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고려의 왕자/국조 ~ 문종)]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9D00, #FFB200 20%, #FFB200 80%, #FF9D00)" '''고려의 제왕[br]고려 문종의 왕자[br]{{{+1 왕수 | 王㸂 }}}'''}}} || || '''츨생''' ||연대 미상 || || '''사망''' ||[[1112년]]^^([[예종(고려)|예종]] 12년)^^ [[6월 10일]] || || '''본관''' ||[[개성 왕씨]] || || '''휘''' ||수(㸂) || || '''부모''' ||부왕 [[문종(고려)|문종]] 모친 [[인경현비]] || || '''형제자매''' ||[[문종(고려)#가족관계|13남 7녀 중 12남]] || || '''배우자''' ||적경궁주(積慶宮主) 왕씨[* [[인예왕후]]의 딸로 부여공 왕수에게는 이복동생이 된다.]|| || '''자녀''' ||사공(司空) 왕면(王沔) || || '''지위''' ||[[제왕#諸王]](諸王) || || '''직위''' ||개부의동삼사 검교사공 (開府儀同三司 檢校司空) 수상서령 상주국 부여후 (守尙書令 上柱國 扶餘侯) 수사도(守司徒) 수태부(守太傅) || || '''작위''' ||''' 부여후(扶餘侯)''' || [목차] [clearfix] == 개요 == [[고려]] [[문종(고려)|문종]]의 왕자. 휘는 수(㸂), 작위는 부여후다. == 생애 == [[문종(고려)|문종]]의 아들로 [[순종(고려)|순종]], [[선종(고려)|선종]], [[숙종(고려)|숙종]]의 이복동생이자 이종사촌이다. [[순종(고려)|순종]], [[선종(고려)|선종]], [[숙종(고려)|숙종]]의 어머니인 [[인예왕후]]와 부여공 왕수의 어머니인 [[인경현비]]는 자매이다. [[문종(고려)|문종]] 34년인 1080년 1080년 3월 3일 개부의동삼사 검교사공(開府儀同三司 檢校司空) 수상서령 상주국 부여후(守尙書令 上柱國 扶餘侯)에 책봉되었으며, 식읍 1,000호를 하사 받았다. [[선종(고려)|선종]] 3년인 1086년 2월 21일에 수사도(守司徒)와 식읍 2,000호 더해주었고, [[선종(고려)|선종]] 11년인 1094년에는 수태보(守太保)로 승진시켰다. [[숙종(고려)|숙종]] 즉위년인 1095년 10월 18일엔 수태부(守太傅)에 식읍 3,000호와 식실봉(食實封) 300호가 제수(制授)되었다. 그러나 [[숙종(고려)|숙종]] 4년인 1099년 11월 3일 왕위에 오르려 한다는 소문에 얽혀 경산부(京山府) 약목군(若木郡)[* 현재 [[경상북도]] [[성주군]]]으로 유배된다. 하지만 [[숙종(고려)|숙종]]은 부여공 왕수가 유배지에서 읽을 수 있게 유학과 불교 서적을 하사하였다. [[예종(고려)|예종]] 7년인 1112년에 또 죄를 지어 거제현(巨濟縣)[* 현재 [[경상남도]] [[거제시]]]으로 유배지를 바꾸게 된다. 이 때 아들 왕면(王沔)도 진례현(進禮縣)[* 현재 [[충청남도]] [[금산군]]]으로 유배를 가게된다. 그러나 1112년 6월 10일 부여공 왕수는 거제현으로 가는 도중 현풍현(玄風縣)[* 현재 [[대구광역시]] [[달성군]]]에 이르러 사망한다. 부여공 왕수가 길에서 죽자 [[예종(고려)|예종]]은 사흘 동안 조회(朝會)를 멈추었고, 신하들은 왕에게 표문(表文)을 올려 위로하였다. 그 이듬해인 1113년 부여공 왕수의 아들 왕면(王沔)을 불러 사공(司空)의 직위를 환원해 주었다. == 가족관계 == 1086년 2월 8일 당시 왕이였던 이복형 [[선종(고려)|선종]]의 결정으로 이복동생인 적경궁주(積慶宮主)와 혼인하여 슬하에 아들 사공(司空) 왕면(王沔)을 두었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문종(고려) , version=571)] [[분류:고려의 왕자]][[분류:고려의 후작]][[분류:1112년 사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