傅巽 (? ~ 227년~233년 사이에 사망) [목차] == 개요 == [[후한]] 말 위나라의 문관이자 [[부하(삼국지)|부하]]의 백부로[* 즉 큰아버지다.] 양주 북지군 이양현 사람. 자는 공제(公悌)로 체모가 크고 통달하였으며 사람보는 안목이 있었다고 한다. == 생애 == 본래 공부에 상서랑으로 있었는데 후에 형주의 빈객으로 가서 [[유표]]를 섬기고 있었다. 그러다 209년 조조가 쳐들어 오기 직전 유표가 죽고 [[유종(삼국지)|유종]]이 그 뒤를 잇자 [[괴월]], [[한숭]], 부손은 유종에게 항복을 권하는데 유종이 계속 거부하자 부손이 말하길, > 거스르고 순응함은 마음에 있고, 강함과 약함은 세상을 정하는데 있다고 하겠습니다. 신하로서 군주를 막는 것은 반역이며, 새로 초나라를 건설하여 국가를 통제함으로 조조의 세력을 막을 수 없으며, [[유비]]가 조조의 적수가 된다 하나 또한 당해낼 수 없습니다. 이 세가지 모두 단점이어서 조조의 군대를 막으려 한다면 반드시 패망하는 길이 될 것입니다. 그 말을 듣고도 유종이 반대를 하자 부손이 다시, >진실로 유비가 조조를 막아낼 수 없으면 비록 초땅을 보존한다 할지라도 스스로 존립할 수 없으며, 진실로 유비가 조조를 막아낸다고 한다면 유비는 장군 밑에 있을 사람이 아닙니다. 장군께서는 의심하지 마소서. 라고 말하자 유종은 그제야 포기하며 조조가 양양에 도착하니 그에게 항복한다. 그 공으로 부손은 관내후에 봉해진다. 220년 [[조비]]가 즉위하자 시중이 되는데 여기서 [[소칙]]이 조비의 [[함정 카드]]에 빠져 죽을 위기에 처하자 눈짓으로 겨우 말려 그를 살려 놓는다. 사람을 보는 안목이 뛰어나 [[봉추]] [[방통]]을 보고는 "재지(재주와 지략)가 뛰어난 영웅이지만 기량(재능과 도량)이 불완전하다."는 평을 남겼고, [[배잠]]을 보고는 "그의 청렴한 행실이 곧 그에게 보답을 할 것."이라고 하였고 당시 기대주로 이름을 모았던 [[위풍(삼국지)|위풍]]을 보고는 "결코 큰 자리에 오르지 못할 것이며 훗날 위나라에 반기를 들 것."이라고 하였다. == 미디어 믹스 == ||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760.jpg|width=400]] || || 삼국지 12, 13, 14 || [[삼국지 시리즈]]에는 내정형 문관으로 등장한다. 특별히 까일 게 없었는데 능력치가 박한 것은, 유종을 설득하여 조조에게 항복하여 촉빠인 코에이에게 밉보였기 때문일 가능성이 크다. [[삼국지 3]]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다. 시리즈 내내 성품이 '탐욕/사욕'으로 설정되어 있는 것도 주목할 부분. 사실 정사든 연의든 딱히 그가 사욕적이라거나 욕심 때문에 항복을 권했다고 보긴 힘든 상황인데, 단지 항복을 권했다는 이유로 이런 성향을 받는다는 건 부당하다는 평가가 있다. 다만 똑같이 항복을 권한 장소도 성격이 탐욕으로 설정된 적이 있고 청렴하기로 유명한 주연도 탐욕으로 설정되어 있는 거 보면[* 그나마 [[주연(삼국지)|주연]]은 [[삼국지 14]]에 와서 개성 소욕을 받은 것으로 제대로 재현되었다.] 그냥 코에이가 고증을 개판한 것이다. [[삼국지 3]]에서는 시나리오 1에서 재야에 있다가 유표에게 등용된다. 시나리오 2 이후에는 유표의 부하로 있는다. 가끔 유표가 등용에 실패하거나 매복을 쓰면 손견의 영지로 흘러들어가기도 한다. [[삼국지 5]]는 '''부손의 리즈시절이다.''' 정치력 79로 가장 높은데다가 열심히 굴리다보면 점술 특기를 배워 전장터에서 로또를 노리고 기용할 수가 있다. 물론 무력이 허접하고 군사도 아닌지라 정말 답 안 나오는 약소세력이 아닌 이상은 웬만해선 전장에서 중용할 일은 없을 것이다. 비슷한 문관으로 [[초주]], [[허정(삼국지)|허정]]도 '''점술'''을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엄백호로 시나리오1(황건적의 난)을 플레이할 경우 엄백호의 난이도를 확 떨어뜨려주는 일등공신인데 오에서 시작하는 엄백호는 비록 부하가 엄여 하나 뿐이지만 건업을 비롯한 주요 땅들이 죄다 공백지들이라서 장수를 좀 모으고 형주까지 진출하여 재야에 있는 부손을 얻으면 든든한 힘이 되어준다. 또한 엄백호도 상성이 유표랑 근접해서 유표 쪽과 궁합에 있는 부손과의 상성까지 좋아 등용하기도 좋다.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16/무력 13/지력 70/정치력 71. 전장에서 써먹을 병법은 매도 하나뿐이며 그 이외의 병법으로는 조영이 있다. 내정이나 시키자.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13/무력 10/지력 70/정치력 71/매력 45에 특기는 겨우 3개. 간신히 70을 찍는 지력, 정치는 그렇다쳐도 매력이 45인 건 역시 코에이의 촉빠심을 보여준다고 밖에.... 상업 특기가 있어 그나마 내정용으로 쓸 만하다. 나머지 특기로 유인과 명사를 가지고 있다. [[삼국지 12]]에서의 일러스트는 의자에 앉은 채 왼손으로 턱을 만진 채 오른손을 펼치려 하고 있다. [[삼국지 13]]에서의 능력치는 통무지정 순으로 29/13/70/72. 특기는 농업 2, 설파 3. 전수특기는 설파로 전법은 수비지휘.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14, 무력 10, 지력 69, 정치 71, 매력 45로 전작에 비해 통솔력이 15, 무력이 3, 지력과 정치력이 각각 1 하락했다. 개성은 안목, 주의는 예교, 정책은 호적정비 Lv 3, 진형은 학익, 전법은 진정, 친애무장은 [[소칙]], 혐오무장은 [[위풍(삼국지)|위풍]]이다. 스탯이 별로라 내정용으로 쓰인다. [[파일:The Legend of Cao Cao Fu Xun.png]] [[삼국지조조전 Online]]에서는 본래 플레이어블로 등장할 예정이었다가 탈락 무장이 되었으며, 병과는 포차. 능력치는 무력 44, 지력 35, 통솔 70, 민첩 65, 행운 55. 이 초상화는 유방전 스토리에서 부소의 초상화로 쓰였다. [[삼국전투기]]에서는 신야2 전투 편에서 위의 유종에게 항복을 건의한 일화를 언급할 때 이름만 살짝 언급되었다. [[분류:후한의 인물]][[분류:한나라의 관료]][[분류:조위의 인물]][[분류:칭양시 출신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