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일제강점기의 인물]][[분류:제주시 출신 인물]][[분류:북제주군수]][[분류:대한민국의 교사]][[분류:1899년 출생]][[분류:대한민국의 남성 정치인]][[분류:제주고등학교 출신]] [include(틀:제주도 북제주군수)] ||<-2> '''{{{#fff {{{#fff 제4대 북제주군수}}}[br]{{{+1 부항석}}}[br]夫恒錫}}}''' || ||<|2> '''출생''' ||[[1899년]] [[1월 29일]]|| ||[[전라남도]] [[제주시|제주군]] 구좌면 상도리[br](현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구좌읍]] 상도리)|| || '''사망''' ||불명|| ||<|2> '''재임기간''' ||제4대 [[북제주군]]수 || ||[[1952년]] [[2월 28일]] ~ [[1953년]] [[12월 27일]] ||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학력''' ||아버지 김남련 || || '''학력''' ||제주공립간이농업학교[* 현 제주고등학교] {{{-2 (졸업)}}} ||}}}}}}}}} || [목차] [clearfix] == 개요 == [[일제강점기]]부터 [[대한민국 제3공화국]] 시기까지 활동한 교육인이자 정치인이다. [[1952년]] [[2월 28일]]부터 [[1953년]] [[12월 27일]]까지 제4대 북제주군수를 지냈다. == 생애 == [[1899년]] [[제주 부씨]] 집성촌인 제주군 구좌면 상도리에서 태어났다. [[1918년]] 3월에 제주농업학교를 졸업한 이후 교육인의 길을 걸었다. [[1925년]] [[9월 2일]] 추자공립보통학교가 개교했는데, 부항석은 [[1926년]] 이미 추자도로 건너가 이 학교의 교사가 되어 있었다.[*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데이터베이스 [[https://db.history.go.kr/item/imageViewer.do?levelId=jw_1926_2377_0050|직원록자료]]] 그는 [[1928년]] 교직에서 떠나게 되는데, 그 뒤 광복이 될 때까지의 행적은 기록돼 있지 않다. [[1946년]] 제주군 산업과장을 맡은 것으로 재등장하며, [[1949년]] 내무과장을 거쳐 [[1952년]] 2월 28일에는 북제주군수 자리에 올랐다. [[6.25 전쟁]]이 휴전되고 다섯 달이 더 지난 이듬해 12월 27일까지 군수 자리에 있었다. [[1954년]] 신년을 맞은 인사 변동에 따라 제주도 총무국 서무과장으로 발령된 뒤 최소 6년은 그 자리에 있었다. [[1960년]] 제주도지사 [[양제박]]에 의해 산업국장으로 발탁되었다. [[1963년]]에 [[자유민주당(1963년)|자유민주당]]의 발기인으로 이름을 올린 것이 마지막 기록이다. == 소속 정당 == || '''{{{#fff 소속}}}''' || '''{{{#fff 기간}}}''' || '''{{{#fff 비고}}}''' || || [include(틀:자유민주당(1963년))] || 1963 - ? || 창당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