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부천시의 버스)] [include(틀:경기도의 따복버스)] || [[파일:청우58번_뉴카운티.png|width=100%]] || [[파일:청우58-A번_레스타.png|width=100%]] || || 58번. || 58-A번. || [목차] == 노선 정보 == ||<-6><:><#33cc99>{{{#ffffff 부천시 일반시내버스 58번}}}|| ||<-6><:> {{{#!folding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청우58-A노선도.png|width=100%]]}}}|| ||<-2><:>기점||<:>경기도 부천시 고강동(은행단지)||<-2><:>종점||<:>경기도 부천시 오정동(덕산중고교.덕산초교)|| ||<|2><:>종점행||<:>첫차||<:>05:00||<|2><:>기점행||<:>첫차||<:>04:53|| ||<:>막차||<:>00:26||<:>막차||<:>00:00|| ||<-2><:>배차간격||<-4><:>아침, 저녁 16~25분/ 낮 12~15분[*A 통합 배차간격이며, 각각은 24~30분으로 다닌다.]|| ||<-2><:>운수사명||<:>[[청우운수]]||<-2><:>인가대수||<:>3대|| ||<-2><:>노선||<-4><:>은행단지 - [[국립과학수사연구원|서울과학수사연구소]] - 미도아파트 - 가구전시장 - 새마을금고앞 - 고강아파트 - 삼거리 - (→ 수주중 →/← 고강동철탑 ← 수주고 ←) - 고강1주민지원센터.수주어린이공원 - 고강시장입구 - 서림아파트 - 원종사거리 - 동문아파트 - 신동문아파트 - 오정어울마당앞 - 덕산중고교.덕산초교|| ||<-6><:><#b62367>{{{#ffffff 부천시 맞춤형버스 58-A번}}}|| ||<-6><:><#f8931f>{{{#000000 '''일요일, 공휴일에만 운행'''}}}|| ||<-2><:>기점||<:>경기도 부천시 고강동(은행단지)||<-2><:>종점||<:>경기도 부천시 오정동(덕산중고교.덕산초교)|| ||<|2><:>종점행||<:>첫차||<:>10:00||<|2><:>기점행||<:>첫차||<:>10:30|| ||<:>막차||<:>17:00||<:>막차||<:>17:30|| ||<-2><:>배차||<-4><:>12~15분[*A]|| ||<-2><:>운수사명||<:>[[청우운수]]||<-2><:>인가대수||<:>3대|| ||<-2><:>노선||<-4><:>'''58번과 동일하게 운행.'''|| ||<-6><:><#b62367>{{{#ffffff 부천시 맞춤형버스 58-B번}}}|| ||<-6><:><#f8931f>{{{#000000 ''' 평일, 토요일에만 운행'''}}}|| ||<-6> {{{#!folding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청우58-B노선도.png|width=100%]] }}} || ||<-2><:>기점||<:>경기도 부천시 대장동(대장공영차고지)||<-2><:>종점||<:>경기도 부천시 춘의동(부천종합운동장)|| ||<|2><:>종점행||<:>첫차||<:>06:00||<|2><:>기점행||<:>첫차||<:>06:25|| ||<:>막차||<:>23:30||<:>막차||<:>23:25|| ||<-2><:>배차||<-4><:>24~30분|| ||<-2><:>운수사명||<:>[[청우운수]]||<-2><:>인가대수||<:>3대|| ||<-2><:>노선||<-4><:>[[대장공영차고지]] - 오정물류단지1단지 - 오정산업단지 - 오정샛말주택단지 - 덕산고, 봉오대로사거리 - 세종아파트 - 덕산중학교.오정대공원 - 오정동행정복지센터 - 월산장미아파트 - 성곡동행정복지센터.홈플러스여월점 - 여월휴먼시아1단지 - [[부천종합운동장역]](4번 출구) - 부천종합운동장|| == 개요 == [[청우운수]]에서 운행 중인 시내버스 및 맞춤형버스 노선.([[http://www.gbis.go.kr/gbis2014/schBus.action?cmd=mainSearchText&gubun=busInfo&searchText=58&routeId=210000041|58번]], [[http://www.gbis.go.kr/gbis2014/schBus.action?cmd=mainSearchText&gubun=busInfo&searchText=58-A&routeId=210000098|58-A번]], [[http://www.gbis.go.kr/gbis2014/schBus.action?cmd=mainSearchText&gubun=busInfo&searchText=58-B&routeId=210000099|58-B번]]) == 역사 == * 016번 마을버스가 전신이다. 이 때는 고강동 은행단지[* [[시흥시]] 은행동이 아닌, [[경인고속도로]] 옆에 딸려 있는 조그마한 마을이다.]와 고강동철탑(부천 - 서울시계 지점)을 잇는 노선이었다. * 2007년 10월 1일에 청우운수가 시내버스 회사로 전환되면서 시내버스로 전환되었고, 번호도 58번으로 바뀌었다. 시내버스로 형간전환된 이후에도 한동안 마을버스 요금을 받았다. * 2014년 10월 21일에 '고강동철탑 - 서림아파트' 구간이 연장되었다. * 2014년 11월 1일에 '서림아파트 - 오정구청(현 오정어울마당)' 구간이 연장되었다. * 그동안 전철역 연계가 되지 않는 등의 이유로 지속된 적자를 만회하기 위해 2018년 3월 19일에 전체 인가대수 중 3대가 분리돼 [[맞춤형버스]]로 전환되었으며, 기존 58번 노선 그대로 운행하는 58-A번과(전환되지 않고 남은 58번과 함께 다닌다) 신설 노선인 58-B번으로 이원화됐다. 요일에 상관없이 출퇴근 시간대에는 58-A번으로, 낮 시간대는 58-B번으로 운행했다. [[https://blog.naver.com/bucheon-city/221232013391|관련 게시물]] 차량 도색은 맞춤형버스 전환 1달 가량 이전에 미리 완료하였다. [[http://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transit&no=27471|관련 게시물]] * 2018년 7월 21일에 로얄아파트 경유에서 기존처럼 서림아파트 경유 구간으로 원상복귀되었다. * 2019년 12월 7일부터 58-A번이 출퇴근 시간대 운행에서 낮 시간대 운행으로 바뀌었고, 58-B번이 낮 시간대 운행에서 출퇴근 시간대 운행으로 바뀌었다. 대신 58-A번이 운행하지 않는 출퇴근 시간대에는 동일 노선인 58번의 배차간격이 단축됐다. [[http://m.dcinside.com/board/transit/191083|관련 게시물]] == 특징 == * 신월7동에 위치한 [[국립과학수사연구소]]까지 가기는 가는데, 정작 정류소는 고강동에 있다. [[화곡역]] 인근의 광영고를 코앞에 두고 우회전 한다. 거기서 우회전을 안 하고 건너서 좀만 가면, [[서울특별시]] 신월3동 시계지점이 나온다. 58번 국과수 정류소에서 내려서 6624번 정류소로 걸어가면 [[양천구]]...[* 비슷한 예로 [[강일동]]을 가는데, [[상일동역]]은 못 가는 [[하남 버스 5|하남 5번]]이 있다.] * 과거 철탑까지 가던 시절에는 행선지에 "화곡역(연계)"라고 적혀 있었으며, 말 그대로 철탑에서 [[부천 버스 59|59번]]과 연계하여 화곡역으로 가는 노선으로 운행되었다. 또한 [[국립과학수사연구소]]에서 [[서울 버스 6624|6624번]]을 이용하여 서울로 나가는 수요도 있었다. 그러나 철탑에서 더 연장된 지금은 이 외에도 원종사거리로 가는 수요 등 다양한 수요층이 생겼으며, 반면에 [[부천 버스 59|59번]]과의 연계는 많이 약화되었다. * 원종동 성오로 연선에서 [[서울 지하철 7호선]]을 이용하려면 [[까치울역]]으로 가는 [[부천 버스 017|017, 017-1번]]이나 부천종합운동장역으로 가는 [[부천 버스 95|95번]]을 타고 원종2동 북쪽을 돌아 소사로를 통해 나가거나, [[경인고속도로]] 굴다리(여월교)를 지나 수도로에 있는 베르내천 정류장에서 부천종합운동장역으로 가는 [[부천 버스 60|60번]]을 타야 했다. 하지만 58-B번이 개통하면서 일부 시간대 한정이지만 성오로 남쪽과 소사로로 쭉 달려 바로 부천종합운동장역으로 갈 수 있는 교통수단이 생기게 됐다. * 기존 노선 자체가 맞춤형버스로 전환된 것이 아니라 일부만 전환된 것이기 때문에, 기존의 58번 루트를 이용하는 사람들은 58번하고 58-A번 중에 아무거나 타도 상관없다. 낮 시간대에 배차만 길어진다고 생각하면 된다. * 양천구 신월동 경계선 인근을 지나가지만 서울시 정류장이 없으므로 서울 유출입 노선이 아니다. 심지어는 정류장 위치 조차도 다르다. [[서울 버스 6624|6624번]]은 국과수 앞인데, 58번은 국과수를 앞에 두고 뜬금 없이 우회전을 해서 152번길로 들어가자마자 정류장이 나온다. 때문에 국립과학수사연구소 정류소에서 하차하면 [[서울 버스 6624|6624번]]과 간접 연계가 되는 셈. 이것은 58-1 58-A번도 마찬가지. --한 걸음 차이로 부천과 서울을 오간다-- * '''기본요금제''' 노선이다. == 연계 철도역 == === 58번, 58-A번 === * [[대곡소사선]] 개통전까진 없다. === 58-B번 === * [[서울 지하철 7호선]]: [[부천종합운동장역]] == 관련 문서 == * [[부천시 버스 목록]] [[분류:부천시 시내버스]][[분류:따복버스]][[분류:2018년 개업한 버스 노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