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교육기관)] [include(틀:인천광역시 부평구의 중학교)] ---- ||<-2> '''{{{#gold {{{+1 부평동중학교}}}[br] 富平東中學校[br]BUPYEODONG MIDDLE SCHOOL}}}''' || || {{{#gold '''교훈'''}}} || '''옳게 생각하고 바르게 행하자''' || || {{{#gold '''개교'''}}} || [[1969년]] [[8월 16일]] || || {{{#gold '''성별'''}}} || [[남자중학교]] || || {{{#gold '''형태'''}}} || [[공립]] || || {{{#gold '''교목'''}}} || [[후박나무]] || || {{{#gold '''교화'''}}} || [[장미]] || || {{{#gold '''교장'''}}} || 박제상 || || {{{#gold '''교감'''}}} || - || || {{{#gold '''학생 수'''}}} || 307명[br](2023.03.02) || || {{{#gold '''교직원 수'''}}} || 32명[br](2023.03.02) || || {{{#gold '''주소'''}}} || [[인천광역시]] [[부평구]] [[수변로]] 107번길 || || {{{#gold '''홈페이지'''}}} || [[http://bupyeongdong.icems.kr/main.do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 ||<-2> [include(틀:지도, 장소= 부평동중학교, 너비=100%, 높이=100%)] || [목차] [clearfix] == 개요 == [[인천광역시]] [[부평구]] [[수변로]]107번길 4 (지번 : [[인천광역시]] [[부평구]] [[부개동|부개2동]] 120-6)에 위치한 [[남자중학교]]. 교목은 [[후박나무]], 교화는 [[장미]]이다. == 역사 == [[http://bupyeongdong.icems.kr/sub/info.do?m=0102&s=bupyeongdong|여기를 참고하자]]. 1969년 개교인데 1696년이라고 잘못 적혀 있다. 현재는 1969년으로 정확하게 고쳐졌다. == 특징 == 축구부, 양궁부로 유명하며, 대회를 자주 나간다.[* 양궁부가 축구부보다 먼저 생기긴 했다.] 매일 훈련을 하며, 본관 뒷편에 있는 숙소에서 기숙생활을 하기도 한다. 운동부 학생들은 학교에서 멀리 떨어진 인천 지역에 거주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 학교 생활 == 현재 [[2010년]] 당시에 [[운동장]]에 깔았던 인조잔디를 진짜 잔디로 한 듯 하다.[* 부평구 6대 남중(부원중, 부평동중, 부평서중, 부평중, 산곡남중, 산곡중) 가운데 운동장이 유일하게 초록색이다.] 학교 안에 모래가 없어 학교 건물 안에서도 운동화를 신고 다닐 수 있다. 명찰 색상은 학년 순서대로 [[파란색]], [[초록색]], [[노란색]]이다. 학생들은 급식차를 끌고 와 [[교실]]에서 [[급식]]을 먹고 선생님들은 학교 뒤 교직원식당을 간다. 운동부 학생들은 숙소에서 먹기도 한다. == 학교 시설 == 본건물 내부에는 학년별 교실, 교무실, 수학실이 3개, 영어실이 4개,[* 수학실과 영어실은 학년 교실과 달리 TV형 스크린과 마이크 달린 수업용 컴퓨터 장치가 있다. 모두 비싼 장치이므로 파손되지 않도록 하자.] 과학실 2개, Wee클래스, 보듬누리실, 도서실, 컴퓨터실과 가사실, 미술실, 음악실(2개)이 있다. 1층 중앙 로비의 진열장에는 [[트로피]]가 즐비하다. 2017년 과학실에 5,000만원 지원받아 과학실을 리모델링했다. === 외부 시설 === * 다목적 강당(학여울관) - 바로 옆에 농구장이 있다. * 운동장 - 바로 옆에 트랙이 있다. * 축구부 합숙소 * 양궁장[* 축구부 합숙소와 더불어 학교 건물 뒤에 있다.] * 풋살장[* 여기서 체육 수업을 하다가 공이 학교 밖으로 넘어가는 일이 많았다. 현재는 펜스가 더 높게 설치된 상태다.] 트랙과 농구장은 우레탄 공사를 완료했다. == 주요 행사 == 1학기에 5월 체육대회, 2학기에 동중제(축제)가 있다. 날짜는 매년 다르고 바뀌기도 한다.[* 원래 [[10월]] 넷째 주에 열렸다.] 2015년에는 동중제가 12월 29일로 미뤄지기도 하였다.[* 다음날이 겨울방학식이었다.] 2016년 동중제도 12월 말(28일)에 치러졌다. 또한 2016년 동중제는 최초로 방송부가 [[UCC]]를 출품했는데, 내용이 가관이다. [[http://tvple.com/parody/488713|영상]]. 2017년은 교내 석면공사로 [[졸업식]] 및 [[종업식]]을 2018년 [[1월 5일]]에 실시했고, 이로 인해 겨울방학과 봄방학이 겨울방학으로 통합 실시되었다. 동중제는 졸업식 이틀 전에 열렸다. [[수련회]], [[수학여행]]은 없다.[* 과학동아리, 영재학급 한정으로 [[천문대]] 1박2일 정도는 있다.] 다만 학기마다 한 번씩 체험학습은 있으며 보통 [[중간고사]] 직후이다.[* 초반에는 교복을 입도록 강제했는데 후반으로 갈수록 안 그런 듯하다.] == 출신 인물 == === 일반 === * [[김연광]] * [[도성훈]] * [[손수호(변호사)|손수호]] * [[손철운]] * [[이익성]] === 축구부 === 학교가 축구부로 유명하여 전/현직 축구인이 많다. * [[곽경근]] * [[김남일]] * [[김동민]] * [[김봉길]] * [[김영철(축구)|김영철]] * [[김정우(축구인)|김정우]] * [[김형일(축구)|김형일]] * [[노정윤]] * [[박용호(축구)|박용호]] * [[서기복]] * [[송승민(축구선수)|송승민]] * [[안성훈(축구선수)|안성훈]] * [[안창민]] * [[이건희(1995)|이건희]] * [[이근호]] * [[이임생]] * [[이천수]] * [[정영총]] * [[조영준]] * [[조용형]] * [[하대성]] * [[하성민]] === 타 운동부 === * [[장지영]] * [[전인수]] == 이용 가능한 [[대중교통]] == === 버스 === 시경계가 걸쳐있는 수변로의 특성상 부평동중 정류장은 부천에 있다. * 부평동중 정류장(40406, 55009): [[인천 버스 23|23]], [[인천 버스 67-1|67-1]], [[인천 버스 79|79]], [[인천 버스 302|302]], [[인천 버스 579|579]], [[인천 버스 인천e음61|인천e음61]] * 부개고입구(40783, 40345)/부평여자중학교 정류장(40342, 40726): [[인천 버스 12|12]], [[인천 버스 526|526]], [[인천 버스 562|562]] === 지하철 === || 역 이름 || 노선 || ||<|1> [[부개역]] || [[파일:Seoulmetro1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1호선]] || == 기타 == 근처에 [[부개여고]]와 부내초, [[부평여중]]이 있다. 부평여중 부지하고는 거의 닿을 듯 하지만 정문은 멀리 떨어져 있다. 백영아파트, 휴먼시아 7단지와 인접해 있다. 한 글자 차이인 [[부천시]]의 [[부천동중학교]]와는 다른 학교이니 이름을 혼동하면 안된다. [[분류:인천광역시의 남자중학교]][[분류:부평구의 중학교]][[분류:1969년 개교]][[분류:나무위키 교육기관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