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항공노선]][[분류:대한민국의 항공 교통]][[분류:부산광역시의 대중교통]][[분류:제주특별자치도의 대중교통]][[분류:김해국제공항]][[분류:제주국제공항]] [include(틀:문서가 존재하는 대한민국의 국내선 항공노선)] [목차] == 개요 == '''부산(김해) - 제주 / Busan(Gimhae) - Jeju / PUS-CJU or RKPK-RKPC'''[* 제주공항에서 김해행 노선을 표기할때는 '부산'으로 적어놓는다.] 대한민국 [[부산광역시|부산]]과 [[제주특별자치도|제주]]를 연결하는 노선으로 매년 310만 수요를 자랑한다. [[김포-제주 항공노선|김포-제주]] 노선, [[김포-부산 항공노선|김포-김해]] 노선과 함께 국내선 수송 '''TOP 3 노선''' 중 하나이다.[* 이렇게 해서 국내 항공 교통 거점 도시인 서울(김포), 제주, 부산(김해)이 삼각형을 이루게 된다. ] == 특징 == 김포-제주 노선, 김포-김해 노선에 이어 대한민국 국내선 항공 수송 3위 실적을 가지고 있다. [[제주특별자치도|제주도]]에 [[경상도]]의 물자를 반입하고, [[제주특별자치도|제주도]]의 특산물을 반출할 수 있는 노선[* 다만 택배, 특히 인터넷쇼핑몰등의 계약택배의 경우 대부분 김포나, 청주로 간다. 택배사들의 물류허브가 중부권에 위치하기 때문이다.]이며 [[김해국제공항|부산]]을 거쳐 중거리 여객 노선[* [[가덕도신공항]]이 생기면 [[대한항공]], [[아시아나항공]], 외항사 [[플래그 캐리어]] 등이 [[가덕도신공항|부산]]에 취항할 가능성이 높은데, 이 때는 [[북아메리카|북미]], [[유럽]], [[중동]], [[남아시아]], [[호주]], [[뉴질랜드]], [[오세아니아|대양주]], [[중앙아시아]] 및 [[러시아]] 노선 역시 많아지기 때문에 장거리 노선 환승도 빈번할 것이다. 일단 [[인천국제공항|서울]]보다 가깝고 환승하기 매우 유리하다.]으로 환승할 수 있는 유용한 노선이다.[* 대구, 청주는 국제선이 빈약하고 김포는 중국, 일본, 대만행 노선밖에 없다. 반면 김해의 경우 국제선과 국내선이 거의 붙어있다시피하고 항공편도 적지않게 있어 환승에 큰 불편이 없다.] [[에어부산]]은 [[A321neo]][* 232석] 기종을 투입한다. 코로나 시국 부산-제주 노선에 [[진에어]]는 B777을, [[대한항공]]은 A330을 투입했다.[* 김포-김해 노선은 대형기가 투입되지 않는다.] == 혼잡도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가축수송(교통)/사례/대한민국/항공기, 문단=2.4)] == 루트 == [youtube(Cpvu7giTZVA)] 이 노선을 운항하는 [[항로]]는 다음과 같다. 2022년 11월 30일 전까지 1개의 항로 (A586)만 사용했으나, 2022년 11월 30일 이후에 새로운 항로 2개를 (Y572, Y571) 신설하였다.[[http://www.jejusori.net/news/articleView.html?idxno=409980|온라인 뉴스 기사]] * 김해 → 제주 (Y572): ENGOT[* 김해국제공항 출발절차를 (SID-Standard Instrument Departure) 사용하여 ENGOT으로 나간다.]-POVOR[* 사천발 제주행 항공편은 사천공항 출발절차를 (SID-Standard Instrument Departure) 사용하여 POVOR으로 들어온다. 마찬가지로 여수발 제주행 항공편도 여수공항 출발절차를 (SID-Standard Instrument Departure) 사용하여 POVOR으로 들어온다.]-UPGOS[* UPGOS 이후 제주국제공항 도착절차를 (STAR-Standard Terminal Arrival Route) 이용해 접근한다.] * 제주 → 김해 (Y571): AKPON[* 제주국제공항 출발절차를 (SID-Standard Instrument Departure) 사용하여 AKPON으로 들어온다. 25활주로를 사용해 이륙한 항공편은 한라산을 좌선회로 한바퀴 선회하거나, 이륙 직후 우선회하여 AKPON으로 들어온다.]-NISAV[* 제주발 여수행 항공편은 NISAV에서 좌선회 후 여수공항 도착절차를 (STAR-Standard Terminal Arrival Route) 이용해 접근한다. 제주발 사천행 항공편도 마찬가지로 NISAV에서 사천공항 도착절차를 (STAR-Standard Terminal Arrival Route) 이용해 접근한다.]-ANROD[* ANROD 이후 김해국제공항 도착절차를 (STAR-Standard Terminal Arrival Route) 이용해 접근한다.] 이 항로 말고도 이전에 사용한 A586[* NON RNAV 전용](TOPAX[* 김해국제공항 출발절차를 (SID-Standard Instrument Departure) 사용하여 TOPAX으로 들어온다.][* TOPAX 이후 김해국제공항 도착절차를 (STAR-Standard Terminal Arrival Route) 이용해 접근한다.]-GOSBO[* 사천발 제주행 항공편은 사천공항 출발절차를 (SID-Standard Instrument Departure) 사용하여 GOSBO로 들어온다. 마찬가지로 여수발 제주행 항공편도 여수공항 출발절차를 (SID-Standard Instrument Departure) 사용하여 GOSBO로 들어온다.][* 제주발 사천행 항공편 GOSBO에서 사천공항 도착절차를 (STAR-Standard Terminal Arrival Route) 이용해 접근한다.]-MAKET[* MAKET 이후 제주국제공항 도착절차를 (STAR-Standard Terminal Arrival Route) 이용해 접근한다.][* 제주국제공항 출발절차를 (SID-Standard Instrument Departure) 사용하여 MAKET으로 들어온다. 25활주로를 사용해 이륙한 항공편은 한라산을 좌선회로 한바퀴 선회하거나, 이륙 직후 우선회하여 MAKET으로 들어온다.])을 사용할 수도 있다. 웨이포인트를 잘 모르는 사람들을 위해 쉽게 말하자면, [[대한해협]] 내에서 우리 영해 상공을 날아다닌다고 보면 된다. 이 때 [[비행기]]가 지나는 주요 지역들로는 [[경남]] [[거제도]], [[전남]] [[여수시|여수]] [[거문도]]가 있다. 남부지방 내에서 움직이기에 짧아보일 수도 있겠지만 의외로 서울-부산 간 노선과 비행 거리 차이가 크게는 안 난다. == 운항 항공사 == 현재 이 노선을 운항하는 항공사는 총 4개다. 일일 운항 횟수는 평균 26~29회[* 목, 금 26회 / 화, 수, 일 27회 / 월 28회 / 토 29회]로, 김포-김해 노선보다 횟수가 적다. 김포-김해 노선과 마찬가지로 대부분의 수요는 2개의 항공사가 책임지고 있는데, 이는 대한민국의 제 1민항사 [[대한항공]]과 [[김해공항]]에 본거지를 둔 [[에어부산]]이다. 에어부산이 취항하기 전에는 [[아시아나항공]]도 이 노선을 운항했지만, 모두 넘겨주고 김해공항 국내선에서 철수하였다. 운항 횟수는 성수기, 비성수기에 따라 조금씩 변경 될 수 있으니 참고바람. * [[에어부산]][* 일부노선은 [[아시아나항공]]과 공동운항한다.] - 일 평균 10~12회 왕복 운항 [* 월, 토 일 평균 12회 왕복 운항][* 수, 일 일 평균 11회 왕복 운항][* 대부분은 A321-200나 A321neo을 투입하지만, 간혹가다 A320 항공기도 투입되는 경우도 있다.] * [[대한항공]] - 일 평균 6회 왕복 운항 * [[제주항공]] - 일 평균 6~7회 왕복 운항[* 화, 토 일 평균 7회 왕복 운항] * [[진에어]] - 일 평균 4회 왕복 운항 == 기타 == * 김해공항 이착륙시에는 사진과 동영상 촬영 및 업로드가 금지되어 있으며 이를 위반할 경우 관련법에 의거해 처벌받게 된다. 이는 김해공항의 터미널을 제외한 대부분의 시설이 [[대한민국 공군]] 소유이며[* 쉽게 말해 이 땅은 공항이면서 [[군부대]]라는 소리다. 때문에 24시간 운영 가능한 [[가덕도신공항]] 건설 계획이 나왔다.], [[제5공중기동비행단]]이 주둔 중이기 때문이다. 다만 단순히 호기심 삼아 비행기를 촬영하는 것 정도만으로는 제재가 이루어지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