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일:부산박물관 MI.svg|width=300]] {{{+1 釜山博物館 / Busan Museum }}} [목차] == 개요 == [[부산광역시]] [[남구(부산)|남구]] [[유엔평화로(부산)|유엔평화로]] 63 ([[대연동]])에 위치한 공립 [[박물관]]이다. [[https://museum.busan.go.kr/busan/index|홈페이지]] == 상세 == [[1978년]]에 개관하였다. 이름대로 [[부산광역시]]를 대표하는 [[박물관]]이지만 [[대한민국]] 제2의 도시라는 위상에 비해 규모가 그리 크지는 않은 편이다. 우선 [[국립]]도 아니고 시립이다.[* 그래서 때문에 '국립부산박물관'이 아니라 '부산박물관'이다. 정확히는 부산시에서 운영하는 [[시립]][[박물관]]이다. 부산 시민들도 주로 '시립박물관'이라고 부른다.] 같은 지역 대표 박물관인 [[국립대구박물관]]은 [[대구광역시]]와 [[경상북도]] 지역, [[국립광주박물관]]은 [[광주광역시]]와 [[전라남도]] 지역의 유물 위주로 전시를 하는 등 주변 지역에서 출토된 유물까지 포괄하고 있는 데 비해, 부산박물관은 지금의 부산 일대에서 출토된 유물 위주로 전시품이 국한되기 때문에 규모가 작다. 또한 부산은 역사적으로 지역의 중심지가 아닌 왜구를 견제하는 군사지역이자 대일본 외교창구였다. 그래서 전통적으로 큰 고을이 아니었으며, 지금처럼 주요 도시가 된 것은 근대 이후이다. 그래서 역사적으로 크게 남길 만한 유산이 많지 않았다. 광주, 대구와 달리 부산박물관이 주변 지역까지 커버하지 못하는 이유도 부산 인근 도시들이 역사적으로 일대의 중심지였기 때문이다. 그런 만큼 이 일대에서 출토되는 유물의 질이 다르며, 이런 곳 대신 부산에 유물을 집중시키는 것도 어불성설이기는 하다. [[경상남도]] 지역은 금관가야의 중심지였던 김해의 [[국립김해박물관]]과 조선시대 경남일대의 중심도시 진주의 [[국립진주박물관]]이 있으며, 북쪽으로는 더 말할 필요도 없는 경주의 [[국립경주박물관]]이 있다. 박물관 규모나 컬랙션의 질이 높지 않기 때문에 부산 시민들은 어렸을 적에 한 번 가보고 웬만해서는 다시 찾지 않는다. 주로 찾는 사람들은 외지 관광객[* 특히 [[시티투어버스]]를 타고 부산박물관이 코스에 들어가서 들리는 관광객들이 많다.]이거나 혹은 초등학교 등에서 현장체험학습으로 오는 경우가 대다수이다. 이 박물관이 국립이 아닌 대신 부산에는 [[국립해양박물관]]과 [[국립일제강제동원역사관]]이 있다. == 교통 == === 도시철도 === [[부산 도시철도 2호선]] [[대연역]] 하차 3번 출구. === 버스 === * [[부산 버스 51]] * [[부산 버스 68]] * [[부산 버스 101]] * [[부산 버스 134]] * [[부산 버스 138]] * [[부산 버스 138-1]] * [[부산 버스 1006]] * [[부산 버스 남구2]] * [[부산 버스 남구6]] * [[부산 버스 남구9]] * [[부산 버스 남구10]] == 나무위키에 항목이 생성된 소장유물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분류:부산박물관 소장품)] * [[금동보살입상(국보 제200호)]] * [[산청 석남암사지 석조비로자나불좌상 납석사리호]] == 산하 박물관 == ☆ 표시는《[[한국전쟁기 피란수도 부산의 유산]]》에 포함되는 유적으로 현재 [[세계유산]] 등재를 추진 중인 곳이다. 관련된 행사로는 [[부산광역시]]에서 주관하는 '[[피란수도 부산야행]]'이 있다. === 복천박물관 === [[파일:external/db.kookje.co.kr/L20130719.22030184813i1.jpg]] [[https://museum.busan.go.kr/bokcheon/index|복천박물관 홈페이지]] [[동래구]] [[복천로]] 63 ([[복천동]]) 소재. 부산 지역 최대의 [[가야]] 고분군인 [[대한민국의 사적|사적]] 제273호 [[부산 복천동 고분군|복천동 고분군]]에서 출토된 유물 위주로 전시되어 있다. --야외 전시관(고분군)이 묘하게 [[텔레토비]] 동산 느낌이다.--[* 고분 위에 표시된 네모난 조경은 무덤 자리를 표시해놓은 것이다. 유적의 훼손을 막기 위해 향후 더 나은 발굴 기술이 개발될 때까지 발굴을 미뤄뒀다. [[알쓸신잡]]에서 [[김진애]]가 찾았던 적 있다.] 인근에 [[동래읍성]]역사관, [[동래읍성임진왜란역사관]], 부산3.1독립운동기념탑 등이 있다. 산하 박물관 중 규모가 가장 크다. 근처로 지나가는 버스 노선은 [[부산 버스 동래6|동래6번]], [[부산 버스 동래6-1|동래6-1번]] 마을버스 둘 뿐이며 그마저도 6번만 바로 앞쪽을 경유한다. === 부산근현대역사관 === [[파일:1000014249.jpg]] 한국은행 부산본부로 사용되던 시절의 모습 [[파일:부산근현대역사관 로고.jpg]] [[https://www.busan.go.kr/mmch/index|부산근현대역사관 홈페이지]] 중구 대청로 112(대청동1가) 소재. [[1963년]] 완공된 건물로, [[2013년]] [[7월 20일]]까지 [[한국은행]] 부산본부로 쓰였다. 현재는 부산근대역사관으로 쓰이던 옛 동양척식주식회사 부산지점 건물과 함께 부산근현대역사관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리모델링 도중 건물 기둥에서 균열이 발견되어 이 건물에 들어설 부산근현대역사관 본관은 개관이 미뤄졌고, [[2023년]] [[3월 1일]]에 아래의 별관이 먼저 문을 열었다. 그리고 [[2024년]] [[1월 5일]] 본관으로 새로 개관하였다. ==== [[부산근현대역사관 별관]]☆ ==== [[파일:external/www.much.go.kr/introimg_mod.jpg]] [[중구(부산)|중구]] [[대청동(부산)|대청동]] 소재. [[근대]]([[구한말]]~[[일제강점기]]) 시기 [[부산항]] 지역을 다룬다. 예전에는 [[동양척식주식회사]] 부산지점, [[임시수도]] 당시 [[미국]] [[대사관]], 이후 [[미국]] 문화원으로 쓰였던 건물이며 [[대한민국 제5공화국]] 시기 [[부산 미국문화원 방화 사건]]의 배경이기도 했다. 부산의 개항기 역사부터 일제강점기, 미군정의 시기를 다룬다. === [[임시수도기념관]]☆ === [[파일:external/tong.visitkorea.or.kr/1572074_image2_1.jpg]] [[https://www.busan.go.kr/monument/index|임시수도기념관 홈페이지]] [[서구(부산)|서구]] [[부민동]] 소재. [[6.25 전쟁]] 당시 부산이 [[임시수도]]였던 시기를 다루고 있다. 이 건물은 경남지사 관사였다가 임시수도 시기 [[경무대]]를 대신해 [[이승만]] [[대한민국 대통령|대통령]] 관저로 쓰였던 건물이며 [[이승만]] 관련 전시품이 많다. 내부는 근대의 저택을 재현하고 있는데 1층은 서양식으로 꾸민 응접실이 있고 임시수도 당시 [[국무회의]] 등의 회의를 주재하거나 외부 손님을 접견하는 장소였다. 응접실과 통하는 작은 서재는 이승만 개인의 집무와 휴식을 위한 공간이었는데 직통전화 13대가 설치돼 경찰, 한국군 사령부, 미군 전방지휘소, 미 대사관, 도쿄의 연합군 사령부 등으로 연결돼 있었다. 2층은 대통령 부부의 침대와 거실이 있었는데 일본식 [[다다미]]방이었다. 매년 6월 중순 [[피란수도 부산야행]] 행사가 열릴 시즌엔 대표적인 관광지로 활용된다. === 동삼동패총전시관 === [[https://museum.busan.go.kr/dongsam/index|동삼동패총전시관 홈페이지]] [[영도구]] 소재. [[한국해양대학교]]로 들어가는 다리 입구 쪽에 있다. 동삼동 [[패총]]에서 나온 [[석기시대]]의 출토품을 전시하고 있다. [[조개]] [[가면]]이 대표 유물. === 정관박물관 === [[https://museum.busan.go.kr/jeonggwan/index|정관박물관 홈페이지]] [[기장군]] [[정관읍]] 소재. 2015년 개관했다. [[정관신도시]] 조성사업으로 인해 사라지게 될 문화재에 대한 보존방안으로 건립하였고 기장군 지역의 유물들을 전시하고 있다. === [[부산시민공원]]역사관☆ === [[https://www.busan.go.kr/citizenpark/index|부산시민공원역사관 홈페이지]] [[부산진구]] [[부산시민공원]] 소재. 부산시민공원에 있던 서면 경마장, 하야리야 부대와 그 지역의 역사를 전시하고 있다. == 여담 == === [[가야본성 전시 임나일본부 논란]] 관련 === 부산시립박물관이 가야 건국신화를 인정하지 않고 '3세기까지 변한이 있고 이후에야 가야가 드러났다는 삼국사기 초기기록 불신론'을 바탕으로 가야를 설명하고 있어 [[임나일본부설]]의 빌미를 줄 가능성은 여전한 상태로 남아 있다는 주장이 제기된 바 있다. 그러나 가야의 등장 시점과 임나일본부 사이에는 어떠한 합당한 관계도 설정하기 어렵다. 임나일본부설은 일본서기 기년상 기원전부터 나타나는 임나와 관련된 모든 기사에 어느 정도 반영되어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변한이 3~4세기를 거치며 가야로 변했다는 주장은 [[삼국지(정사)|삼국지]] 동이전 및 고고학적 연구에 기반한 학설이라 애시당초 임나일본부설과는 무관하다. 게다가 [[가야본성 전시 임나일본부 논란]] 문서를 봐도 알 수 있지만, 이 사건은 몇몇 유사역사학자들 및 시민단체가 역사에 대한 이해가 결여된 탓에 벌어진 황당한 사건에 불과했다. [[분류:부산광역시의 박물관]][[분류:공립박물관]][[분류:남구(부산)]][[분류:부산광역시청]]