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부천시)] [include(틀:부천시의 교통)] [목차] == 도로 == [include(틀:부천시의 로)] === 시내 도로 및 국도 === 대체로 동서축이 남북축보다 더 발달되어 있는데, 동으로는 [[서울특별시]], 서로는 [[인천광역시]]라는 두 매머드급 대도시 사이에 위치한 특성 때문이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경인로]]가 일제강점기부터 부천 지역을 관통하고 있었고 부천의 시가지는 이 경인로를 중심으로 하여 발전이 되었다. 그래서 현재 경인선 이북의 소사동과 심곡동 지역은 본래 일부 취락만 형성된 말그대로 허허벌판 논밭이었는데, 1970년대 소사읍의 부천시 승격 이후 택지개발이 이루어지면서 생긴 것. 그리고 10~20년 후 중동 및 상동 지역에 신도시가 들어서면서 새로운 동서축 도로, [[길주로]]와 [[봉오대로]]와 같은 도로가 건설되었다. 현재 부천 지역은 이러한 동서축 간선 도로가 많이 확보되었는데도 불구하고 교통량이 워낙 많아 정체는 피하지 못하고 있는게 현실. 대표적인 동서축 간선도로로 인천과 서울을 모두 연결하는 도로로는 [[경인로]](39번 국도), [[봉오대로]], [[길주로]], [[부일로]], [[오정로]](6번 국도, [[아나지로]]와 직결)가 있고 인천-부천간 연결하는 간선도로는 [[부흥로(부천)|부흥로]], [[평천로]]가 있으며 서울-부천간 연결하는 간선도로로는 2014년 까치울터널이 개통되면서 신설된 [[여월로]](신월로와 직결)가 있다. 반면 남북축 도로망은 1990년 초반 왕복 10차로의 [[송내대로]]가 건설되어서야 그나마 넓은 도로가 생겼고[* 중동신도시 개발 전에는 현재의 신흥로 구간, 심곡동 구간과 약대동 구간이 단절되어 있었으며(도시계획상 연결 계획이 있긴 했다), 현재의 소사로 원미산 구간(옛 멀뫼로) 및 역곡로 밤골 구간(옛 옥산로→수주로) 역시 1990년대 중~후반에 개통되었다. 따라서 1990년대 초반까지 시가지를 남북으로 그나마 제대로 잇는 도로는 왕복 4~6차선의 부천로(옛 중앙로)와 왕복 2~6차선의 원미로~당아래고개~소사로(옛 원종로) '''단 둘밖에 없었다!'''], 이를 제외하면 대부분 교통량에 비해 폭이 좁은데다가, 동서로 놓여있는 [[경인선]] 철도와 [[경인고속도로]]가 장벽 역할까지 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부실한 편. 1970~80년대에 부천에 택지개발이 이루어져 그나마 이 경인선 철도를 넘는 고가도로나 지하차도가 부설되었고, 이마저도 이후 부천시의 엄청난 인구증가를 견디지 못해 경인선 철도 위에 부설된 고가도로나 지하차도들은 항상 [[헬게이트]]가 열려 있다. [[경인선]]과 [[경인고속도로]]의 지하화를 요구하는 이유 중의 하나가 이것 때문. 대표적인 남북축 간선도로로는 [[송내대로]], [[소사로(부천)|소사로]]가 있으며 [[경인선]] 철도 남부 지역 한정으로 [[시흥시]]로 연결되는 [[하우로]](하우고개), [[호현로]](여우고개)가 있다. 시내 지역만 잇는 남북축 도로로는 고강동과 역곡동을 남북으로 잇는 역곡로, [[부천IC]]와 직결되는 [[신흥로(부천)|신흥로]], [[부천역]] 앞에서 시작하는 [[부천로]], [[중동역(경인선)|중동역]] 앞을 관통하는 중동로가 있다. 그외에 최근에 건설된 서울 항동에서 시흥으로 이어지는 [[서해안로]]가 부천시를 잠깐 통과하며, [[광명시]] 및 [[서울특별시]] [[금천구]] [[독산동]]까지 이어지는 [[범안로]]도 있긴 한데 [[http://dmaps.kr/28u4i|괴안동 구시가지]] 및 [[http://dmaps.kr/28u4p|계수동 판자촌]][* 현재 계수동쪽 범안로는 옥길지구의 입주가 시작되면서 왕복 4차로로 확장되었다.]을 관통하는지라 도로폭이 심각하게 좁은 지역이 있어 통행하기 어려워 제대로 활용되지 못하고 있다. 또한 [[역곡역]] 남부에서 출발하는 부광로도 [[항동지구]]와 [[옥길지구]]를 거쳐 [[광명시]]로 연결되어 있다. 국도로는 [[6번 국도]]([[오정로]]), [[39번 국도]]([[벌말로(부천)|벌말로]], 부천로, 호현로), [[46번 국도]]([[경인로]]), [[77번 국도]]가 있다. * [[6번 국도]], [[77번 국도]]: [[인천광역시]] [[계양구]]에서 넘어와 오정동을 동서로 관통한 후 [[서울특별시]] [[강서구(서울특별시)|강서구]]로 넘어가는 국도. 부천시 내에서는 이 두 국도가 전 구간이 중첩된다. 나름 주 간선국도이고 교통량이 적은 편이 아님에도 부천시계 ~ 봉오대로교차로까지는 도로를 넓힐 공간이 없다 보니 왕복 4차로이며, 봉오대로교차로부터 서울까지는 심지어 '''왕복 2차로'''이다. 바로 북쪽의 [[봉오대로]]를 우회 국도로 지정할 법도 하나 딱히 소식이 없다. * [[39번 국도]]: [[시흥시]]에서 넘어와 부천시를 남북으로 관통해 [[인천광역시]] [[계양구]]로 넘어간다. 부천의 남북축 간선도로들 중 유일한 국도이다. 대부분 구간이 왕복 4차로 이상이나, [[호현로]] 구간은 왕복 2차로에 도로 상태도 굉장히 나쁘다. * [[46번 국도]]: [[경인로]] 구간. [[인천광역시]] [[계양구]]에서 넘어와 [[수도권 전철 1호선|1호선]]([[경인선]])을 따라 [[서울특별시]] [[구로구]]로 향한다. 우회로라고 할 만한 도로가 딱히 없어[* 북쪽에 나란히 [[부일로]]가 달리지만, 결국 서울에서 경인로에 합류한다.] 왕복 6차로 이상임에도 언제나 차로 미어 터진다. [[중동신도시]]와 상동지구를 중심으로 도시 전체가 바둑판 형태의 격자형 도로망을 갖추고 있다. 중동신도시를 남북으로 관통하는 도로인 10차로의 [[송내대로]]는 [[영동고속도로]]와 [[올림픽대로]]를 연결해주며, 동서로 관통하는 8~10차로의 [[길주로]]는 부평~상동~중동~[[목동(서울)|목동]]을 연계하며 신도시의 중심 상업/업무지구를 형성하고 있다. === [[고속도로/대한민국|고속도로]] === 시의 북쪽에는 [[경인고속도로]]가 관통하며 [[부천IC]]가 있다. 상동~송내 근처로는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가 지나가며, [[46번 국도]]([[경인로]])와 이어지는 [[송내IC]][* 경인로와 접속하는 부분은 [[인천광역시]] [[부평구]],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와 접속하는 부분은 부천 상동이다. 또한 [[무네미로]]를 통해서 접근하는 인천 [[남동구]] 차량들도 상당한 편이다.]은 출근시간에는 [[헬게이트]]가 된다. [[2010년]] 12월 13일 22시경에 발생한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송내IC~중동IC 하부공간 화재로 인해 교통이 통제되면서 14일 출근길에수도권제1순환선 뿐 아니라 부천시내 도로교통이 마비상태에 이르렀다. [[http://news.joinsmsn.com/article/089/4788089.html?ctg=12|#]] '''[[중동IC]]'''는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에서 '''진출입 교통량 전체 1위'''를 단 한 번도 놓치지 않고 있을 정도로 [[헬게이트]]이다. IC가 상동, 중동신도시와 바로 직결되기 때문. 향후 [[평택파주고속도로]]([[동부천IC]], [[강서IC]])가 개통예정이다. [[부천시]]는 [[동부천IC]]를 비롯해 평택파주고속도로의 '''부천 통과 자체를 반대'''했으나, [[문재인 정부]] 들어서 [[김현미]] [[국토교통부장관]](지역구 '''일산''')이 "해당 고속도로 사업에 대해 국토부와 부천시는 더 이상 합의가 불가하다"며 '''부천시의 반대를 물리치고 동부천IC, 강서IC를 그대로 승인하고 공사 강행'''하였다. 자세한 스토리는 [[동부천IC]] 문서 참고. == 철도 == * [[수도권 전철 1호선]] : ([[인천광역시]] [[부평구]]) → [[송내역]] - [[중동역(경인선)|중동역]] - [[부천역]] - [[소사역]] - [[역곡역]] → (서울특별시 [[구로구]]) * [[서울 지하철 7호선]] : (인천광역시 부평구) → [[삼산체육관역]][* 5번출구]→ [[상동역(부천)|상동역]] - [[부천시청역]] - [[신중동역]] - [[춘의역]] - [[부천종합운동장역]] - [[까치울역]] → (서울특별시 구로구) * [[수도권 전철 서해선]] : ([[서울특별시]] [[강서구(서울특별시)|강서구]]) → [[원종역]] - [[부천종합운동장역]] - [[소사역]] - [[소새울역]] → ([[경기도]] [[시흥시]]) === [[광역철도]] 및 [[도시철도]] === 한국 최초의 철도인 [[경인선]]이 시의 중남부를 동서로 관통하며 경인선은 부천시민들의 중요한 출·퇴근 루트이다. 경인선 부천구간의 역들은 [[송내역]]-[[중동역(경인선)|중동역]]-[[부천역]]-[[소사역]]-[[역곡역]]이다. 송내역-부천역-역곡역은 [[경인선 급행]]과 [[수도권 전철 1호선/급행#용산 특급|특급]]이 모두 정차한다. 경인선과 [[경인로]]가 과포화상태에 이르러 [[상동지구]]와 [[중동신도시]] 주민들이 불편을 겪자 이를 해소하기 위해 [[부천시청]]의 재정을 박살내면서[* 농담이 아니라 정말 시 재정을 박살내면서까지 추진했다. 과거 [[인천 도시철도 3호선]] 계획이 그대로 추진되기를 조금만 기다렸다면 부천시는 재정을 한푼도 들이지 않으면서 지금의 7호선을 얻어낼 수 있었다.] [[부평구청역]]-[[온수역]]간 [[서울 지하철 7호선]] 연장공사가 이루어져 [[2012년]] [[10월 27일]]에 개통되었다. 7호선 연장 후 경인선 이용객이 상당히 분산되었으며, 철도로 강남 접근이 한층 쉬워졌다. 이후 [[서해선]]과 [[대곡소사선]]이 추진되었고, [[서해선]]은 [[2018년]] [[6월 17일]] 개통되어 [[소사역]]이 환승역이 되었다. 본래 [[시흥시/교통|교통]]이 열악한 [[시흥시]]를 위해 만들어진 노선이지만, [[시흥시]], [[안산시]]로 자주 이동하는 부천 주민들에게도 큰 도움을 줄 것으로 예상된다.[* 단, '''지금 당장은''' [[소새울역]]의 주민들에게 별로 도움이 되지 않는다. 실제로 역세권인 [[소사본동]] 주민들의 입장에서는, 소새울역의 개통은 집값 상승의 호재 정도이지 실질적 목적인 교통 여건 개선으로 보지는 않고 있다. 애당초부터 지하철이 간절히 필요했던 시흥시 동네들과는 다른 상황. 소사본동은 거의 대부분의 주민들이 버스를 이용해서 [[소사역]], [[역곡역]], [[온수역]]으로 환승하여 통근하는데, 이번의 소새울역 개통이 1호선, 7호선으로의 환승시간을 줄이는데 도움되지 않는다. 게다가 서해선은 열차 운행 간격이 기존의 1호선, 7호선보다 두 배 가까이나 길기 때문에 체감상 더욱 그러하다. 소사본동이 시흥, 안산과 연관된 동네가 아닌 전통적인 서울, 인천의 베드타운이기 때문. 오히려 소사본동 주민들은 서해선이 북쪽으로 더 확대되어 '''[[대장홍대선]]'''으로 이어져 서울까지 이어지기를 바라고 있다. 그렇게만 된다면 소새울역의 서울 접근성이 크게 향상되기 때문이다. 물론 대장홍대선은 아직 걸음마 단계로서 먼 미래의 일. 그것도 확실하게 될 것인가도 모른다. '''지금 당장은'''이란 애매한 표현을 쓴 게 이것 때문이다.] [[대곡소사선]]과 직결하여 여객은 물론 [[경부선]]의, 그리고 [[남북통일]]이 될 시 [[경의선]], [[경원선]]의 화물 우회도 수행할 노선. [[대곡소사선]]([[수도권 전철 서해선|서해선]])은 [[2023년]] 개통하였고 [[부천종합운동장역]]은 환승역이 되었다. [[강서구(서울특별시)|강서구]]에 위치한 [[서울 지하철 5호선|5호선]] [[화곡역]]과 [[구로구]]에 위치한 [[수도권 전철 1호선|1호선]], [[서울 지하철 7호선|7호선]] [[온수역]]도 부천 시민들이 많이 이용하는 역이다. [[화곡역]]의 경우 부천 북부 지역에서 서울 강북권(도심)과 강서권을 오갈 경우, 부천 북부는 같은 부천 내에 있지만 부천 중앙에 붙어있는 경인선 상의 역들보다 [[화곡역]]이 더 가깝고 서울 진입에 시간이 덜 걸리기 때문이다. [[온수역]]의 경우 [[서울특별시]] [[구로구]]와 [[경기도]] [[부천시]]의 접경 지역으로 [[역곡동]] 일부까지를 역세권으로 두고 있으며 부천에서 다니는 일부 버스 노선의 종점지이기도 하다. 또한 [[GTX B]]선(송도~부평~부천~신도림~서울역~청량리)이 [[부천종합운동장역]]을 경유할 예정인 등, 경인권 교통망 확충 계획이 지속적으로 등장한다는 것은 그만큼 부천을 비롯한 경인권의 인구 집중과 교통난이 심각하다는 증거이기도 하다. 또한 [[2014년]] 들어 화곡홍대입구선을 [[서해선]] [[원종역]]까지 연장하려는 시도가 있었고, 위원회도 원종역을 종점으로 하게 되면서 원종홍대선으로 문서명이 바뀌었다가, [[대장역]]까지 연장도 추진되면서 [[대장홍대선]]으로 노선명이 한번 더 바뀌었다. [[송내역]] ~ [[상동역(부천)|상동역]] ~ [[신중동역]] ~ [[부천역]]을 지나는 [[부천트램]]을 추진하고 있다. === 일반열차 및 고속열차 === [[경인선]]의 선로 용량 상 여객열차를 투입하는 것이 거의 불가능하기 때문에 인근 [[광명시]]에 있는 [[경부고속선]] [[광명역]], [[서울특별시]]에 있는 [[경부선]] [[영등포역]], [[용산역]], [[서울역]]에 의존한다. [[SRT]]를 이용할 수 있는 [[수서역]]은 인천과 부천 지역에서 거리가 꽤 되는 편이라 [[수서역]]까지 가서 열차를 이용하는 경우는 드물다.[* 부천시 외에도 경기북부 지역은 서울역, 용산역, 영등포역, 청량리역이 편리하기 때문에 굳이 SRT를 타러 수서역까지 갈 이유가 없다.]다만 [[광명역]]은 부천시내에서 [[부천 버스 75|75번]], [[부천 버스 G8808|G8808번]] 버스를 타고 가거나 차량으로 20~30분 정도면 이동이 가능하지만 대다수의 부천시 사람들은 대부분 [[광명역]]이 아닌 [[수도권 전철 1호선]] 열차를 타고 [[서울역]]이나 [[용산역]]에서 KTX를 이용하거나, 부천시내에서 서울역으로 향하는 광역버스인 [[인천 버스 1300|1300번]], [[인천 버스 1301|1301번]], [[인천 버스 1302|1302번]] 등을 타고 [[서울역]]에서 KTX를 이용하는 경우가 상당수이다. [[부천역]] 기준으로 [[수도권 전철 1호선]] 일반열차를 이용하면 용산역은 31분[* 급행열차 기준으로는 23~25분], 서울역은 37분, [[신중동역]]에서는 [[수서역]]이 1시간 20분 가량 소요되며, [[부천종합터미널]]이나 [[송내역]]에서 탈 수 있는 [[부천 버스 G8808|G8808번]]을 이용하면 광명역은 부천종합터미널에서 25~30분 정도 소요된다. == 버스 == 부천시는 면적은 작지만 그래도 부천에서 버스로 어디 못가는 일은 거의 없다. 심지어 [[부천 버스 12-1|부천에서 유일하게 남은 대장동 시골마을에까지]] 시내버스가 들어간다! 종점이긴 하지만. 다만, 도로교통 환경과 비슷하게 [[경인선]]을 기준으로 부천 북부와 남부가 따로 노는 경향이 있다. 물론 고가를 통해 경인선을 넘는 버스가 없는 것은 아니지만 부천의 특성상 굳이 불편을 감수하면서 북부와 남부를 넘나들 필요가 없기 때문. === [[시내버스]] === [[부천시 버스 목록|부천시 시내버스 노선]]의 대부분은 [[소신여객]]이 담당하고 있으며, [[부천버스]]의 버스들도 열심히 [[가축수송(교통)|가축수송]] 중이다. [[부천 버스 88]], [[부천 버스 83]], [[부천 버스 10]] 참조. 게다가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노선([[신길교통]], [[세풍운수]])도 진출해 있고, [[인천광역시 시내버스]] 역시 시내 및 광역버스 노선들이 상당수 진출해 있다. 남부 지역에는 [[시흥시]] 및 [[안산시]] 버스([[시흥교통]], [[경원여객(안산)|경원여객]])들도 들어오며, 최근에는 [[KD 운송그룹]]([[경기고속]], [[대원고속]], [[진명여객]]), [[고양교통]], [[김포운수]], [[화영운수]] 등 경기도 타지역 면허 노선들도 진출해 있다. [[수원시]], [[성남시]]([[분당신도시]]), [[고양시]]([[일산신도시]]) 등의 여타 수도권 도시들에 비해 서울을 포함한 시외로 나가는 [[광역버스]] 및 [[좌석버스]] 노선이 상당히 적은 편인데, 부천은 [[수도권 전철 1호선]]([[경인선]]), [[서울 지하철 7호선]]이 강력한 힘을 발휘하는 '''[[철도]] 초강세 지역'''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서울 도심이나 [[서울/강남|강남]] 방면 광역버스는 부천시 관내 업체가 아닌 [[더월드교통]], [[선진여객]] 등 [[인천광역시]] 업체의 노선들이 경유하고 있으나[* 이는 철도와는 상관없이, 경인선이 전철화가 되기 이전 시외버스.고속버스 시절부터 부천시는 [[삼화고속]]이 독점하여, 갑질을 행세하던 지역이였다. 삼화고속은 인천시에 압력을 행사해서 바가지 고액 운임을 징수하였고, 부천시 관내 업체가 강남.도심행 노선을 못 만들게 막은 것은 물론이고 인천 관내 업체 및 타지 업체가 부천 경유 광역버스 노선 신설 및 부천에서 서울로 나가는 노선을 만들지 못하게 막은 것이다. 당시 부천에서 운행중이던 직행좌석버스인 700번, 905번(현 83)도 서울시 승인을 다 받았으나 삼화고속이 길길이 날뛰며 강력한 반발로 실패했다고 한다.], 코로나19 사태와 기사부족이 맞물려 승객이 급감하면서 배차간격이 엄청나게 늘어나게 되어 예전처럼 기다려서 타기는 힘든 수준이 되었다. 2023년 현재 부천시 면허 좌석버스는 [[여의도]] 방면의 [[부천 버스 700|700번]] 일반좌석버스 1개 노선과 [[광명역]], [[범계역]] 방면의 [[부천 버스 G8808|G8808번]] 직행좌석버스 1개 노선이 운행중이다. 다만 [[강서구(서울특별시)|강서구]], [[양천구]], [[영등포구]], [[구로구]] 방면의 도시형버스 노선은 많이 있다. 특히 [[부천 버스 88|경인로]] [[부천 버스 83|빗자루]] [[부천 버스 10|삼총사]]는 승객을 쓸어담는다. [[봉오대로]]에는 [[청라-강서 BRT]] 노선으로 [[인천 버스 7700|7700번]]이 운행 중이다. 다만 봉오대로 자체가 부천 북부 끝자락에 있어 접근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부천시 이용객은 거의 없다시피 한다.(...) 여담으로, 버스가 언제 도착하는지 알려 주는 '[[버스정보시스템]](BIS)'를 2001년에 '''전국 최초'''로 도입한 도시이기도 하다. 초기에는 오류가 잦았으나 지금은 정확도가 매우 높다. 서울시가 버스노선 개편을 하기 전부터 버스노선 번호만 보고도 어느 방향인지 알 수 있는 노선번호 체계를 이미 오래전부터 구축했던 것으로 유명하다. 인접 지자체인 인천광역시, 시흥시, 안산시, 광명시, 김포시와 마찬가지로 관외 업체에 적대적인 편이지만, [[서울 버스 6615|6615번]]의 [[역곡역]] 진입을 허가하는 등 경기 서남부 지역에서는 그래도 타 지자체와 말이 잘 통하는 축에 속한다.[* 바로 아랫동네인 시흥시([[경원여객(안산)|경원여객]], [[시흥교통]])와 광명시([[화영운수]])의 악연은 말할 필요가 없고, 인천광역시와도 [[인천 버스 909|노선 개통 문제로 송내역에 진입하지 못할 뻔했다.]]] 코로나-19 및 [[경기도 공공버스]]의 여파로 인한 시내버스 감차가 거의 없었던 지역이다.[* 다만 소신여객의 규모가 축소되어 노선이 많이 줄어들었다.] 다른 동네에서 부천시의 배차간격을 보고 손가락 쪽쪽 빨고 있다. === [[고속버스]] 및 [[시외버스]] === [[부천종합터미널]]에서 이용할 수 있다. 하지만 적은 고속버스 노선과 긴 배차 간격 때문에 [[서울고속버스터미널]]이나 [[인천종합터미널]]까지 가서 이용하는 경우도 종종 보인다. [[부천종합터미널]]을 갈 때에는 '소풍'이라고 말하면 다 알아듣는다. 일부 택시기사들은 '부천터미널'이라고 말하면 못 알아듣고 '소풍'이라고 말하면 잘 가준다. 인근에는 [[부평역시외버스정류장]]도 있지만 그 쪽의 경우 [[수원시|수원]], [[성남시|성남]] 등으로 한정되어 있는 것이 함정.[* 부천시민들이 부평을 들리는 경우는 [[부천 버스 16|16]], [[인천 버스 24|24]], [[인천 버스 37|37]], [[부천 버스 53|53]], [[인천 버스 87|87번]] 같은 노선보다는 [[서울 지하철 7호선]]을 이용하여 [[부평구청역]]에 내려서 [[부평역]]까지 인천 1호선을 이용하는 경우가 더 많고 구도심 성격이 짙은 곳은 [[부천 버스 88|부천쌍팔]]을 이용하거나 혹은 [[송내역]]을 통해 [[인천 버스 11|11번]]과 [[인천 버스 47|47번]]을 이용하여 [[부평역]]까지 오는 경우도 있다. 다만 [[인천 버스 14-1|14-1]], [[인천 버스 103-1|103-1번]] 등 다른 노선들은 부평역을 거치지 않는다. [[인천 버스 30|30번]]이나 [[인천 버스 302|302번]]도 있지만 너무 돌아서 가므로 논외.] 그 외에도 [[송내역]](남부)에는 시외버스 정류장이 있어서, 일부 부천발 시외버스들이 경유해서 내려간다. ==== 직행 [[고속버스]] 및 [[시외버스]] 노선 ==== ||<-3> [[부천시]]에서 직행 [[고속버스]] 및 [[시외버스]] 노선 || ||<|5> [[부천종합터미널]] 연계 || 수도권([[서울특별시|서울]], [[인천광역시|인천]], [[경기도|경기]]) || 동서울, 성남, 용인, 수원, 이천, 안성, 평택, 고양, 화성(향남), 파주(문산), 안양, 안산, 오산, 인천공항 || || 강원권([[강원도|강원]]) || 강릉, 양양(낙산), 속초, 영월, 정선, 태백, 원주, 춘천 || || 충청권([[대전광역시|대전]], [[세종특별자치시|세종]], [[충청남도|충남]], [[충청북도|충북]]) || 대전, 세종, [[시외버스 부천-공주|공주]], 논산, 당진, 보령, 서산, 제천, 천안, 청주, 충주, [[시외버스 부천-태안|태안]], 진천, 증평, 옥천, 영동, 보은 || || 영남권([[대구광역시|대구]], [[부산광역시|부산]], [[울산광역시|울산]], [[경상남도|경남]], [[경상북도|경북]]) || 대구, 부산, 구미, 영주, 안동, 진주, 창원, 경주, 포항, 함양, 김천, 문경, 상주 || || 호남권([[광주광역시|광주]], [[전라남도|전남]], [[전라북도|전북]]) || [[시외버스 부천-광주|광주]], 전주, 익산, 군산, 목포, 순천, 영광, 함평, 무안, 정읍, 남원, 광양 || == [[택시]] == 과거부터 [[송내역]]과 수변로[* [[부개역]]에서 삼산동에 이르는 도로. 이 길이 부천-인천 간 시 경계다.]에서 인천 택시를 타고 내릴 경우 시외할증을 받지 않는다. 부천 지역 택시 회사는 총 8 개가 있으며 달성운수(달성), 동창운수(동창), 동산운수(동산), 부천운수(부천), 삼신교통(삼신), 신일교통(信), 조인산업(조인), 부천희망택시협동조합이다. 삼신교통 택시등은 다른 택시회사와 다른 독특한 모양을 사용하고, 신일교통은 택시등 측면에 적색 원안에 한자로 신(信)이 적혀있는 것이 특징이다.[* 단, 카카오T 블루나 마카롱 등 가맹택시는 해당 가맹사의 가이드라인을 따름] 부천시 소속 택시는 법인, 개인 모두 번호판이 '''경기37바'''로 시작하니 서울이나 인천 등 부천 밖에서 부천 택시를 타고자 할 때 참고하자. 여담으로, 간혹 인천 면허 택시를 [[상동역(부천)|상동역]]이나 [[부천시청역]]까지 타더라도 시외할증을 받지 않는 경우도 있다. == 항공 == [[김포국제공항]]과 매우 인접해 있어 시내버스를 이용하여 갈 수 있으며 [[수도권 전철 서해선]] 개통으로 접근성이 더 좋아졌다. [[부천 버스 3|3번]], [[부천 버스 50|50번]], [[부천 버스 50-1|50-1번]], [[부천 버스 71|71번]], [[시흥 버스 12|12번]][* 다만 12번 배차간격이 60~100분이라 12번을 탈 때는 버스 도착정보를 보고 타도록 하는게 좋다.] [[인천국제공항]]으로 갈 경우 [[인천 버스 302|302번]], [[공항버스 7001|7001번]]을 이용하여 [[인천국제공항]]으로 갈 수 있으나 [[공항버스 7001|7001번]]은 '''1일 8회만 운행'''하고 있어 이용하기 어렵고 [[인천 버스 302|302번]]은 좌석버스 면허로 운행되고 있어서 공항 통근 직원 등 승객을 우선한다는 등의 명분으로 여행용 가방을 든 승객을 합법적으로 승차거부하는 경우가 잦다. 버스에 여행용 가방을 싣지 못할 경우 [[계양역]], [[검암역]], [[김포공항역]]으로 돌아가서 [[인천국제공항철도]]를 이용하거나, 최후의 수단인 택시를 타는 수밖에 없다. 단, 302번은 인천공항 제2여객터미널로 가지 않으므로 만약 302번을 타고 인천공항 제2여객터미널까지 가야 한다면 제1여객터미널에서 셔틀버스로 환승해야 한다.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부천시, version=1893, paragraph=4.4.)] [[분류:부천시의 교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