가는 게 더 빠르다.] == 구조 == === [[대덕JC|담양]] 방향 === * 진출 가능: [[추성로]] 양방향 * 진입 가능: [[추성로]] 양방향 === [[고창JC|고창]] 방향 === * 진출 가능: [[추성로]] 양방향 * 진입 가능: [[추성로]] 양방향 == 역사 == * [[2006년]] [[12월 7일]] 고창담양고속도로 장성 분기점-대덕 분기점 구간 개통과 함께 나들목으로 영업을 시작하였다. * [[2021년]] 9월 초 다차로하이패스가 개통되었다. == 기타 == * 이 나들목에서 담양 방향으로 올라가다보면 [[한국도로공사]] 광주전남본부 담양지사 사옥이 위치해 있다. * [[고속버스]]들이 우회도로로 드물게 이용하는 나들목이지만, 아직까지 그렇게 많은 버스들이 이용하는 것 같지는 않다.[* 공식적으로 회사에서 권장하는 우회경로인지 알 수 없다. 전달되는 정보를 바탕으로 기사들이 각자 판단해서 우회하는 것일 수도 있다.] 우회하는 이유는 출퇴근 시간대 [[동림IC]]-[[광주TG]] 구간의 극심한 정체를 피하려는 의도인 것으로 추측된다. 우회 경로는 [[빛고을대로]]-북광주IC-[[고창담양고속도로]]-[[장성JC]]-[[호남고속도로]] 경로이다. [[장성JC]]-[[동림IC]]까지 [[호남고속도로]]만 이용하는 거리와 이 나들목을 이용하는 거리는 약 4-5km밖에 차이가 나지 않고, 해당 구간 [[호남고속도로]]의 교통량과 선형을 생각하면 오히려 북광주 나들목을 이용하는 경로가 더 좋을 때도 있다. [[고창담양고속도로]]의 선형이 매우 좋고, 교통량 역시 적은 편이기 때문. 따라서 주요 시간대 [[호남고속도로]] 광주 구간의 극심한 정체를 피하기 위해 이 나들목으로 우회하는 선택은 좋으면서, 현명한 선택이다. == 둘러보기 == [include(틀:고창담양고속도로의 구간)] [[분류:고창담양고속도로]][[분류:대한민국의 고속도로 나들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