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2 '''부성역'''}}} || ||<-3> [include(틀:지도, 장소=자강도 부성역, 너비=100%, 높이=225px)] || ||<-3> '''다국어 표기''' || || [[영어]] ||<-2> Pusŏng || || [[한자]] ||<-2><|2> 富成 || || [[중국어]] || || [[일본어]] ||<-2> - || ||<-3> '''주소''' || ||<-3> [[자강도]] [[희천시]] 부흥리 || ||<-3> '''관리역 등급''' || ||<-3> 불명[br] (개천철도총국) || ||<-3> '''운영 기관''' || || [[만포선]] ||<-2>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철도성|[[파일: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철도성 로고.svg|width=120]]]] || ||<-3> '''개업일''' || || [[만포선]] ||<-2> 1934년 11월 1일 || ||<-3> '''열차거리표''' || || [[순천역(평안남도)|{{{#585858 {{{#!html
순천 방면
}}}}}}]][[묘향산역|묘향산]][br]← 13.0 ㎞ || '''[[만포선]]'''[br]부 성 || [[만포청년역|{{{#585858 {{{#!html
만포청년 방면
}}}}}}]][[희천청년역|희천청년]][br]6.8 ㎞ → || {{{+1 富成驛 / Pusŏng Station }}} [목차] [clearfix] == 개요 == [[만포선]]의 철도역. [[자강도]] [[희천시]] 부흥리 소재. [[장진선]]의 [[부성역(장진선)|부성역]]과는 한자가 다르다. 그 쪽은 富盛. 원래 부성리에서 일부를 떼어서 부흥리를 신설했다가 부흥리가 부성리를 먹어버렸다(...) 부흥리가 신설된 것이 1949년이고 부성리를 통폐합한 건 1952년 군면리 대폐합 때 벌어진 일. == 역 주변 정보 == 역세권은 좋다. 대략 0.3㎢(여의도의 약 1/30 정도) 크기의 마을이 이 역을 중심으로 모여 있기 때문. 농지는 동쪽의 산지를 개간해서 만들었다. 마을 북쪽의 산은 대부분 [[민둥산]]. == 역 정보 == 승강장의 크기는 작지만, 마을의 크기가 있어서인지 일단 선로는 1면 4선이다. 구글 어스상으로 보면 해당 역에 정차해 있는 10량짜리 열차도 볼 수 있다. [[구장청년역]]부터 이 역까지 상당히 많은 열차를 볼 수 있는데, 이로 미루어보아 자강도가 [[김일성]] 우상화의 주 거점임을 추정해볼 수 있다. 이 문서는 [[자강도]] 내의 역 관련 문서 중 최초로 작성된 문서이다. [[순천역(평안남도)|순천역]] 기점 103.2km. [[분류:만포선]][[분류:북한의 철도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