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지질구조가 연속적이지 않고 큰 시간적 단절이 있는 지질구조를 말한다. 퇴적층이 형성되는 과정에서 지표면이 [[융기]]하고 융기된 지층이 침식된 이후 [[침강]], 다시 퇴적을 반복하며 만들어진다. 융기와 퇴적이라는 엄청난 시간이 걸리는 지질활동을 통해 형성되므로, 상하층의 시간차가 매우 크다.[* 에든버러의 시카포인트 부정합면의 경우 6억 5000만년, 우리나라 동해안권의 부정합의 경우 시간 간격이 24억년이다.] 시간적 공백이 있는 두 층사이의 경계를 부정합면, 또는 불연속면 이라고 하고, 상부의 퇴적층에서 하부의 지층 성분으로 구성된 기저역암이 발견된다. 이를통해 지층의 역전 여부를 판단 할 수 있다. 또한, 지층이 융기할 때 마다 퇴적이 중단되며 부정합면이 만들어지므로, 지층의 융기횟수가 최소 (부정합면+1)회 임을 알 수 있다. 대부분의 부정합은 지층이 역전되지 않았을 경우 부정합면 위쪽에 기저역암이 관찰된다 == 종류 == * 평행부정합 - 위의 생성과정으로 만들어진다. * 경사부정합 - 지표면이 융기할때, 또는 융기하기 이전에 습곡작용을 받아 지표가 수면과 나란하지 않게 된 상태에서[* 지층은 수면과 나란하게 퇴적된다.] 침식, 퇴적작용을 받아 형성된 부정합을 말한다. * 난정합 - 융기되는 지표면이 심성암과 변성암과 같은 지층의 층서를 구별하기 힘든 암석으로 되어있는 경우이다. 다른 부정합들에 비해 시간적 단절이 더 크다. [[분류:지질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