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화장시설)] ||<-2>
'''{{{#white {{{+1 부산영락공원}}}[br]釜山永樂公園[br]Busan Yeongnak Park}}}''' || ||<-2> [[파일:logo_n.gif]] || ||<-2> [include(틀:지도, 장소= 부산영락공원, 너비=100%, 높이=100%)] || || {{{#white '''개원'''}}} || [[1996년]] [[9월 26일]] || || {{{#white '''운영시간'''}}} || 09:00 ~ 18:00 || || {{{#white '''유형'''}}} || 화장시설 || || {{{#white '''관리 기업'''}}} || [[부산시설공단]] || || {{{#white '''주소'''}}} || [[부산광역시]] [[금정구]] [[두구동]] [[금정도서관로]] 108 || || {{{#white '''홈페이지'''}}} || [[http://yeongnakpark.bisco.or.kr/|[[파일:logo_n.gif|width=100]]]] || [목차] [clearfix] == 개요 == [[부산광역시]] [[금정구]] [[금정도서관로]] 108 ([[두구동]])에 위치한 종합장사시설이다. [[부산시설공단]]에서 운영하고 있으며 [[장례식장]]은 물론, [[화장장]], [[봉안당]](납골당), [[공동묘지]]가 한 곳에 위치해 있다. 부산광역시에 거주하거나 알만 한 사람들은 다 알지만 가끔 영락공원을 처음 들어본 외지인들은 웬 공원인 줄 안다 [[카더라 통신|카더라.]][* [[님비현상|화장장의 부정적인 이미지]]를 탈피하기 위해 공원이라고 명칭을 바꾼 것인데, 전국의 화장장들 중 이렇게 이름을 바꿔 부정적 이미지를 탈피하려는 시도를 한 곳이 몇 군데 있다. 특히나 부산에서는 [[대형교회]]인 부산영락교회가 원도심에 있기 때문에 이 교회에서 운영하는 공원인 줄 아는 사람들도 소수 존재한다. 주로 영락교회가 있는 원도심에서 이런 경향이 강하며, 나머지 부산 지역에 사는 주민들은 그런 착각은 없는 편이다. --잠깐만, 그럼 부산시 전체잖아?-- 외지인에게는 [[삼락동(부산)|삼락]]생태공원의 인지도가 더 높다보니 간혹 혼동하기도 한다. --0락 1락 2락 3락--] 어쨌든 부산에서의 화장률이 90%를 넘는데 대부분의 부산시민들이 살면서 맨 마지막으로 이용하는 시설이다. 장례는 다른 곳에서 하더라도 화장만큼은 이 곳으로 오게 되기 때문이다. == 역사 == || 1929년 || 1월 || [[서구(부산광역시)|서구]] [[아미동]] [[아미동 비석마을|비석마을]] 인근 부지[* 부산광역시 서구 까치고개로 159]에 '부영화장장' 신설. || || 1955년 || 5월 || [[부산진구]] [[당감동]]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55050700329203021&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55-05-07&officeId=00032&pageNo=3&printNo=2873&publishType=00020|이전 부지]] 확보 || || 1957년 || 12월 10일 || 당감동 화장장 [[http://mobile.busan.com/view/busan/view.php?code=19571211000047|개장식]]. || || 1959년 || || 당감동 부지로 이전하여 '당감동 공설 화장장'으로 영업 시작. || || 1966년 || 9월 || 두구동에 제1묘원 준공. || || 1967년 || 10월 || 묘지 안장 시작. || || 1977년 || 1월 || 봉안당(영락원) 안치 시작. || || 1978년 || || 당감동 화장장 이전 추진 및 택지 검토. (부산지역 5개소, 경남지역 16개소). || || 1981년 || 11월 || [[동래구청]]으로 묘지 관리권 이양. || ||<|2> 1987년 || 11월 30일 || [[https://mobile.busan.com/view/busan/view.php?code=19880526000299|업무 중단.]] || || 12월 || 당감동 화장장 폐쇄. 부산시교육위원회에 부지 매도. || || 1988년 || 1월 || 동래구에서 [[금정구]]가 분구되어 금정구청으로 묘지 관리권 이양. || || 1989년 || 4월 || 부산상업고등학교(현 [[개성고등학교]])가 [[부전동(부산)|부전동]](현 [[서면]] [[롯데백화점 부산본점]] 부지)에서 화장장 부지로 이전해옴. || ||<|2> 1995년|| 1월 || 영락공원관리사업소로 관리권 이양. || || 3월 || 금정구 두구동 묘지 이름을 영락공원으로 변경.[* 영락공원 홈페이지에서는 이날 영락공원이 '개원'했다고 적혀 있는데, 여기에 묘지는 1966년 준공 이래 계속 있었으므로 실질적으로는 명칭을 바꾼 것으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 화장장 운영 시작. || || 1999년 || 1월 || [[부산시설공단]]에서 수탁 관리. || 당감동 화장장이 업무를 중단한 1987년부터 영락공원이 개원하는 1995년까지 약 8년 간 공백이 있는데[*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89041400239113004&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89-04-14&officeId=00023&pageNo=13&printNo=20932&publishType=00010|1984년]] [[https://mobile.busan.com/view/busan/view.php?code=19841023000107|10월 하순에]] [[철마면]] 고촌리 산75번지 일대의 4만 1천여평 가량의 화장장 이전부지[* 현재의 실로암 공원묘원 진입로 인근이다.] 를 [[https://mobile.busan.com/view/busan/view.php?code=19880528000229|확정했고]] 현지 주민들의 동의와 중앙부처의 승인을 받은 상태로 당감동 화장장 부지 매각을 진행했으나 중간 지점의 [[해운대구]] [[반송동(부산)|반송동]] 주민들의 반대로 인해 철마면 이전이 취소되었는데, 문제는 당감동 화장장 폐쇄 및 부지매각은 그대로 진행됐다고 한다.] 이때 부산이 양산처럼 [[화장장]]이 없어서 마산, 진해, 밀양화장장을 분산하여 이용하다가 1992년에 마산화장장 시설만 이용하였다. --혐오시설이 [[님비현상|우리 동네에 있어도 욕하고]] [[핌피현상|없어도 욕하는]] 진풍경이 벌어졌다. [[인간의 욕심은 끝이 없고 같은 실수를 반복한다]]더니.-- == 시설 구성 == === 장제동(장례식장) === || '''층''' || '''시설''' || '''개소''' || '''비고''' || ||<|6>1층||88평 형 빈소||6개소|| 291.4㎡ || ||염습실||1개소|| || ||안치실||1개소||18구 안치가능[* 분향소를 차리지 않거나, 무연고자를 위한 임시 안치냉장고 7기 포함.]|| ||영결식장||1개소|| || ||관리사무실||1개소|| || ||상담실||1개소|| || ||<|3>2층||100평 형 빈소||5개소|| 337.5㎡ || ||식당/휴게실||1개소|| || ||접객실||11개소|| || === 공원묘지(매장묘) === 총 29,021구의 시신이 매장 가능한 공간이 조성되어 있으나 1980년 분양이 완료되어 현재는 매장 불가. 단, 개장 또는 이장[* 기존에 매장되어 있던 시신을 다른 곳에 옮겨 매장하거나, 유골을 화장하여 처리하는 것.] 하여 빈 자리가 생길 경우 분양 가능. [[장사 등에 관한 법률]] 개정으로 인해 최초 매장 후 15년 간, 10년 씩 3회에 한하여 연장이 가능하다.[* 즉, 최장 45년 간 매장이 가능하다. 이후에는 개장하여 화장처리 하여야 한다.] === 화장동(화장장) === 화장로 총 15기를 구비하고 있다. 1일 55~65구[* 총 15기의 화장로가 있다고 해서 모두 가동하지 않는다. 고장, 점검 등을 대비해서 여분의 화장로는 가동하지 않는다.] 화장이 가능하며, [[1월]]을 포함하여 [[윤달]] 등의 특수한 시기에는 1일 최대 70구까지 화장이 가능하다. 수골실은 총 3개소가 있다.[* 즉, 동시간대에 화장이 끝난 3구의 유골을 수습할 수 있다.] === 영락원(봉안당) === 총 3개의 건물로 나누어져 있다. || '''시설''' ||'''안장 구수'''||'''현황'''||'''비고'''|| ||제1 영락원|| 16,520구||<|3>만장||[* 1995년 03월 부 안장 가능 ~ 1999년 1월 부 안장 불가. 국가유공자 유골 280기 안장 중.]|| ||제2 영락원|| 63,600구||[* 1999년 03월 부 안장 가능 ~ 2007년 1월 부 안장 불가. 무연고자, 태평양 전쟁 피해자, 외국인 유골 안장.]|| ||제3 영락원|| 7,623구|| || 만장(滿葬)이라 함은, 포화 상태를 말하며 즉, 특별한 사유가 없는 이상 추가로 안장할 수 없다. 단, 봉안기간 15년+(연장 5년*최대 3회) 로 30년이 초과되어 유가족이 유골을 반환하여 공실(空室)이 발생할 경우 부산광역시 장사 등에 관한 조례 시행규칙에 의거하여 순번대로 봉안이 가능하다. 따라서 대부분의 망자들은 [[부산추모공원]]으로 향하고 있는 게 현실이다. === 영락정(유택동산) === 산골[* 화장한 유골을 가루로 만들어 지정된 장소나 산, 바다 등에 뿌리는 것. 한국에서는 강에 뿌리는 것을 금하고 있다.]이라는 장사방법이 있지만 자연환경 훼손을 사유로 권장하지 않는 관계로, 유골만 모을 수 있는 별도의 공간이 마련되어 있다. == 가는 방법 == === 시내버스 === * [[부산 버스 50]] * [[부산 버스 148]] * [[부산 버스 1002]](주간) * [[부산 버스 금정2-2]] * [[부산 버스 금정3-1]] * [[부산 버스 기장2-3]] * [[양산 버스 12]] * [[양산 버스 16]] * [[양산 버스 58]] * [[양산 버스 59]] * [[양산 버스 61]] * [[양산 버스 동면1]] * [[양산 버스 동면1-1]] 이들 노선을 타고 [[범어사역]] 정류장에 하차하여 [[부산 버스 금정2-1|금정2-1번]] 마을버스로 환승하면 된다. === 도시철도 === * [[부산 도시철도 1호선]]: [[범어사역]] [[부산 버스 금정2-1|금정2-1번]] 마을버스 이용 (영락공원에서 하차) 택시(기본요금) - [[금정도서관로]]를 이용하는 루트로 간다. 걸어가면 15분 정도 걸린다. * [[부산 도시철도 1호선]]: [[구서역]] 택시(7천원 가량) - [[경부고속도로]]를 이용하는 루트로 간다. === 자가용 === [[번영로(부산)|번영로]]를 타고 [[구서IC]]까지 간 다음에 구서IC에서 [[부산TG]]로 가는 길목에 위치한 [[영락IC]]로 진입하면 영락공원으로 들어갈 수 있다. 오토바이와 자전거는 고속도로 진입이 불가능하여 [[금정도서관로]]를 통해 진입해야하는데, 철문을 개조한 지금은 철문 뒤에 있는 틈을 통해 자전거와 오토바이가 영락공원 내부로 진입할 수 있다. 과거에는 자전거는 영락공원 입구에서 두 도로로 나눠진 부분에서 잠시 끌바를 한 뒤 다시 자전거 타고 영락공원으로 들어갈 수 있었지만, 오토바이는 철문으로 인해 들어갈 수 없어서 영락공원 밖에 주차시켜놓은 뒤 걸어서 들어가야했다. == 사건 사고 == 2006년 이곳에서 [[칠성파]]와 20세기파 등 조직폭력배 간의 난동이 벌어졌다. [[http://imnews.imbc.com/20dbnews/history/2006/1984271_19626.html|기사]] == 이곳에서 화장의식을 거행한 주요 인물 == * [[안상영]] 前 부산시장 [* 안상영 본인이 화장해 달라는 유언을 남겼고, 안상영의 유족들이 조용하게 넘어가고 싶어서 그리고 간소하게 장례를 치르길 원해 결국 화장해서 납골당에 안치되어 있다. 우리나라 정치인들 중에서 최초로 화장을 한 정치인이 [[노무현]]으로 잘못 아는 사람들이 굉장히 많지만 사실 최초는 안상영이 맞다.] * [[장효조]] 야구감독 * 강한옥 [[문재인]] 前 대통령의 모친[* 화장 이후 남편인 [[문용형]] 옹과 [[천주교 부산교구|매장된 무덤]]에 같이 합장되었다. 정확하게는 [[천주교 부산교구]] 하늘공원이다.] * [[이수현(1974)|이수현]] 의인[* 선로에 떨어진 일본인을 구하려다가 돌아가신 [[의인]] 이수현 씨가 일본 도쿄 화장장에서 화장된 뒤 비행기를 통해 유골함이 국내로 인계되어 안장되어 있다. 영락공원 내에 표지판에도 나와 있다. 자세한 사항은 [[이수현(1974)]]와 [[신오쿠보역 승객 추락사고]] 문서로.] * 유튜버 [[디젤집시]] * [[케리 마허]] 前 대학교수 겸 롯데 자이언트 외국인 매니저 == 기타 == 근처에 금정도서관이 있다. 아들을 추모하러 온 전동휠체어를 탄 90대 노인이 영락공원에 갔다가 그대로 고속도로를 타고 역주행한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oid=079&aid=0003154181&sid1=001|사례가]] 나왔다. 명절 때마다 경부고속도로 부산 톨게이트 옆의 갓길들이 주차장으로 변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공원묘지에서 금정구민운동장(임시주차장) 가는 길에 올라갈 수 있는 숨겨져 있는 가파른 계단이 있는데, 그곳에 위령비가 세워져 있다. 당시 부산시장이 쓴 걸로 추정되는데 한자로 적혀 있다. 1960-70년대에 세워진 것으로 추정된다. 공무원 시험 과목인 행정법을 공부하다 보면 영락공원에 화장장이 생긴 1995년에 대법원에서 영락공원에 대해 판결한 판례가 나온다. [[https://www.law.go.kr/precInfoP.do?precSeq=198974|관련 판례]] [[분류:부산광역시의 무덤]][[분류:부산광역시의 공원]][[분류:금정구]][[분류:대한민국의 추모공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